사각강 (四角鋼, square bar / steel)
정방형 단면의 강봉.
사각도수 (斜角跳水, oblique hydraulic jump)
사류(射流)가 연직수로벽에 의하여 유로가 안쪽으로 굽어질때 수로벽과 일정한 각도를 가진 선을 따라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
사각주기 (斜角駐機, angled parking)
항공기가 터미널과 사각을 가지고 주기하는 자세. 기수를 터미널 건물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자체 추진력으로 진입하고 견인차로 밀어내는 방법과 기수를 터미널 반대 방향으로 두는 방법의 두 종류가 있음.
사각형기초 (四角形基礎, square foundation)
기초바닥의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기초.
사각형 유한요소 (四角形 有限要素, quadrilateral finite element)
유한요소법에서 사용하는 사각형 형상을 가진 유한요소. 4절점, 8절점, 9절점을 가진 사각형 유한요소 등이 있음.
사갱 (斜坑, inclined shaft)
경사진 갱도를 말하며 수직갱 수평갱에 대응하는 말임. 완만한 경사로 지하로 계속되는 광상 또는 석탄층이나 비교적 얕은 광산의 개발에 이용되는 일이 많음.
사고현황도 (事故現況圖, collision diagram)
교차로나 도로의 평면도에 단일 사고 또는 일정기간의 교통사고상황(사고 시간, 피해 정도, 충돌 형태, 기후 구분, 도로상태 등)을 화살표 등의 기호로 축척에 관계없이 표시한 도면.
사교 (斜橋, skew bridge)
보끝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이 교축과 경사각이 되는 교량.
사교격자보 (斜交格子 - , skew crossed beam, lozenge pattern grid)
교차하는 들보의 교각이 직각이 아니고 사교격자로 되어 있는 형식.
사구 (砂丘, dune)
모래가 물이나 바람의 작용으로 형성된 비교적 긴 직선마루를 가진 언덕을 말하며, 물속 사구가 바람에 의한 사막의 사구보다 훨씬 작음.
사구간 (死區間, dead section)
전철의 구분장치의 일종으로 변전소와 구분소 및 직, 교류 접속개소에는 일정한 짧은 거리에 전류를 흐르지 않게하여 전기를 구분하는 구간임.
사구고 (砂丘高, dune height)
사구의 바닥에서 제일 높은점까지의 연직높이.
사구하상 (砂丘河床, dune bed)
하천바닥에 사구가 형성된 하상.
4 급선 (四 級線, fourth class track)
선로의 건설과 보수에 있어서 수송량과 열차속도에 따라 선로의 등급을 정하고 그 등급에 해당하는 선로구조로 하여 경제적인 보수를 함. 4급선은 선로등급의 최하위로서 열차 최고속도도 70 km/h로 노반부담력은 L-18임.
사다리기초 ( - 基礎, ladder foundation)
지하관거를 매설할 때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말뚝기초, 깬 조약돌기초, 자갈기초, 콘크리트기초 등과 함께 사용되는 공법으로 사다리 모양으로 된 목재 또는 콘크리트 기초.
사다리꼴 웨어 ( - , trapezoidal weir)
웨어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것.
사력댐 (砂礫 - , rockfill dam)
댐 본체를 석괴로 쌓아 만든 댐으로, 상류면을 콘크리트, 철판, 아스팔트 등으로 피복하여 물의 침투를 막는 표면차수벽형과 제체내부에 투수계수가 아주 작은 토질재료로 차수하는 내부차수벽형이 있음.
사력질토 (砂礫質土, coarse grained soil)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땅으로 바닷가나 하천변에 분포되며, 선상지의 두부에서 볼 수 있음.
사련 (砂漣, sand ripple)
이동상 해저의 바닥표면에 파랑과 흐름의 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불규칙한 파형모양의 요철형상.
사류 (射流, rapid / supercritical / shooting flow)
개수로의 흐름에서 유속이 한계유속보다 빠른 흐름. 일반적으로 푸르드수(Froude number)가 1보다 큼.
사류수차 (斜流水車, diagonal flow water turbine)
수차내의 흐름이 회전날개의 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통과하는 반동수차.
사면내파괴 (斜面內破壞, slope failure)
사면의 중간을 통과하는 활동면을 따라 사면이 파괴되는 것. 절토사면과 같이 굳은 지반이 사면의 하부에 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사면보호 (斜面保護, slope protection)
사면의 풍화, 침식, 표층부의 붕락(崩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공, 조경 블럭설치, 콘크리트 피복 등과 같은 방법으로 사면을 보호하는 것.
사면붕괴 (斜面崩壞, slope failure)
사면의 급경사부분이 무너저 내리는 것. 사면활동파괴에 의하여 무너져내린 토사는 토괴의 원형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사면선단파괴 (斜面先端破壞, toe failure)
사면의 하단을 통과하는 활동면을 따라 파괴되는 사면파괴. 사질토의 급경사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사면안정 (斜面安定, slope stability)
토공구조물의 경사면이 활동(滑動)이나 붕괴에 대해 저항하는 것.
사면안정해석 (斜面安定解析, slope stability analysis)
사면파괴에 대한 안전성을 계산에 의하여 검토하는 것.
사문암 (蛇紋岩, serpentinite)
감람석(橄欖石)이나 휘석(輝石)이 변질되어 생겨난 사문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 풍화작용에 약하며, 물을 먹으면 팽창하는 것도 있음.
사방 (砂防, erosion protection)
산중턱이나 계곡에서 일어나기 쉬운 사태나 붕괴를 방지하고 침식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일체의 인위적인 행동.
사방공사 (砂防工事, erosion control work)
산지나 강가에 모래나 흙이 바람과 비에 씻기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공사이며, 식물피복 및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토사, 모래 등의 이동을 완화하여 재해를 예방할 목적으로 행하며, 산복공사, 계류공사, 해안사방공사로 구분됨.
사방댐 (砂防 - , check / control dam)
토사의 유실이 심한 하천에 토사가 하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댐.
사변형망 (四邊形網, quadrilaterals)
삼각망 종류중의 하나로서, 조건식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아 기본삼각망의 부분 또는 특히 정확도를 높히려고 하는 부분에 사용됨. 조정이 복잡하고 포괄면적이 적으며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됨.
사분법 (四分法, quartering)
대량의 시료를 원형으로 쌓아올린 것을 대각선상의 두 부분의 것을 취하되, 소정량의 시료로 될 때까지 그 조작을 반복하여 대표적인 시료를 얻는 방법.
사빈매축 (砂濱埋築, beach fill)
해안의 해빈을 조성하는 양빈의 한가지로 준설토사 등으로 전빈이나 외빈을 메워서 사빈을 만드는 것.
사석 (捨石, riprap rubble stone)
방파제나 방사제, 호안, 안벽 등의 기초 또는 내부에 투입되는 잡석으로 제방의 폭이 두꺼울 때는 내부에 작은 사석을 쓰고 파도나 유속의 영향을 받는 외부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큰 사석을 씀.
사석공 (捨石工, riprap work)
방파제, 방사제, 호안, 안벽 등의 사석마운드 등을 건설할 때 사석으로 시공하는 공사이며 사석고르기를 하지 않는 것.
사석기초 (捨石基礎, rubble base)
해안에서 방파제, 방사제, 호안, 안벽, 물양장 등의 중량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설계되는 사석마운드에 의한 기초.
사수 (死水, dead water)
① 어떤 물체에 대하여 흐름이 직각으로 부딪치는 경우등과 같이, 물체 하류의 측류체가 거의 정지하는 경우 흐름이 정지된 부분의 물.
② 물이 오염되어 용존산소가 낮아지므로 어류는 사멸하고 호기성균의 생존작용이 정지되는 상태인 물.
사수공 (射水工, water jetting)
기초공사에서 말뚝관입이나 케이슨의 침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압의 물을 주변 지반속에 뿜어 지반내부의 관입저항력을 감소시키는 공법.
사수량 (死水量, dead storage)
저수지에서 퇴사면과 취수시설의 최저이용가능 수위 사이의 저수량.
사슬 ( - , chain)
여러개의 고리를 이어 만든 철줄. 철제고리를 접속시켜 만든 거리측정용기구를 이르기도 함.
사슬식적교 ( - 式吊橋, chain / link bridge)
현수교의 케이블 대신에 강사슬 또는 아이바를 이용한 형식. 체인교라고도 함.
사암 (砂岩, sandstone)
모래가 고결된 암석. 주로 석영, 장석, 암편 등으로 이루어짐.
사업 (事業, project)
일정한 목적과 계획하에서 경영하는 경제활동이며, 건설공사의 설계, 시공, 관리를 총칭하여 일컫기도 함.
사염화탄소 가용분 (四鹽化炭素 可溶分, solubility in carbon tetrachloride)
아스팔트를 사염화탄소에 용해시켜 그 용액을 여과하여 얻은 부용 부분의 중량으로부터 사염화탄소에 용해한 부분의 중량을 구해 백분율로 나타낸 것. 아스팔트는 2류화탄소에는 완전히 용해하나 사염화탄소에 대해서는 그 성분의 하나인 카아벤(carbene)이 녹지 않고 남음. 따라서 사염화탄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용해하는가를 구함으로써 아스팔트 중의 불순물의 양을 알 수가 있음.
사용성 (使用性, serviceability)
사용중인 구조물 또는 구조부재에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처짐, 균열, 진동 등의 사용자 입장에서의 구조물상태.
사용수량 (使用水量, plant discharge)
수력발전소에서 발전을 위하여 수차의 운전에 사용되는 수량.
사용자 비용 (使用者 費用, user cost)
교통부문에서는 어떤 통행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자(통행자)가 지불하는 비용을 칭함.
사용자 요금 (使用者 料金, user tax)
사용자가 지불하는, 통행에 필요한 세금.
사용자 잉여 (使用者 剩餘, user’s surplus)
사용자가 통행에 있어서 지불할 수 있는 비용과 실질적으로 소요된 비용의 차액을 뜻함.
사용자 통행편익 (使用者 通行便益, user travel benefit)
통행에서 이용자가 얻을 수 있는 제반 편익을 총칭함.
사용하중 (使用荷重, service load)
구조물에 과대한 변형과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최대하중.
사용한계상태 (使用限界狀態, serviceable limit state)
처짐, 균열, 진동 등의 사용성 측면에서 더 이상 존속시킬 수 없는 구조물의 한계상태.
사운딩 ( - , sounding)
시추봉의 선단에 장착된 저항체의 관입, 회전, 또는 인발 등의 저항을 측정하여 지반의 굳기, 상대밀도 등을 현장에서 조사하는 것. 비교란시료의 채취가 곤란한 사질지반이나 연약지반의 조사에 효과적임.
사운딩로드 ( - , sounding rod)
흙의 저항을 측정하여 지반상태를 측정하는 사운딩에 사용되는 로드.
사유철도 (私有鐵道, private railway)
철도의 소유자 즉 경영주가 개인인 경우를 말함.
사이드롤러 ( - , side roller)
고무벨트의 측면을 지지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이동을 도와주는 롤러.
사이즈 ( - , size)
필렛용접에서 모재와 용착 금속이 융합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
사이징 ( - , sizing)
압출한 성형품의 형상및 치수를 규제하면서 냉각하는 공정.
사이클로이드파 ( - 波, cycloidal wave)
좌우대칭형 급경사파로 심해에서의 쇄파한계에 도달하여 파봉선을 중심으로 양측수면 사이의 각도가 120°인파.
사이클론 ( - , cyclone)
① 원심집진장치의 일종으로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수 ㎛정도의 분진을 포집할 수 있음. 처리하려는 기류를 원통탑내로 유입하여 회전하면서 하강시키면 분진은 원심력에 의해 내벽에 부딪쳐 낙하 포집되고 청정공기는 중앙부로 유출됨.
②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사이클타임 (週期, cycle time)
1회의 작업을 끝내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으로, 토공기계의 경우는 굴착, 적재후 다시 굴착하기 직전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함.
사이펀 ( - , siphon)
관로의 일부가 동수경사선 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일부 수압이 대기압보다 작은 부압을 받는 관수로.
사이펀여수로 ( - 餘水路, siphon spillway)
댐의 마루를 넘어가는 사이펀으로 만들어진 댐 여수로의 일종. 이 여수로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저수지의 수위가 사이펀의 마루보다 높이 상승해야 하며 사이펀작용이 시작되면 여수로는 유입구의 높이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작동함.
사인 반파장 완화곡선 ( - 半波長 緩和曲線, sine curve)
완화곡선 선형의 일종으로 캔트 및 곡률체감을 사인곡선의 반파장 형상으로 한 것.
사인장 (斜引張, diagonal tension)
부재단면과 수직인 응력과 평행한 전단응력의 합성에 의해, 부재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발생하는 인장력.
사인장균열 (斜引張龜裂, diagonal crack)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연단에서부터 발생하여 부재축에 대해서 약 45°경사를 이루는 균열.
사인장철근 (斜引張鐵筋, diagonal reinforcement)
사인장응력을 받는 철근. 스트럽과 절곡철근으로 구성되고, 전단보강철근이라고도 함.
사일로 ( - , silo)
원형단면을 가진 높이가 높은 저장시설. 곡식이나 시멘트 등을 저장함.
사장교 (斜張橋, cable stayed bridge)
주 탑으로 부터 비스듬하게 인장된 케이블에 의하여 지지되는 교량.
사장석 (斜長石, plagioclase)
나트륨, 칼슘을 함유하는 알루미나규산염광물(硅酸鹽鑛物). 모든 화성암과 대부분의 변성암에 함유되어 있음. 풍화되기 쉬우며, 이것이 변질되면 가는 운모 또는 점토광물로 변함.
사재 (斜材, diagonal member)
트러스의 사재, 버팀대, 귀잡이보, 싸자보, 래티스재 등 경사지게 설치된 부재의 총칭.
사전냉각 (事前冷却, precooling)
매스콘크리트나 댐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낮게 하기 위해 타설전에 미리 골재를 냉각시키거나, 물속에 얼음을 넣어 냉각시키는 방법.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으면 균열발생이 우려되므로 타설시 온도가 25。C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
사정경사 (査定傾斜, tractive capacity determining grade)
임의의 궤도구간에서 기관차의 최대 견인력을 필요로 하는 경사구배로서 견인계수를 결정할 때 사용되는 구배임.
사주 (砂洲, bar, sand bar)
하천의 유속이 떨어지고 하천의 통수능이 떨어지는 하구(河口)에서 실트, 모래, 자갈 등의 토사가 퇴적된 것. 이로 인하여 배의 통행이나 수류의 흐름에 장애가 일어남.
사진좌표 (寫眞座標, photo coordinates)
사진좌표계로 표현한 사진상의 점의 좌표. 사진좌표계란 주점을 원점으로 한 xy좌표계로서, 사진변에 평행하며 비행방향인 축을 x축으로 하고 x축에 직각인 축을 y축으로 함.
사진지도 (寫眞地圖, photo map)
사진의 필요 부분들을 모자이크한 후, 지명과 기호 또는 등고선 등을 기입한 지도의 형태. 종류에는 약조정사진지도(편위수정을 하지 않음), 반조정사진지도(일부만 편위수정함), 조정사진지도(편위수정된 사진을 이용), 정사사진지도(정사투영된 사진을 이용하며 등고선이 삽입됨)가 있음.
사진지표 (寫眞指標, fiducial mark)
사진의 4모서리 또는 4변의 중앙에 있는 표지. 대각선 방향의 지표를 연결한 두개의 선분은 사진주점에서 교차함. 사진기의 지표간 길이는 정확하게 관측되어 있으므로 사진지표의 간격을 비교하면 사진의 신축을 알 수 있음.
사진측량 (寫眞測量, photographic surveying)
사진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관측하고 정량화하는 기술.
사진측정학 (寫眞測定學, photogrammetry)
사진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형상과 성질을 조사하는 기술의 총칭. 피사체의 형상을 관측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을 협의의 사진측량이라 하며, 성질을 조사하여 정성화하는 기술을 사진판독이라 함.
사진판독 (寫眞判讀, photo interpretation)
사진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성질을 조사하고 정성화하는 기술.
사질롬 (砂質 - , sandy loam)
입도 조직성분에 의한 삼각좌표 분류법내의 흙분류명칭의 하나로서 모래성분이 50~80 %, 실트성분이 50 %이하, 점토성분이 0~20 %정도로 혼합되어 있는 흙.
사질점토 (砂質粘土, sandy clay)
입도조성 성분에 의한 삼각좌표분류법내의 흙분류명칭의 하나로서 점토성분이 30~45 %정도로 모래가 많이 섞인 점토.
사질점토롬 (砂質粘土 - , sandy clay loam)
입도조직성분에 의한 삼각좌표분류법내의 흙분류명칭의 하나로서 모래성분이 50~80 %, 실트성분이 30 %이하, 점토성분이 20~30 %정도로 섞인 흙.
사질토 ( 砂質土, sandy soil)
#200번체(75 μm) 통과량이 중량비 50 % 이하이고 이중 #4번체(4.75 mm) 통과량이 50 %이상인 흙을 사질토라 함. 통일분류법으로는 SW, SP, SM, SC로 세분됨. 일반적으로, 배수성이 좋아 동상가능성이 낮으며, 다졌을 경우 강도가 높고 압축성이 적어 토질역학적인 측면에서 안정성이 큰 토질재료임.
사춤돌 ( - , filling stone)
줄눈이나 틈새에 넣는 돌로서 돌쌓기에서 접합부의 돌틈새 또는 석기초나 돌쌓기 뒷면에 끼워 넣는 돌.
사춤모르터 ( - , filling mortar)
줄눈이나 틈새에 쳐넣는 모르터로서 벽돌쌓기에서 줄눈사이에 쳐넣는 모르터.
사춤치기 ( - , filling)
돌쌓기, 벽돌쌓기 등에서 줄눈이나 틈새에 사춤돌을 끼워 넣거나 사춤모르터를 쳐 넣는것.
사태 (沙汰, landslide, avalanche)
→ 산사태.
사태방지 (沙汰防止, prevention for land slide)
자연사면(自然斜面)에 발생하는 사태 등 대규모 붕괴의 방지공에는 사면형상 변경공법, 배수공, 침수 방지공, 구조물에 의한 공법 등이 있으며, 사면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공함.
사토장 (捨土場, spoil bank)
건설공사장에서 발생하는 굴착한 토사, 암석 등을 운반하여 버리는 장소.
사행 (蛇行, meandering)
하천이 편평한 지역을 흐를때 하천의 유로가 뱀처럼 좌우로 꾸불꾸불 구부러져 흐르는 현상. 이 현상은 주로 충적평야에서 볼 수 있음.
사행길이 (蛇行 - , meander length)
→ 사행파장.
사행동 (蛇行動, snake motion, hunting motion)
원추 단면을 갖는 차륜이 레일 위를 주행하는 경우에 철도차량에서 발생되는 좌우진동의 일종임. 사행동은 자유 사행동과 강제 사행동의 2종류가 있음. 자유 사행동은 직선구간에서도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통상 한계속도 이상에서 차체에 의한 정상적인 횡진동을 수반함. 강제 사행동은 레일의 곡률에 따라 강제적으로 일어나게 됨.
사행비 (蛇行比, meander ratio)
사행폭과 사행파장의 비.
사행이동 (蛇行移動, meander migration)
하천사행이 천천히 하류로 이동하는 경향. 동일한 하천구간에 대하여 오래전의 지도와 최근의 지도를 비교해 보면 사행의 이동상태를 알 수 있음.
사행재해 (蛇行災害, meander damage)
방파제 배후로 회절된 파가 방파제 전면의 파와의 위상차이로 인해 파고가 증대됨으로서 제체의 활동을 유발하는 방파제의 재해 형태.
사행진폭 (蛇行振幅, meander width / amplitude)
연속되는 하천 사행부에서 서로 반대되는 최대 만곡부의 유심선 사이의 수직거리.
사행파장 (蛇行波長, meander wavelength)
연속되는 사행하천에서 곡류부의 최외측점에서 다음 최외측점 까지의 거리 .
사행하천 (蛇行河川, meandering river)
사행현상으로 인하여 유로가 뱀처럼 꾸불꾸불하게 구부러져 흐르는 하천.
사회간접자본 (社會間接資本, social overhead capital)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시설 및 조직활동을 포괄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사회 기반시설인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의 시설과 각종연료의 공급시설 및 상하수도, 통신망시설 등을 포함함. 약어 : SOC.
사회비용 (社會費用, social cost)
교통에서는 통행에서 발생되는 직접적인 비용과 통행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환경오염, 시간지체비용, 소음 등의 제반적인 비용으로서 사회의 구성원 전체에게 발생되는 비용을 칭함.
사후추정 (事後推定, hindcasting)
과거 어느 시점에 발생한 파랑특성을 당시의 천기도를 이용하여 추정 계산하는 것.
삭도 (索道, cable way)
도로가 없는 산악지역 등에서 두 지점사이의 공중에 설치된 케이블에 의하여 사람 또는 자재 등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색도라 하기도 함.
삭도반기 (索道搬器, cable suspension transporter)
가공삭도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설치해서 사람또는 물건을 수송하는 기구.
산 (酸, acid)
양성자(H+)를 줄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자(e-)를 수용할 수 있는 물질.
산기식폭기 (散氣式曝氣, diffused aeration)
폭기가 충분히 행해지도록 공기를 기포상으로 하여 오니중에 분산시키는 것.
산기장치 (散氣裝置, diffuser)
활성오니법 등에쓰이고 있는 것으로서, 폭기가 충분히 행해지도록 공기를 기포상으로 하여 오니중에 분산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다공질인 세라믹제의 산기판 또는 산기관이나 노즐상의 구멍을 갖춘 송기관 등이사용됨.
산복공사 (山腹工事, hillside work)
황폐화된 산지 등에서 토사나 자갈, 암석 등의 유실과 이동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복에 행하는 공사.
산사태 (山沙汰, landslide, avalanche)
산지의 급사면이 무너저 내리는 것. 급사면이 자중으로 붕괴되는 사면붕괴, 사면에서 전단강도가 현저히 약한 면을 따라 활동이 일어나는 활동파괴, 폭우시 급사면의 느슨한 토사가 유수와 함께 흘러 내리는 토석류, 등을 포괄하는 급격한 사면파괴. 광의로는 토괴가 장기간에 걸쳐 전단강도가 약한 사면을 따라 서서히 활동(滑動)하는 포행(匍行, creep)까지도 포함하는 산지의 모든 경사지반의 활동(滑動)이나 붕괴를 포괄하여 산사태라 하기도 함.
산성도 (酸性度, acidity)
용액의 산성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알칼리량을 상응하는 탄산칼슘(CaCO3)의 양(mg/L)으로 나타낸 것.
산성비 (酸性 - , acid rain)
유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및 대기중에서 생성된 황산, 황산염, 질산염 등이rainout(비의 핵으로 취해진 것)이나 washout(강하하는 빗방울에 취해진것)의 과정을 거쳐 지상으로 낙하하는 pH가 낮은 빗방울.
산성슬러지 (酸性 - , acid sludge)
pH가 낮은 슬러지.
산성암 (酸性岩, acidic rock)
규산염()의 함유량이 66 % 이상인 화성암. 유문암 같은 암이 그 대표적인 것임.
산성토 (酸性土, acid soil)
토립자가 함유하고 있는 염기성 성분이 강우 등에 의하여 씻겨져 산성화된 토양으로 증류수를 흙에 혼합했을 때 pH값이 7이하인 흙.
산성하천 (酸性河川, acid river)
pH가 낮은 하천을 말하며, 석탄폐수등과 같은 산업폐수가 흘러들어 산성하천이 됨.
산세척 (酸洗滌, pickling)
철강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이나 부식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 산성액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을 말하며, 보일러내에 생긴 스케일의 제거, 도금가공전의 표면처리 등에 쓰임.
산소결핍 (酸素缺乏, oxygen deficiency)
공기, 물, 토양중에 산소가 부족한 상태. 공기중에는 보통 20 %의 산소가 함유되어 있지만, 이것이 16 %이하로 되면 불이 꺼지고, 인간은 10 %에서 의식불명, 6~8 %이면 6분동안 반수가 사망하고, 8분정도만에 전원이 사망함.
산소부족곡선 (酸素不足曲線, oxygen sag curve)
대기로부터 수중으로의 산소용해율은 포화치로 부터의 부족량, 수면의 교란상태, 그리고 수온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산소용해율과 산소 소모율을 고려하여 용존산소량을 종축으로, 시간 또는 거리를 횡축으로 해서 그린 곡선.
산소아세칠렌용접 (酸素 - 鎔接, oxy-acetylene welding)
산소 아세칠렌을 사용하여 아세칠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열을 이용해서 하는 용접.
산소아크절단 (酸素 - 切斷, oxy-arc cutting)
모재와 전극간에 발생하는 아크열로 모재를 가열해서 중공전극봉의 중심으로 부터 산소를 분출 시켜 행하는 절삭.
산소요구량 (酸素要求量, oxygen demand)
오수중의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데 소요되는 산소량을 말하며, 오염의 정도를 판정하는 지표로서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있음.
산소전달 (酸素傳達, oxygen transfer)
대기중의 산소가 물속으로 분산·흡수되어 들어가는 현상. 수면이 난류상태일때 더 빨리 물속으로 들어감.
산소포화량 (酸素飽和量, oxygen saturation)
대기중으로부터 물속으로 분산·흡수되는 산소는 기체의 분압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만 녹게 됨. 이때의 물속에 녹을 수 있는 최대 용존산소량을 말하며, 그 농도는 수온과 수중에 존재하는물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짐.
산소폭기 (酸素曝氣, oxygen aeration)
물에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물속에 있는 휘발성물질 즉, CO2, H2S, CH4 및 취미(臭味)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물질 등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용존산소를 증가시키는 것.
산수소용접 (酸水素鎔接, oxyhydrogen welding)
산소와 수소를 이용해서 수소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하는 용접. 산소 아세틸렌불꽃에 비해서 화염 온도가 낮음.
산악형강수 (山岳型降水, orographic precipitation)
습윤한 기단을 운반하는 바람이 산맥에 부딪혀서 기단이 산위로 상승할 때 기단의 냉각작용으로 인하여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사면(windward)에는 강수가 발생되나 배사면(leeward)은 매우 건조함. 우리나라와 같이 산맥이 많은 지형에서는 산악형강수가 중요한 강수형태 임.
산업폐기물 (産業廢棄物, industrial wastes)
산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되는 폐기물로 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카리, 폐플라스틱 등이 있음.
산업폐수 (産業廢水, industrial wastewater)
특정시설이 설치된 공장 또는 사업장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로 BOD가 높은 유기폐수와 크롬, 수은, 시안 등이함유된 무기폐수가 있음.
산옹이 (生節, live knot)
옹이섬유와 주변의 목재섬유가 연결되어, 주변조직에 잘 끼워 져서 빠지지 않는 든든한 옹이.
산자갈 (山 - , pit gravel)
산이나 언덕 또는 육지에서 채취한 자갈로서 여기에는 푸석돌, 흙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사용할 때에는 물로 깨끗이 씻은 후 사용함.
산지수로 (山地水路, upland channel)
하천의 상류지역에 형성된 경사가 급한 수로.
산침지 (酸浸漬, acid dipping)
금속 제품을 산류의 수용액에 단시간 담가 가벼운 녹을 제거하는 조작.
산화스모그 (酸化 - , oxidation smog)
광화학반응으로 인한 옥시단트에 의해서 발생되며, 1954년에 발생한 로스앤젤레스 스모그가 대표적임.
산화염 (酸化炎, oxiding flame)
산소 아세칠렌불꽃으로 중성불꽃보다 산소량이 많은 산화성을 갖는 가스불꽃.
산화제 (酸化劑, oxidant)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고 자신은 환원되는 물질.
산화환원전위 (酸化還元電位,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전자를 주고 받음으로써 서로 가역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산화체와 환원체가 포함된 용액중에 전극을 넣으면 전극과 액사이에 전위가 발생됨. 이때 산화체로부터 환원체로 전자가 이동되는데 필요한 전위.
살균 (殺菌, disinfection)
병원균을 죽이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생물체를 완전히 죽이는 멸균과 구분됨.
살균폐수 (殺菌廢水, sterilized wastewater)
수인성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살균처리된 폐수.
살붙이기 용접 (肉盛鎔接, buildup welding)
이음매 부에서 충격에 의한 레일표면의 마모부분을 정상적인 레일단면으로 형성하기 위해 용접하는 것.
살수관개 (撒水灌漑, sprinkler irrigation)
살수기에 의해 지면보다 높은 곳에서 인공적으로 물을 뿌려 급수하는 관개.
살수기 (撒水機, ① sprinkler, ② distributor)
① 수압을 받는 관수로의 곳곳에 분지관을 설치하고 그 끝에 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장치.
② 노상(盧床)의 표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균등하게 살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를 말하며, 여상의 여러곳에 노즐을 고정설치하는 고정노즐식, 원형여상의 중앙에 세워진 중앙축에 연결된 다수의 회전팔에 노즐이 설치된 회전식, 주행다리가 왕복하는 주행식 등이있음.
살수여상 (撒水濾床, trickling filter)
자갈 또는 쇄석과 같은 여재를 쌓아서 만든 여상으로, 상부에 설치된 살수장치로 부터 살수된 하수나 폐수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될때 여재표면에 형성된 미생물막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수중 불순물질이 분해 정화됨.
살수차 (撒水車, road sprinkler)
먼지발생을 막고, 다짐작업시 적절한 함수비를 유지하도록 주행하면서 노면에 물을 뿌릴 수 있는 차.
살조제 (殺藻劑, algicide)
수중에 존재하는 조류를 없애는데 사용되는 약품의 총칭.
살포기 (撒布機, distributor)
포장공사에서 역청재료를 살포하는 기계로서, 역청재료 탱크를 갖고 있고, 기계후미에 노즐을 설치하여 압력에 의해 살포하며 비교적 균일한 살포가 가능함.
삼각고저측량 (三角高低測量, trigonometric leveling)
각 관측기에 의한 고저각과 거리 관측값을 삼각법으로 처리하여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삼각측량의 보조수단이나 직접고저측량이 곤란할 경우에 이용되나 정확도가 낮음. 삼각수준측량이라고도 함.
삼각망 (三角網, triangulation network)
다수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형군을 삼각망이라 함. 그러나 삼각형이 한방향으로 띠형태로 연결된 것은 삼각쇄라고도 함.
삼각망트러스 (三角網 - , triangle net truss)
트러스의 구성면을 다수의 작은 삼각형으로 조립한 트러스. 단구성면의 철골 셀에도 쓰임.
삼각선 (三角線, delta track)
→ 델타선.
삼각수준측량 (三角水準測量, trigonometric leveling)
→ 삼각고저측량.
삼각슈 (三角 - , triangular shoe)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고 있는 습지용 불도우저의 무한궤도 슈.
삼각웨어 (三角 - , triangular weir, V notch)
웨어의 단면이 그림과 같이 꼭지점을 낮은점로 하는 2등변 삼각형을 이루는 웨어.
그림
삼각점 (三角點, triangulation point / station)
삼각측량 또는 삼변측량에 의해 수평위치가 구해진 점임.
삼각점성과표 (三角點成果表, final results table of triangulation)
삼각점의 좌표값, 주변의 삼각점과의 거리, 방향 등을 기재한 표임.
삼각주 (三角洲, delta)
하천이 바다로 유입하는 곳에 형성되는 부채꼴의 지형. 하천구배가 완만하면 유속이 작기 때문에 퇴적작용이 현저하여 방사선상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비교적 연약한 지반을 형성하게 됨.
삼각철탑 (三角鐵塔, triangle steel tower)
삼면이 같은 모양으로 구성된 평면이 정삼각형의 철주.
삼각측량 (三角測量, triangulation)
기선을 관측한 다음 각만을 관측하여 수평위치(x,y)를 구하는 측량방법으로, 넓은 범위에 삼각망을 설정하고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기준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삼각파 (三角波, chopping sea, pyramidal wave)
방파제나 단애 혹은 암초에 의하여 반사된 파가 입사파와 교차되어 생기는 뾰족한 파봉의 급준(急峻)한 파, 또는 태풍역 내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파가 교차하여 생기는 파고가 큰 급준한 파.
삼레일철도 (“三軌條鐵道”, third railway)
→ 제3레일.
삼륜롤러 (三輪 - , three-wheel roller)
바퀴가 3개 장착된 롤러이며 일반적으로 축형탠덤롤러를 지칭하고 아스팔트포장 표층의 정밀한 전압, 마무리 등에 활용됨.
삼림측량 (森林測量, forest surveying)
삼림의 경계측량, 면적측량 등 삼림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측량.
삼변측량 (三邊測量, trilateration)
삼각형의 각변 또는 삼각망의 전체 변의 거리만을 관측하여 삼각점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거리가 먼 경우 거리관측이 각관측에 비해 굴절오차가 작기때문에 전자기파거리측량기가 등장한 후 일등삼각망 또는 지각변동측량에 주로 이용되고 있음.
삼십 번째 시간교통량 (三十 - 時間交通量, thirtieth highest hourly volume)
1년간(8,760시간)의 시간교통량중 큰 것으로부터 30번째에 있는 것으로 설계시간교통량으로서 계획 목표 년도에서의 30번째 시간교통량을 택하는 것을 표준으로 함.
30번째 시간계수 ( - 時間係數, thirtieth highest hour factor)
어떤 도로의 특정 구간에서 조사된 1년동안의 시간교통량들(8760개)을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순위배열할 때 30번째 순위의 시간교통량을 평균일교통량(ADT)으로 나눈 값(K30). 이 30번째 시간교통량은, 연간 시간교통량들을 순위배열한 곡선에서 그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이 30번째였다는 미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임.
3연 모멘트 방정식 (三連 - 方程式 , three-moment equation)
연속 들보를 해석하기 위하여 Clapeyron이 제안한 잇달은 3지점에서의 휨모멘트 사이에 성립하는 방정식.
삼염화에탄 가용분 (三鹽化 - 可用分, solubility in trichloroethane)
아스팔트시료의 삼연화에탄에 용해하는 성분중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사염화탄소가용분시험에서 독성이 강한 사염화탄소 대신에 독성이 적고 용제로서의 성능도 좋은 1・1・1-트리클로로에탄 (메틸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측정함. 같은 명칭에서도 1・1・2 - 트리클로로에탄은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정도의 독성이 강한 용제이므로 주의해야함. 트리클로로에탄의 용제성은 사염화탄소보다 약간 떨어지므로 99.5 % 이상의 규격치가 99.0 % 이상으로 고쳐졌음.
삼점문제 (三點問題, three point problem)
평판측량의 후방교회법에서 3개의 기지점을 이용하여 미지점의 위치를 도면상에 정하는 작업을 3점문제라 함.
삼정이음매법 (三挺繼目法, three tie joint)
레일이음매의 침목 지지방법으로 침목 3정이 이음매를 지지하도록 한것임. 현접법과 지접법을 병용한 것으로 침목 3정을 동일 강도로 유지하기 곤란하며 이음매판이 다른 것보다 긴것을 사용함.
3종건널목 (三種 - , thirth class road crossing)
철도 건널목중 철도와 도로의 교통량이 적어서 감시원이나 차단기는 설치하지 않고 경종, 경보 및 교통표지만 설치한 건널목.
삼지분기기 (三枝分岐器, three throw turmout)
1궤도를 1개의 포인트에서 3방향으로 나누는 분기기를 말함. 주요한 궤도를 중심으로 하여 좌, 우 편개 분기기를 합쳐 놓은 것과 같음.
삼차선 도로 (三車線 道路, three lane road)
왕복 양방향으로 3차선을 갖는 도로.
삼차원압밀 (三次元壓密, three-dimensional consolidation)
흙구조의 변형 및 간극수의 유동이 삼차원적으로 일어나는 압밀. 압밀층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재하된 점토질지반의 침하나 연직배수는 지반중의 변위나 간극수의 흐름이 연직방향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발생하므로 삼차원적인 압밀이 됨.
3차원 응력 (三次元 應力, three dimensional stress)
어떤 질점에서 모든 응력 성분이 존재하는 응력 상태.
3차 포물선 (三次 抛物線, cubic parabola)
완화곡선 선형의 일종으로 캔트체감을 직선적으로 하는데 적당한 형상임.주로 많이 사용하는 선형으로 y = ax³의 방정식에 의해 좌표를 구함.
삼첩기 (三疊紀, Triassic period)
지구의 역사를 동물화석의 변화에 의하여 지질시대로 구분할 때, 중생대 기간중 2.42~2.08억년전의 기간을 말함.
삼축롤러 (三軸 - , three-axis roller)
축이 3개인 롤러이며, 전방의 2개 안내바퀴의 상하운동을 고정시켜 전압하중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삼축탠덤롤러라 하기도 함.
삼축압밀시험 (三軸壓密試驗, triaxial consolidation test)
삼축압밀시험기를 이용하여 공시체에 가해지는 주응력을 조절하면서 시행하는 압밀시험.
삼축압축시험 (三軸壓縮試驗, triaxial compression test)
원주상 공시체에 측압을 가한 상태에서 축하중을 증가시켜서 강도-변형특성을 구하는 시험. 쿨롱의 파괴규준에 의하여 토질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구함.
3축 응력 (三軸 應力, triaxial stress)
서로 직교하는 삼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 응력.
삼축탠덤롤러 (三軸 - , triaxial tandem roller)
→ 삼축롤러.
삼층여과 (三層濾過, three-layer filtration)
여과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3개의 여재를 사용하는 여과법. 예를들면, 상층은 안트라사이트, 가운데층은 실리카 모래, 하층은 가네트 모래로 구성.
3활절 아치 (三滑節 - , 3-hinged arch)
양단과 중심부에 각각 활절이 장치된 정정 구조의 아치.
삼현교 (三弦橋, triangular truss, three chord bridge)
상하 양현중의 한쪽이 2현, 다른 한쪽은 1현으로 횡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트러스교.
삽구 (揷口, spigot)
주철관의 이음부는 한쪽이음부가 관자체 그대로 되어있는 수구와 다른족 이음부가 소켓모양으로 접합하도록 되어 있는 삽구로 되어 있음.
삽비비기 ( - , shovel mixing)
철판 등의 판 위에서 인력으로 삽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비비는것.
상각비 (償却費, depreciation cost)
기계 등의 사용에 따른 가치손실분을 비용으로 계산한 것으로 초기 구입된 고정자산의 시간에 따른 감가분을 의미하며, 계산방법으로 정액법, 정율법 등이 있음.
상관계수 (相關係數, correlation coefficient)
통계적으로 단위와는 무관한 측도를 얻기 위하여 X와 Y의 공분산(covariance)을 두 확률변수 X와 Y의 표준편차의 곱으로 나눈 값을 X와 Y의 상관계수라 함.
상관분석 (相關分析, correlation analysis)
변수사이의 상관계수 등에 관하여 추정이나 검정을 하는 것.
상당경사 (相當傾斜, equivalent grade)
곡선저항을 선로경사로 환산한 것으로 실제구배와 환산구배와의 합산구배이며, 선로선정시 상당구배는 제한구배를 초과할 수 없음.
상대 강성도 (相對 剛性度, relative stiffness)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들의 상대적인 강성도.
상대도수 (相對度數, relative frequency)
측정치의 어떤 값(또는 어떤 구간에 속하는 값)의 출현도수를 측정치의 총수(또는 전체구간에 속한 값)으로 나눈 값.
상대습도 (相對濕度, relative humidity)
어떤 온도에서 공기중의 실제증기압(또는 수증기량)과 그 온도에서의 포화증기압(또는 포화수증기량)과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상대식 승강장 (相對式 乘降場, separate platform)
철도역의 플랫홈이 선로를 사이에 두고 상대로 설치한 홈을 말함.
상대식이음매 (相對式 - , parallel joint)
궤도상의 좌우레일이음 위치를 나란히 배열하여 이음매부의 궤도파괴는 크지만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이음임. 맞이음이라고도 하며 상호식이음에 반대되는 용어임.
상대조도 (相對粗度, relative roughness)
관수로에서 관벽의 절대조도(상당조도)와 관의 직경과의 비.
상로교 (上路橋, deck bridge)
노면이 주형 또는 주트러스 위쪽에 있는 교량.
상류 (常流, subcritical / tranquil flow)
개수로에서 흐름의 평균유속이 한계유속보다 작은 흐름.
상류단 (上流端, heel)
옹벽의 흙이 있는 쪽의 기저부분 또는 댐의 상류쪽의 기저부분.
상류면 (上流面, upstream face)
댐이나 사련에서 상류쪽에 위치한 경사진 평면.
상류수 (上流水, headwaters)
① 구조물의 상류에 있는 물.
② 하천의 상류구간 또는 수원.
상류조절 (上流調節, upstream control)
하류에 있는 저수지의 수위변동이 상류에 위치한 댐의 방류량의 영향을 받게 될 때 이것을 상류조절이라 함.
상류침전 (常流沈澱, continuous flow sedimentation)
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느린 유속으로 유하시키며 침전을 행하는 것.
상반 (上盤, upper plate)
복축형트랜싯에서 수준장치의 태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망원경, 버니어, 수준기, 연직분도원이 장치되어 있는 상부부분의 평반으로 각을 관측할 때 회전하는 부위를 말하며 수평반이라고도 함.
상반 정리 (相反 定理, reciprocal theorem)
선형 탄성 구조물에 2 가지 역계가 따로 작용할 때, 제 1 역계에 의한 변위에 대한 제 2 역계가 한 가상일은 제 2 역계에 의한 변위에 대한 제 1 역계가 한 가상일과 같다고 하는 정리로서 Maxwell의 정리와 Betti의 정리의 총칭임. Betti-Maxwell 의 상반의 정리라고도 함.
상보 에너지 (相補 - , complementary energy)
→ 공액 에너지.
상보해 (相補解, complementary solution)
→ 공액해.
상본선 (上本線, up main track)
상행 열차를 운전하기 위하여 건설된 본선.
상부거푸집 (上部 - , top form)
경사슬래브 또는 셀형의 얇은 판의 상부 및 외부의 표면위에 필요한 거푸집.
상부고정나사 (上部固定 - , upper tightening screw)
복축형트랜싯에서 평반의 상반과 하반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상부구조 (上部構造, super / upper structure)
구조물 하부 및 기초를 제외한 부분
상부노상 (上部路床, upper subgrade)
도로포장시 하부보조기층아래의 1m높이부분인 노상중 노상마무리면에서 40 cm깊이 까지를 말함.
상부노체 (上部路體, upper road bed)
도로포장시 노상밑에서 원지반까지인 노체에서 노체 마무리면 1m 깊이까지의 포장층을 말함.
상부저수지 (上部貯水池, forebay)
양수발전소에서 고지대에 양수한 물을 저수하기 위하여 설치한 저수지.
상사 (相似, similitude)
실물 또는 원형과 모형에서 서로 대응하는 물리적 양이 일정 비율관계를 가지는 현상.
상사법칙 (相似法則, similarity law)
→ 상사율.
상사율 (相似律, law of similitude)
실물 또는 원형과 모형사이에 물리적 현상이 상사가 될 수 있도록 모형의 축척을 결정할 수 있는 물리적 관계.
상선 (上線, up track)
상행 열차를 운전할 목적으로 건설된 선로.
상세 (詳細, details)
골조에 대비하여 특정부분의 세부․세목을 말하며, 상세를 도면에 도시한 것이 상세도임.
상세도 (詳細圖, detail drawing)
골조에 대비한 특정부분의 세부․세목을 나타낸 도면.
상소벽돌 (上燒 - , well burned brick)
가장 양호한 품질로 구어진 벽돌 또는 소성온도 1000 ℃ 이상, 압축강도 150kg/cm2이상, 흡수율 20 %이하의 벽돌.
상수보호구역 (上水保護區域, water source conservation area)
상수원 보호를 위해 수도법에 근거하여 지정된 상수원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역.
상수원 (上水源, water supply source)
하천, 저수지, 댐과 같이 급수를 위하여 요구되는 원수를 취수할 수 있는 곳. 가능한 한 수량이 풍부하고 수질이 양호해야 하며, 소비지역에 가깝고 소비지역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음.
상승류 (上昇流, up flow)
위로 이동하는 흐름.
상승부곡선 (上昇部曲線, rising limb / segment)
강우가 시작되면 초기손실이 만족되면 직접유출이 증가하게 되며 수문곡선은 유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첨두유량에 이르게 됨. 이때 수문곡선에서 유량이 증가하는 상승기점부터 첨두유량까지의 곡선구간을 말함.
상승슬러지 (上昇 - , rising sludge)
침전조내가 혐기성화 되면 바닥에 쌓인 슬러지가 혐기성분해를 일으키는데 이때 발생되는 기포와 함께 부상되는 슬러지.
상승작용 (上昇作用, synergy)
2종 이상의 물질이 동시에 투여되었을 때, 각각의 물질이 단독으로 투여되었을 때 개개 효과의 대수합보다 크게 작용하는 것.
상시만수위 (常時滿水位, normal pool level)
평상시에 저수지의 수면이 유지될 수 있는 최고수위.
상시미동 (常時微動, microtremor)
지반에 여러가지 잡다한 진동원에 의하여 발생되는 미소진동. 특히 주기가 1~2초보다 짧은 미소진동은 야간에는 진폭이 작고 주간에는 커지는데, 주로 교통이나 기계 등의 인공적인 진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무수한 파동의 집합으로 이루어짐.
상시사용수량 (常時使用水量, firm discharge, discharge for firm power)
일년 내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수량을 말하며 이것을 기준으로 상시출력이 구해짐. 보통 수로식 발전소에서는 갈수량을, 댐식 발전소에서는 저수지로 조정하여 얻어지는 최소의 사용수량을 표준으로 함.
상시조사 (常時調査, permanent count)
교통량조사의 한 방법으로써 도로상에 교통량 측정기기를 설치하여 장기간에 걸쳐(1년 이상) 이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대수를 한 시간 이하의 단위로 측정하고 이를 기록하는 것.
상시첨두 사용수량 (常時尖頭 使用水量, firm peak discharge, discharge for firm peak power)
상시사용수량을 조정지에서 조정하여 매일의 첨두 부하시에 사용할 수 있는 수량으로 1일의 첨두부하 시간은 4~6시간이며 1년을 통하여 매일 이 시간에는 꼭 사용하지 않으면 안됨.
상시첨두출력 (常時尖頭出力, firm peak power)
상시첨두사용수량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전소 출력.
상시출력 (常時出力, firm power)
상시사용수량에 대한 발전소 출력으로 상시수력, 상시전력이라고도 함.
상압주입법 (常壓注入法, open tank process)
상시온도의 방식제 속에 목재를 수십일 담가 두어서 방식제가 목재속에 주입되도록 하는 방법.
상압증기양생 (常壓蒸氣養生, atmospheric steam curing)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시 상압에서 증기를 뿜거나 가열하여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방법.
상온살포 (常溫撒布, cold application)
아스팔트포장시 역청재료를 상온 또는 상온에 가까운 온도로 골재에 살포하여 침투시키는 것.
상온용포장타르 (常溫用鋪裝 - , cold applied road tar)
상온 또는 100 ℃로 가열되어 사용되는 포장타르로 가열용에 비하여 휘발성성분이 많고 점도가 낮은 타르임.
상온침투식공법 (常溫浸透式工法, cold penetration macadam)
액체성 아스팔트를 상온 또는 상온에 가까운 온도로 골재에 살포침투시키는 아스팔트 머캐덤공법.
상온펀칭너트 (常溫 - , cold punched nut)
너트의 높이와 같은 두께의 재료로 부터 외형 및 나사구멍자리를 상온에서 구멍을 내어 만든 너트. 뚫기너트라고도 함.
상온 혼합식공법 (常溫 混合式工法, cold mixing and laying)
아스팔트유제나 커트백아스팔트 등의 역청재료를 상온 또는 상온에 가까운 온도로서 혼합하여 포설하는 공법.
상자틀 (箱子 - , case frame)
교량 기초공과 같이 단면이 크지 않은 수중기초 터파기의 시공시 사용되는 목제상자틀로서, 굴착정도에 따라 상자틀을 침하시키거나 또는 세로판을 더 박으면서 가로판을 이어나감.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상자틀도 있으며 굴착 종료시에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으로 함.
상자형단면 (箱子形斷面, box section)
상자모양의 단면으로 철판이나 형강 등으로 구성된 단면의 일종이며, 단면을 구성하고 있는 재편의 중심선이 폐쇄되어 있는 함형 단면임. 비틀림 강성과 좌굴, 부식에 강하고 격점등의 리벳연결이 어려우나, 장지간 교량, 라아멘 등에 사용됨.
상자형 들보 (箱子形 - , box beam)
상자형 단면을 가진 들보.
상자형암거 (箱子型暗渠, box culvert)
수로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단면이 연속된 암거.
상재하중 (上載荷重, surface load)
흙의 자중에 의한 하중을 제외한 지반위에 가해지는 모든 형태의 하중을 말함.
상좌표 (像座標, image coordinates)
사진상의 점을 정밀좌표관측기(comparameter)로 읽은 좌표. 또는 위성영상과 스캐닝된 영상의 영상소(pixel)좌표.
상징액 (上澄液, supernatant liquor)
침전가능한 물질이 침강된 후 침전물과 용해평형의 상태에 있는 맑은 액체.
상차 (償差, compensating error)
오차의 원인이 발생되지 않고 우연성에 의하여 지배되는 오차로서, 부호가 정부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서로 상반되어 소멸되는 오차임. 우연오차, 소멸오차라고도 하며, 작을수록 자주 일어남.
상충 (相衝, conflict)
→ 교통상충.
상충 조사 (相衝 調査, conflict studies)
평면 교차로의 상충 중에서 상충이동류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충의 형태, 상충되는 교통량, 상충이 발생하는 시기 및 위치, 그리고 상충 교통류의 평균 속도 등을 분석하는 것.
상치식공법 (上置式工法, surface method)
기존 노면이나 지표면위에 자갈, 부순돌 등을 깔아서 새로운 노면을 만드는 방법.
상치신호기 (常置信號機, fixed signal)
철도신호체계에서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신호기로서 주신호기, 종속 신호기, 신호 부속기가 있음. 주신호기는 장내, 출발, 폐색, 유도, 입환, 엄호 신호기가 있고, 종속 신호기는 원방, 통과, 중계 신호기가 있으며, 신호 부속기는 진로 표시기가 있음.
상태경계면 (狀態境界面, state boundary surface)
체적비 f, 평균유효응력 p', 주응력차 q'를 좌표축으로 하는 f-p'-q'공간에 있어서 항복상태의 흙이 이루는 상태곡면. 흙은 이 면의 외부의 응력상태에 있을 수 없음.
상판 (床版, floor slab / deck, deck plate)
바닥면을 구성하는 나무, 강, 콘크리트 등의 판(판). 마루널판, 마루판이라고도 함.
상판부벽댐 (上板扶壁 - , slab-buttress dam)
부벽댐의 일종으로서 부벽과 부벽사이에 상판을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댐 형식.
상플랜지 (上 - , upper / top flange)
부재의 위측에 있는 플랜지.
상한계유속 (上限界流速, upper critical velocity)
층류상태로부터 유속을 증가시켜 난류상태로 변할때 층류와 난류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유속.
상한규격식 (上限規格式, upper specification limit)
어느 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상한의 한계치를 규정한 것. 예컨대 아스팔트량은 ±0.3 %의 범위이어야 한다고 하는 경우의 +0.3 %의 값. 설계값이 6.0 %이면 각각의 시료의 아스팔트량은 6.3 %를 넘으면 안됨.
상향용접 (上向鎔接, overhead position of weld)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행하는 용접으로, 양호한 용접상태를 얻기가 어려운 용접임.
상향통풍 (上向通風, up draft)
도로, 터널 등에서 자동차연료 등의 연소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하며 배출시키는 것으로 터널의 경우 터널저부에 송기구, 터널정부에 흡기구를 설치함.
상현재 (上弦材, upper chord)
트러스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중 상부에 위치한 부재. 트러스에 작용하는 연직하중에 대하여 상현재에는 일반적으로 압축력이 발생함.
상호식 이음매 (相互式 繼目, alternate joint)
한쪽 레일의 이음매가 다른 쪽 레일의 중앙부에 있도록 배치한 이음 방법으로 이음매부 통과시 궤도와 차량이 받는 충격과 소음이 적고 열차의 진동이 적으나 상대식 이음매 방식보다 침목이 더 소요되고 좌우진동이 발생되기 쉬움.
상호표정 (相互標定, relative orientation)
좌우사진에서 이루어지는 종시차를 소거하여 입체모형(model)전체가 완전입체시 되도록 하는 작업.
새그 ( - , sag)
현수구조에 있어서 주 케이블의 수직 처짐량을 표시하는 값. 케이블의 지점을 연결한 직 선과 케이블 중심선간의 연직 최대 거리를 말함.
새들 ( - , saddle)
① 현수교의 교탑에서 케이블의 받침으로, 가동새들과 고정새들이 있으며,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또한 케이블의 반력을 충분히 교탑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함.
② 아치댐 건설시 댐 본체의 타설이전에 미리 부드러운 곡면의 마름면을 갖는 인공어버트먼트(abutment)를 축조한 후 이 위에 댐 본체를 축조하는데, 이때 인공어버트먼트를 의미함.
③ 교량의 지간사이 등에 침목이나 각재 등을 우물정자(井)형태로 쌓아 올려 보나 중량구조물 을 받쳐주는 가설받침대.
색도 (色度, color)
물의 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색도표준액을 희석하여 시료와 비교함. 색도표준액은 염화백금산칼륨 2.49 g, 결정염화코발트 2.00 g 및 염산 200 mL에 물을 가하여 녹여서 1L로 만든 것을 1000도라고 하며, 예로 이 색도표준액 1 mL를 물을 이용 1 L로 희석할 경우 나타나는 색을 1도라 함.
색등식 신호기 (色燈式 信號機, colour light signal)
신호기의 현시 방법을 색에 의하여 현시하는 신호기.
샌더그라인더 ( - , sander grinder)
동력구동의 표면연마기.
샌드드레인공법 ( - 工法, sand drain method)
연약지반에서 지름 40~60 cm, 간격 1~3 m, 깊이 10 m 내외의 모래기둥을 만들어 배수거리를 줄임으로써 지반내 배수를 촉진시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
샌드매스틱공법 ( - 工法, sand mastic method)
사석방파제의 경사면과 혼성방파제의 밑다짐공의 사석시공시 비산, 세굴을 막기 위해 샌드매스틱을 사석의 틈새에 유입시켜 고결시키는 공법으로, 샌드매스틱은 아스팔트 16~20 %, 채움재(석탑, 석분 등) 7~22 %, 모래 58~77 %의 혼합물이며, 160~200 ℃까지 가열한 후 슈트나 파이프 등으로 수중의 사석부위에 직접 그라우트함.
샌드매트 ( - , sand mat)
연약지반처리를 위하여 원지반위에 1m 내외의 두께로 가설한 모래층으로 시공기계의 작업효율을 높이며, 샌드매트의 압밀효과로 지반내의 지하수가 배수되는 통로가 되며 지반내에서 성토부위로 침투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음. 배수량이 많은 지반의 경우 샌드드레인공법과 혼합사용되기도 함.
샌드블랭킷 ( - , sand blanket)
모래를 이용한 차단층을 포장층과 노상과의 사이에 설치하는것.
샌드블라스팅 ( - , sand blasting)
모래를 고압수에 혼합하여 5 kg/cm2로 콘크리트이음면 등에 분사하여 먼지, 기름 등의 불결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나 모래의 모양, 크기, 경도, 압력 등의 고려해야 할 문제점이 많음.
샌드아스팔트 ( - , sand asphalt)
모래와 아스팔트의 혼합물로 모래의 입자를 골재로한 아스팔트시멘트 또는 액체아스팔트와의 혼합물이며 비용이 저렴한 기층포장에 주로 사용됨.
샌드위치공법 ( - 工法, sandwitch method)
연약지반위에 아스팔트포장을 할 경우, 입도조정쇄석과 아스팔트콘크리트층으로 상부기층과 표층을 시공한 후 상부기층과 연약노상사이에 강성이 큰 콘크리트로 하부기층을 시공하는 포장공법.
샌드위치성토공법 ( - 盛土工法, multiple sandwitch method)
함수비가 높은 점성토로 성토할 경우의 안정처리공법의 일종으로, 일정 두께의 연약점토층 사이에 카드보드, 생석회, 모래층 등의 수평배수재를 삽입하여 시루떡모양으로 성토하는 공법. 시루떡공법이라고도 함.
샌드잭 ( - , sand jack)
깨끗한 마른모래로 채워진 상자로서 그 위에 센터링용의 지주바닥을 지지하는 봉이 놓여있음. 상자밑에 있는 구멍의 마개를 빼면 모래가 상자로부터 쏟아져 나와 센터링을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음.
샌드콤펙션말뚝 ( - , sand compaction pile)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지반내에 충격력과 진동력으로 모래를 압입하여 생성된 모래기둥으로 샌드파일이라고도 하며 모래기둥으로 배수를 촉진시킬수 있으며 모래기둥의 시공때 주는 타격으로 주변지반을 다지는 효과도 갖고 있음. → 다짐모래말뚝.
샌드 팻칭 ( - , sand patching)
노면의 거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 잘 건조한 입경 0.3~0.15 mm 또는 0.15~0.074 mm의 모래를 노면의 거칠기에 따라 50 cm3 또는 10 cm3 메스실린더로 재어 붓고 지름 약 5 cm의 고무판이 붙은 흙손으로 될 수 있는 대로 넓게 원형으로 펴 고름.
샌드펌프 ( - , sand pump)
원심력 펌프의 일종으로 모래와 진흙이 섞인 이사의 처리수송에 사용하는 흙탕물용의 펌프.
샘플러 ( - , sampler)
흙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흙 시료채취용 기구로서, 지반의 강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샘플러가 있으며, 보링굴착기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되기도 함.
샘플링튜브 ( - , sampling tube)
흙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한 흙 시료채취용 튜브로서 강철제의 원형튜브모양이며, 불교란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사용됨.
생기확률 (生起確率, probability of occurrence)
수문량의 확률분석을 통하여 장래의 일정한 기간내에 어느 수문량과 같거나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진 수문량이 발생할 확률.
생력화 궤도 (省力化 軌道, manpower saving track)
레일, 침목, 도상으로 구성된 유도상 궤도에 비해 보수노력을 저감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궤도의 총칭을 생력화 궤도라 함. 여기에는 건설선 시공을 전제로 하여 슬래브 궤도, 침목 직결궤도, 강교직결 궤도, 콘크리트 도상 궤도 등이 있고 기설선 시공을 전제로 하여 포장궤도, 진충도상 궤도가 있음.
생물막 (生物膜, biological slime)
모래, 자갈, 쇄석등과 같은 여재에 물이 통과될 떄 여러가지 미생물이 부착 증식하여 생성되는 생물막. 수중의 유기물질, 용해물질, 세균 등을 흡착 분해하여 물을 정화하는 작용을 함.
생물상 (生物相, biota)
일정지역 또는 환경내에서의 생물종류의 구성. 식물상과 동물상이 있음.
생물시험법 (生物試驗法, bioassay)
어떤 물질의 작용이나 효과를 알기 위해 생물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는 시험법. 특히 생물을 사용하여 어느 물질을 정량분석하는 경우에는 생물정량법이라 호칭함.
생물학적 고형물질 (生物學的 固形物質, biological solids)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고형물질을 말하며, 시료를 500~550 ℃로 강열했을 떄 열분해되는 고형물.
생물학적 농축 (生物學的 濃縮, biomagnification)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질이 주변 환경중에서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생체내에 축적되는 현상. 자연계의 생물은 먹이사슬과정을 거치므로, 특정물질은 하위의 생물로부터 상위의 생물로 이행되어 상위의 생물일수록 농축의 정도는 높게 됨.
생물학적 반감기 (生物學的 半減期, biological half-life)
어느 물질이 혈액중이나 그외의 장기, 또는 생물전체에서 감소 및 소실되어 갈때, 농도가 초기농도의 1/2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물질 축적성의 지표임.
생물학적 방법 (生物學的 方法, biological process)
세균, 기타 미생물의 생활활동이 식물(食物)을 구하여, 복잡한 유기물을 간단하고 한층 안정한 물질로 분해하는 방법.
생물학적 산화 (生物學的 酸化, biological oxidation)
하수처리에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것. 하수처리의 경우 호기성균에 의한 처리로 활성오니법 및 살수여상법 등에 이용됨.
생물학적 여과 (生物學的 濾過, biological filtration)
모래, 자갈, 쇄석등과 같은 여재에 하수가 유입 또는 살수되면, 여재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하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질이 흡착·분해되어 유출수가 정화되는 것.
생물학적 오염지표 (生物學的 汚染指標, biological index of pollution)
수질오염의 정도를 생물을 대상으로 하여 수량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로서, 수질 판정에 사용됨. 전체생물수에 대한 무색생물수의 백분율에 의해 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생물학적 정화 (生物學的 淨化, biological purification)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서 하수중의 유기물질을 무기화시킴으로써 정화시키는 것.
생물학적 처리 (生物學的 處理, biological treatment)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처리를 행하는 것을 말하며, 호기성분해에 의한 것과 혐기성분해에 의한 것이 있음. 전자는 호기성균이 유기물질을 산화분해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혐기성균이 유기물질을 환원분해하여 메탄과 탄산가스 등을 만드는 방법임.
생물학적 회전원판 (生物學的 回轉圓板,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호기성 생물학적 처리법 중 하나로 PVC등 플라스틱 제재로 된 회전원판에 미생물을 부착시켜,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폐수의 유기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생분해성 (生分解性, biodegradability)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 되는 성질.
생분해성 세제 (生分解性 洗劑, biodegradable detergent)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세제로 LAS(연성세제) 등이있음.
생석회 (生石灰, quick lime)
산화칼슘(CaO). 석회석을 1000~1200 ℃ 로 열분해하여 만듬. 백색의 분말로서 물을 가하면 다량의 열이 발생되며 수산화칼슘으로 됨. 건조제, 탈수제, 석회비료, 소독제, 토양중화제 등으로사용되고 있음.
생석회말뚝공법 (生石灰 - 工法, quicklime pile method)
생석회를 이용한 심층지반 안정처리공법의 일종. 연약지반중에 생석회 덩어리 또는 생석회계의 재료를 말뚝모양으로 타설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
생슬러지 (生 - , raw sludge)
침전지에서 갓 빼내 아직 분해가 그다지 진행되지 않은 오니. 즉 최초 침전지 및 최종 침전지에서 볼 수 있는 침전물 또는 부유물질로서, 소화가 되어 있지 않은 오니를 말함.
생지 (生地, original surface, substrate, ground)
목재․콘크리트․강재 등이 도장되기 전의 물체. 주로 표면을 의미함.
생태계 (生態係, ecosystem)
일정공간에서 생육하는 식물과 동물을 포함한 생물군집과 그들의 생육을 제어 또는 촉진하는 자연계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의 여러 요인이 총합된 환경조직체.
생태학 (生態學, ecology)
생물의 번식과 분포를 지배하는 인자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生化學的 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서 호기성 분해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을 mg/L로 나타낸 것으로, 수중 유기물질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척도가 됨.
생화학적 산화 (生化學的 酸化, biochemical oxidation)
수중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산화되는 것.
생활환경 (生活環境, living environment)
사람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재산 또는 동식물 및 그의 생육환경을 말함.
샬피 시험 ( - 試驗, Sharpy test)
샬피충격시험기를 사용해서 재료의 인성을 측정하는 시험. 노치를 가진 시험편을 지지대에 설치하고, 해머를 어느 높이로 들어올려 풀어주면, 해머는 실험편을 파괴시키며 반대측으로 스프링이 올라감.
섀시 ( - , chassis)
컨테이너 1개를 적재하고 트럭에 의해 끌리는 트레일러.
서메트 공구 ( - 工具, cermet tool)
칼날부의 재료로 서메트(탄화 티타니움을 주체로한 소결물 및 그것과 비슷한것)를 사용한 공구.
서브그레이더 ( - , subgrader)
콘크리트포장공사에서 사용되는 노반 콘크리트포설용 기계로서, 포장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포설면을 고르고 서브그레이더 커터로 여분의 흙을 거푸집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기계.
서브그레이더플래너 ( - , subgrader planer)
콘크리트포장공사에서 강제거푸집내의 지면을 마무리 정형하는 기계로서 서브그레이더처럼 거푸집내를 주행하며 거푸집속의 지면을 정형하는 기계이나 서브그레이더와 달리 거푸집내의 흙을 밖으로 배출할 수 없음.
서브머지드아크용접 ( - 鎔接, submerged arc welding)
금속재 사이에 설치한 전극에서 발생되는 아크열로 금속재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의 연성이 우수하고 열영향에 의한 경화도 적음. 용접선을 따라 레일위에 장치를 올려 놓고 용접봉을자동적으로 출입함으로써 자동용접하는 방식.
서브실링 ( - , subsealing)
텀핑액션에 의하여 콘크리트포장 슬래브하부에 생긴 공극이나 공동의 슬러리를 주입하여 포장슬래브의 파손을 방지하는 공법으로 슬러리는 역청재료, 포틀랜드시멘트, 세사, 시멘트, 분산제, 물 등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음.
서브제로 처리 ( - 處理, subzero treatment)
0 ℃ 이하의 저온도로 냉각시키는 조작. 열처리한 강에서 이 처리를 적용하는 목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켜서 부품의 내구 변형을 방지 하는데 있음.
서브펀칭 리밍 ( - , subpunching and reaming)
소정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펀칭해서 뚫고, 리머을 이용하여 소정 지름으로 구멍을 넓히는 것. 구멍을 맞출때 사용함.
서비스 교통량 ( - 交通量, service volume)
어떤 서비스 수준에서의 차선 또는 차도를 통과할 수 있는 시간당 최대 교통량.
서비스 교통류율 ( - 交通流率, service flow rate)
어떤 서비스 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에서 도로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교통류율.
서비스 수준 ( - 水準, level of service)
차선 또는 차도에 여러가지 교통량을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교통상태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속도, 여행시간, 교통장해, 주행의 자유성, 안전성, 쾌적성 등 많은 인자의 영향을 정성적으로 표시한 척도로 미국에서는 도로설계에 적용시키기 위해 A, B, C, D, E, F의 6종이 있으며 이 수준은 운전속도와 교통량의 교통용량에 대한 비의 두 가지 인자의 관계로 표시함. 약어 : LOS.
서비스 에리아 ( - , service area)
휴식시설의 한가지로서 수리소, 급유소, 식당 등의 시설을 포함하는 것.
서비스지수 ( - 指數, present serviceability index)
포장상태의 양호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0.0(통행 불가능상태)에서 5.0(이상적인 노면상태)까지의 숫자로 표시함.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노면평탄성(승차감), 균열, 소파보수, 바퀴자국패임 등이며 이 중 노면평탄성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함. 약어 : PSI.
서스펜션드레저 ( - , suspension dredger)
버킷래더식 수중굴착기로서 4개의 지주가 있는 비계식타설설비에 기계전체를 매달고 간단히 수중굴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
서스펜션 아치 ( - , suspension arch)
압축재를 주체로 한 아치 구조와 인장재를 주체로 한 현수구조를 조합한 구조.
서어지 빈 ( - , surge bin)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제조된 가열혼합물을 보온하면서 비교적 단기간 동안 저장하여 두는 설비 빈의 주위는 보온재로 피복되어 있고 배출 게이트에 전열히터 등을 부착한 것도 있음. 주로 플랜트의 이동률을 높이고 동시에 운송용의 덤프트럭 대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함.
서어징 ( - , surging)
① 수압관로내의 밸브조절에 의한 유량변동으로 조압수조 및 압력수로에 생기는 급격한 수위와 수압의 상승현상.
② 해안에서 조석, 파랑이나 급격한 기압변동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해면이 급격히 상승하여 밀려오는 현상.
서중콘크리트 (署中 - , hot weather concrete)
대기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시공하는 콘크리트를 말하며 혼합시 물의 발열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 골재를 장시간 열에 노출시키지 않은 채로 30。C 이하로 타설함.
서프 비이트 ( - , surf beat)
군파의 영향으로 쇄파대 내의 평균수위가 파랑의 주기보다 훨씬 긴 주기를 가지고 진동하는 현상.
서행신호 (徐行信號, slow speed signal)
열차 서행을 해야 하는 구간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하여 서행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임.
서행예고 신호 (徐行豫告 信號, slow speed approach signal)
진행하려는 열차의 전방에 서행 신호가 현시되어 있음을 예고하는 신호임.
서행운전 (徐行運轉, slow operation)
→ 열차 서행.
서행해제 신호 (徐行解除 信號, slow speed release signal)
서행 구역을 벗어나는 열차 및 차량에 대하여 서행이 해제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기 임.
석고 (石膏, gypsum)
함수황산칼슘의 총칭. 가끔 두꺼운 층으로 되어있는 수성암, 석회암, 점토 등의 속에서 산출됨. 소석고를 만들고 벽도료인 석고반죽이나 석고판 등의 재료가 됨. 포틀랜트 시멘트를 만들때 응결의 완화제로 쓰임.
석고반죽 (石膏 - , gypsum plaster)
회반죽에 소석고를 약간 섞어서 만든 반죽으로 벽체 미장재료로 사용됨.
석공 (石工, mason)
돌을 사용하는 공사 즉 돌쌓기, 돌붙임, 채석, 석재가공 등의 석공사에 종사하는 인부.
석괴포장 (石塊鋪裝, block pavement)
가로,세로 50 cm, 두께 10 cm 정도의 일정한 크기의 화강암, 경사암 등을 노반상에 깔아 틈새를시멘트모르터나 모래로 채운 포장으로, 궤도부설포장에 쓰임.
석면 (石綿, asbestos)
석면은 각섬석과 사문석 등의 미세한 섬유가 집합한 것으로 석면 슬레이트로서 각종의 건축, 기타 내화, 방열재료, 전기절열용재료 등에 쓰임. 석면분진은 새로운 대기오염물로 등장하고 석면병의 원인이 되고 있음.
석면병 (石綿病, asbestosis)
석면 분진을 흡입하였을 때 생기며 폐에 만성의 섬유증식을 일으켜서 폐암의 원인이 됨.
석면슬레이트 (石綿 - , asbestos cement slate)
석면과 시멘트가 혼합된 석면시멘트판으로 지붕잇기 등의 건축재료에 사용됨.
석면시멘트관 (石綿 - 管, asbestos cement pipe)
석면과 시멘트가 혼합된 관으로 조직이 치밀하여 주철관에 비하여 내부식성, 절연성이 좋으며 석면과 시멘트비를 1:5~1:7정도로 물에 반죽해서 만든 관으로 압력과 화학작용 등에 잘 견디나 내진성에 약함.
석면아스팔트모르터 (石綿 - , asbestos asphalt mortar)
용융아스팔트에 석면을 혼합한 모르터로서 방수효과를 겸할 수 있으며 붙임재의 교착용으로 사용됨.
석분 (石粉, mineral filler, stone powder)
석회석 또는 화성암류를 분말로 한 것임. 통상 아스팔트혼합물 필러로 사용함. 석회암류 분말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석분 빈 (石粉 - , filler bin)
아스팔트 플랜트의 석분 엘레베이터에서 공급되는 석분을 일단 저장하여 두는 용기임. 석분 빈 중의 석분은 계량스크류, 석분계량단를 거쳐서 믹서에 투입됨.
석분 싸이로 (石粉 - , mineral filler silo)
아스팔트 플랜트의 설비의 하나로서, 석분을 일반적으로 저장하여 두기 위한 보통 원탑상의 저장고이며, 용량 15~20톤 정도의 것이 플랜트의 능력에 따라 1~2기 설치됨.
석산골재 (石山骨材, quarry run aggregate)
자연산의 골재가 아니고 석산에서 모암을 파쇄기로 깨거나 발파하여 생산된 골재.
석션콘베이어 ( - , suction conveyer)
흡입장치가 달려있는 콘베이어.
석션펌프 ( - , suction pump)
흡입하는 용도에만 사용되는 펌프.
석영 (石英, quartz)
산화규소(SiO2)를 성분으로 하며 상당히 안정된 조암광물의 일종으로 대부분의 암석에 포함되어있고 비중은 2.65정도로 사질토 토립자의 대부분이 석영으로 되어 있음.
석영반암 (石英斑岩, quartzporphyry)
화강암에 대응하여 관입암체로 산출되는 반상 화성암. 화강암에 가까운 것을 화강 반암이라고 함. 반정을 이루는 광물은 알칼리 장석과 석영이며, 석영은 융식된 형태로 되어 있음. 보통 흑운모나 각섬석, 휘석을 소량 함유함. 석기는 유문암 보다 결정도가 높고 잠정질 내지 미정질임.
석영조면암 (石英粗面岩, liparite)
유문암이라고 하며 산성화산암의 일종으로 약간 조립의 석영, 장석, 운모 등의 광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석질이 거칠고 단단하며 내구성이 좋아 공사재료로 많이 사용됨.
석유아스팔트 (石油 - , petroleum asphalt)
석유를 증류하여 비등점이 낮은 가솔린, 나프타, 케로싱 등의 성분을 추출하고 남은 아스팔트로 스트레이트(straight), 블론(blown) 2종류가 있음. 도로포장재료나 방수재로 사용됨.
석유아스팔트유제 (石油 - , emulsified asphalt)
가열용융된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알카리성 또는 산성의 수용액을 유화기에 넣어 수용액중에 아스팔트를 미립자로 분산시킨 유액으로 주로 도로포장용재료로 사용됨. 유동성이 있고 상온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비탈면의 보호용으로 사용되기도 함.
석재 (石材, stone)
모암에서 절취된 암석을 조직과 성분을 파괴하지 않은 채 가공 성형하여 공사재료로 사용하는 암석재료로, 경제적으로 공급이 가능해야 하고 강도, 내구성, 가공성을 갖추어야 함.
석조댐 (石造 - , masonry dam)
댐을 축조하는 주 재료가 돌이나 암석으로 된 댐.
석축 (石築, masonry retaining wall)
돌을 쌓아 만든 간이옹벽. 돌과 돌의 틈을 콘크리트로 충진한 것을 찰쌓기, 충진하지 않은 것을 메쌓기라 함. 석축옹벽(石築擁壁)이라고도함.
석탄 (石炭, coal)
태고때의 식물질이 땅속 깊이 묻히어 오랫동안 지압, 지열로 분해되어 생긴 함수탄소물질의 화석연료로 탄화정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역청탄 외에 갈탄, 흑탄, 무연탄으로 분류되며 연료, 화학공업, 공사재료로 사용됨.
석탄기 (石炭紀, Carboniferous (period))
고생대를 지질시대로 세분할 때, 캄브리아기(Cambrian period, 5.64~5.0억년전), 오-도비스기(Ordovician, 5.0~4.36억년전), 실루리아기(Silurian, 4.36~4.09억년전), 데본기(Devonian, 4.09~3.6억년전), 석탄기(Carboniferous, 3.6~2.84억년전), 페름기(Permian, 2.84~2.42억년전)로 구분함. 석탄기~페름기에는 양서류가 서식하게 되고 육지의 대부분이 삼림으로 덮여 있어, 석탄기의 지층에는 대규모의 석탄층이 발달됨.
석편 (石片, debris)
돌조각으로 암석이 기계적 풍화에 의하여 작은 조각으로 된것.
석호 (潟湖, lagoon)
사주에 의하여 외해와 분리된 해안의 호수.
석회 (石灰, lime)
일반적으로는 생석회(산화칼슘)를 말하나 소석회(수산화칼슘)을 말하는 경우도 있음. 석회석을 1000~1200 ℃에서 가소시켜 만든 백색의 고체임. 이것을 물에 첨가하면 소석회가 되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됨.
석회모르터 (石灰 - , lime mortar)
소석회에 모래를 섞어 물로 반죽하여 만든 도료의 일종으로 벽돌쌓기와 미장재료로 쓰임.
석회석 (石灰石, limestone)
횟돌 또는 석회암이며, 탄산석회를 주성분으로 한 수성암으로 건축용재, 석회 또는 시멘트제조의 원료로 사용됨. 결정질로 된것은 대리석이라고 하고, 석회암은 물리적인 풍화작용에 견딜 수 있지만, 금이 생긴 부분에 물이 들어 가면 풍화에 약해 짐.
석회소다법 (石灰 - 法, lime-soda process)
석회와 소다를 사용하여 경수를 연수화시키는 방법. 경수에 소석회를 첨가하면 수중의 마그네슘은 수산화마그네슘으로 되어 침전되고 탄산소다를 첨가하면 수중의 칼슘은 탄산칼슘으로 되어 침전되어 경수가 연수로 됨.
석회안정처리 (石灰安定處理, lime stabilization)
흙에 생석회 또는 소석회를 섞어서 처리하는 화학적 지반안정처리. 소석회는 포조란반응에 의하여 개량효과를 기하며, 생석회는 함수비가 높은 점토의 탈수, 팽창, 경화반응의 성질을 이용함.
석회암 (石灰岩, limestone)
→ 석회석.
석회암 동굴 (石灰岩 洞窟, lime cave)
석회암이 분포하는 지역이 이산화 탄소(CO2)가 녹아든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하여 용식되어 지하에 생긴 동굴을 말함.
석회유 (石灰乳, milk of lime)
탄산석회를 용매제로 하여 도자기 등에 쓰이는 잿물의 총칭으로 백색의 유상액(乳狀液).
선가사로 (船架斜路, slip way)
선박 또는 케이슨 등을 활동시켜 진수시키기 위하여 상자 받침대를 활로상에 지지하는 썰매모양의 미끄럼대로 활로수와 같은 수 만큼 동형의 것을 설치하여 상호연결함. 통상 목조이고 주요 부분은 30 cm정도 두께의 각재임.
선개교 (旋開橋, swing bridge)
상부구조가 어떤 연직축 주위를 수평으로 회전하는 가동교.
선거 (船渠, dock)
선박을 건조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구조물. 건선거, 부선거 등이 있음.
선단개방말뚝 (先端開放 - , open end pile)
강관말뚝이나 기성콘크리트말뚝에서 선단부가 막히지 않은 말뚝임. 선단폐쇄말뚝에 비하여 항타시 관입저항이 적으므로 타입이 용이하며 속파기공법에 의한 말뚝박기가 가능함.
선단 레진정착 (先端 - 定着, point anchoring with resin)
천공 구멍의 선단에 레진을 넣고 록볼트를 밀어넣어 레진에 의해 록볼트 선단이 정착되도록 하는 방법임.
선단원 (先端圓, toe circle)
경사사면의 파괴시에 임계원의 하단이 사면끝을 통과하는 경우의 원.
선단정착형 록볼트 (先端定着型 - , point-anchored rock bolt)
록볼트 선단에 정착장치와 너트를 채워서 인장력을 가하여 굴착면에 반경방향의 압축력을 전달하는 록볼트 정착방법임. 쐐기형과 익스팬션 쉘형이 있음.
선단지지말뚝 (先端支持 - , point(end) bearing pile)
말뚝의 선단부에 있는 지지층에서 얻을 수 있는 지지력을 선단지지력이라 하고, 말뚝이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말뚝을 말함.
선단파괴 (先端破壞, toe failure)
경사사면의 파괴시에 임계원이 사면끝을 지나 가며 파괴되는 것으로 급경사와 점착성이 있는 흙지반의 경사면에서 발생됨.
선단폐색효과 (先端閉塞效果, pile tip plugging effect)
H-형강말뚝이나 강관말뚝을 지중에 타입할때 관내토의 무게 및 벽면마찰력이 선단폐쇄면적에 대한 지지력과 같은 경우 말뚝선단부가 막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말함.
선단폐쇄말뚝 (先端閉鎖 - , closed end pile)
강관말뚝의 선단부를 철판으로 막거나 슈(shoe)를 갖는 콘크리트말뚝과 같이 중공부가 선단에서 폐쇄된 말뚝임. 관입이 쉬운 지층 중간에서 강관말뚝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 선단폐쇄말뚝을 이용하면 효과적임.
선로 (線路, railway line)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통로로써 넓은 의미로 필요한 일체의 모든 설비 즉, 노반, 궤도, 교량, 터널, 역의 시설, 신호설비, 전차선로 등을 말함. 좁은 의미로는 노반, 궤도, 교량, 터널, 고가교 등 단순한 통로만을 뜻함. 선로의 기본구조는 노반, 도상, 침목, 레일 및 선로 구조물이 있음.
선로개량 (線路改良, track improvement)
열차 속도향상 또는 승차감 개선 등을 위하여 기존선의 상태를 좋게 개선하는 것으로 선형개량, 선로구조 개량을 포함함.
선로건설 (線路建設, railway construction)
선로를 새로이 부설하는 것을 말함. 즉, 종래 철도선로가 없던 그 지점간을 연결하여 철도를 부설하는 신선건설과 기설 철도의 수송 능력 증가를 위해 선로를 증설하는 것을 말함.
선로건조물 (線路建造物, structure in railway)
→ 선로구조물.
선로검사 (線路檢査, track inspection)
선로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
선로관리도 (線路管理圖, control map of track)
철도 선로를 관리하기 위한 도면을 말함. 주로 곡선, 구배, 구조물 등 선로의 구조 및 환경 상태를 표시하고 작업상태, 검측상태를 표시하여 관리함.
선로구조물 (線路構造物, sturcture in roadway)
철도선로는 천연 지반위에 각종 장애물을 제거하고 노반을 축조하는데 지반의 기복에 대하여는 깍기와 돋기를 하고 하천, 수로도로 등과 교차개소는 교량을 구축하며, 산악에서는 터널을 설치하는바 이것을 총칭하여 선로구조물 또는 선로건조물이라 함.
선로등급 (線路等級, class of road way / of track)
선로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척도임. 선로의 건설과 보수에 있어서는 수송량과 열차 속도에 따라 열차의 등급을 정하고 그 등급에 해당하는 선로구조로 하여 경제적인 건설과 유지보수를 함. 국철에서는 1~4급선까지 4 등급으로 구분하며 그 내용은 국유 철도 건설규칙에 규정하고 있음.
선로매몰 (線路埋沒, track burying)
산사태 혹은 비탈면 유실 등에 의하여 선로가 토사에 묻혀 열차 운행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를 말함.
선로반 (線路班, track maintenance gang)
일정한 소구간의 선로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작업원들의 작업단위 구성체를 말함.
선로반 경계표 (線路班 境界標, boundary post of track maintenance gang)
선로반의 담당 경계에 관내임을 표시하는 제표임.
선로방비 (線路防備, roadway defence)
선로내에 사람, 동물 및 기타 장애물의 침입을 금지할 목적으로 설치한 설비로서 경계 설비, 비탈면 보호설비, 낙석방지 설비, 지활방지 설비 등이 있음.
선로순회 (線路巡廻, track patrol)
선로는 열차 운행에 따라 수시로 변형, 파손되며 그 상태를 매일 혹은 수시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선로를 주기적으로 도보 혹은 열차를 승차하여 선로상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관찰하고 소보수를 시행하는 것을 선로 순회라 함.
선로연장 (線路延長, route kilometers / length)
철도선로의 길이를 말하며 분기부의 경우 포인트 선단, 선로종단의 경우 차막이를 기준으로 함.
선로용량 (線路容量, carrying / track capacity)
일정 선로상에서의 하루에 운행 가능한 열차회수를 말하며 선로용량은 단선과 복선, 폐색방식, 선로의 상태, 역간거리, 운전속도 등에 따라 다르며 용량을 초과하여 열차를 운행하게 되면 열차지연 및 선로보수에 어려움이 발생함.
선로유효장 (線路有效長, clearance)
정차장 내에서 열차를 정지하기 위한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에 있어서 인접 선로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고 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 유치 시킬 수 있는 길이를 말함. 보통은 선로의 양단에 있는 차량접촉 한계표 사이의 거리를 말하지만 출발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에서는 출발 신호기 까지의 길이를 말함.
선로작업 (線路作業, railway work)
선로에서 시행하는 모든 작업의 총칭으로 선로 유지작업, 재료교환 작업, 선로보강 작업을 말함. 선로유지 작업이란 궤도틀림 작업, 도상다지기, 체결장치보수, 이음매 보수 등 선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작업임.
선로작업표 (線路作業標, work mark of railway)
선로보수 작업원의 작업 위치를 기관사에게 알려 주의를 환기시키며, 열차에 대향하여 약 200 m 밖에 세워야 하고 400 m 전방에서 기관사가 알아 볼 수 있는 위치에 건식함.
선로장애 (線路障碍, railway obstruction)
선로장애는 건축 한계를 범하거나 또는 범할 우려가 있어 열차 운행에 지장이 되는 경우로서, ① 선로내에 긴 말뚝을 박는 경우. ② 선로를 횡단하여 높고, 무거운 물건을 이동할 경우. ③ 도중에서 내리기 어려운 중량물을 트롤리로 운반하는 경우. ④ 암석 토사 등을 선로 부근에서 무너뜨리는 경우. ⑤ 전차선, 조가선, 급전선 등의 단선 및 그 지지물의 도괴, 추락등의 경우를 말함.
선로전환기 (線路轉換器, - )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궤도상의 설비 전철기.
선로제표 (線路諸標, railway post)
선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지를 말함. 철도선로에는 열차 승무원에게 곡선, 구배등의 운전상 필요한 선로 조건을 알리고, 보선 작업원에게 필요한 지식을 주며 일반 공중에게 용지경계, 건널목 등의 위치를 알려주는 선로제표를 선로변에 설치함.
선로종별 (線路種別, class of track)
선로의 중요도에 따라 간선과 지선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선로 종별이라 함. 국철에서 엄격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음.
선로지장 (線路支障, track failure)
선로에 대한 상례 작업과 대형기계 보선작업 선로차단 공사 및 트로리 사용 또는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열차 및 차량운행에 지장을 받거나 혹은 서행시킬 필요가 있는 선로의 상태를 말함.
선로차단 (線路遮斷, track blocking)
선로의 보수작업, 선로절체 또는 선로 전환공사 등의 경우 열차를 통과시키면서 대형작업을 시행할수 없을 때 열차통행을 일시 중단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선로차단이라고 함.
선로차단 공사 (線路遮斷 工事, - )
선로를 일시 절단하거나 장애하여 열차 운전에 적합하지 아니한 상태에 있게하는 공사 및 이에 따르는 작업을 말함.
선류 (船榴, comber)
부선(艀船)이나 기범선(機帆船)의 정박장소로서, 폭풍시에도 안전해야 함을 필요로 하고, 내항부분에 설치하는 예가 있음.
선박 (船舶, vessel)
바다, 강 등에서 화물과 여객등의 해상운반과 항해에 사용되는 배의 총칭.
선 받침 (線 - , line bearing)
평면이나 원통면과 같이 상하의 양부분이 이론적으로는 하나의 직선으로 고려되는 받침.
선별 (選別, sorting)
골재나 흙을 체를 이용하여 입도크기별로 분류하는 것.
선상역 (線上驛, over track station)
선로 위에 설치한 역을 말함.
선상지 (扇狀地, fan)
하도경사가 갑자기 완만해지는 평지나 광활한 계곡지대에서 하천의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부채꼴 모양의 토사퇴적지.
선와동 (線渦動, line vortex)
유체내에서 일정한 직선의 주위에 주변보다 더 큰 와도(vorticity)의 값에 따라 수많은 흐름장이 만들어 질 수 있다(이 직선은 반드시 와도에 평행함). 표면상의 와도적분에 대한 공헌에 관한한 전적으로 와동관(vortec tube)의 강도, k와 직선상의 위치에 의해서 정해지는 와도분포가 직선특이점을 가질때 강도, k인 선와동이라 함.
선유원 (線流源, line source)
일정한 강도를 가진 점유원(source)이 하나의 직선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대체한다고 가정할 때 선유원이 얻어짐.
선점 (選點, point selection)
측량할 위치를 선정하는 작업. 삼각점, 다각점, 수준점 등은 현지에서 선점하지만 사진측량의 접합점은 실내작업에서 선점하여 인접사진상에 이사함.
선진도갱공법 (先進導坑工法, pilot tunnel excavation method)
① 도갱을 본 터널에 평행하게 굴착하고 여기서부터 연락갱을 굴착하여 본 터널을 완성시키는 방법으로 도갱은 버력반출, 재료운반, 환기, 배수 등에 이용함. 해저 터널이나 장대터널 등에 많이 이용함.
② 본 터널내에 일정규모의 터널을 선 굴착하는 방법으로 지질조사, 터널주변 배수, 본 터널 보강공법 수행, 확대굴착의 진동저감 등으로 이용함.
선택재료 (選擇材料, selected material)
절토구간이나 토취장 등에서 채취한 현지에서 얻어지는 개질재료로서 개량노상, 보조기층, 길어깨포장, 흙쌓기 비탈면 등에 사용됨.
선팽창계수 (線膨脹係數,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물체의 길이가 온도 1 ℃ 변화하는데 따른 신축과 초기 길이와의 비.
선풍형강수 (旋風型降水, cyclonic precipitation)
저기압지역으로 몰려드는 기단이 상승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전선성(frontal)일 수도 있고 비전선성(nonfrontal)일 수도 있음. 전선성강수는 전선의 한쪽면에서 다른 한쪽의 차겁고 밀도가 큰 기단 위로 따뜻한 기단이 상승할때 발생함.
선행강수 (先行降水, antecedent precipitation)
해당 강수보다 몇일 앞서 내린 강수로 흙의 초기함수상태의 결정에 이용됨.
선행강수지수 (先行降水指數,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강수가 있기전의 유역내의 토양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이것은 유역의 유출률과 깊은 관계가 있음.
선행널말뚝 (先行 - , presheeting)
개량된 심초공법에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굴착이전에 지반속에 관입하는 특수강널말뚝.
선행 녹색 (先行 綠色, leading green)
좌회전을 처리하는 신호현시 방법으로 어느 한 접근로의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 다음에 양방향 직진 현시가 주어지는 중복현시.
선행보링 (先行 - , preboring)
정밀조사가 행해지는 본조사 이전에 지반의 개략적인 토층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행하는 보링.
선행성하천 (先行性河川, antecedent river)
융기가 여러번 반복되면 하성단구는 여러층의 계단모양으로 됨. 융기가 너무 심할 때는 하도는 전혀 다른 경로를 취하게 되지만 1회의 융기량이 작으면 하도는 원래의 선형을 유지하는 하천을 말함.
선행압밀 (先行壓密, preconsolidation)
선행압축이라고도 하며 흙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받은 일이 있는 최대의 유효압력에 의한 압밀로서 과거에 받은 최대의 유효응력을 선행압밀응력이라고 함.
선행압밀응력 (先行壓密應力, preconsolidation pressure)
① 현재의 유효응력 이상의 어떤 압력 로 압밀되었던 응력이력이 있는 경우, 이 흙은 선행압밀을 받았다고 하고, 를 선행압밀응력이라 함.
② 압밀항복응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됨. 그러나, 실제로는 시간효과에 의하여 압밀항복응력과 선행압밀응력과는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음. 선행압밀하중(先行壓密荷重)이라고도함.
선행재하공법 (先行載荷工法, pre-loading method)
연약점토 지반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구조물하중 또는 그 이상의 하중을 미리 재하하여 압밀침하촉진 및 지반강도 증대를 얻은 후 하중을 제거한 뒤 구조물을 축조하는 공법임. 재하후 하중 정치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통상 연직배수공법을 병용함.
선행함수조건 (先行含水條件,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어느 시점에 토양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량을 말하며 미국토양보존국(SCS)에서 토양의 선행함수 상태를 3가지로 구분하였음.
선형 (線形, alignment, alinement)
철도나 도로의 중심선이 그리는 형상. 평면 선형과 종단 선형으로 나뉨.
선형 이론 (線形 理論, linear theory)
중첩의 원리가 성립하는 이론.
선형저수지 (線型貯水池, linear reservoir)
저류효과가 전혀 없이 유입량과 유출량이 같다고 생각하는 가상적인 저수지.
선형 탄성 (線形 彈性, linear elastic)
하중을 제거하였을때 고체의 형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응력-변형도의 관계가 선형으로 표시되는 재료의 성질.
선형프리스트레싱 (線形 - , linear prestressing)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관이나 원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물에 사용되는 원형프리스트레싱과 구별되는 프리스트레싱방법으로 보나 슬래브에서와 같이 직선부재형식에 적용되는 프리스트레싱.
선형하도 (線形河道, linear channel)
저류효과가 전혀 없는 하도를 말하며 개념적모형에서 선형하도는 수문곡선을 변형시키지 않고 시간적으로 지체시켜 줌.
선회등 (旋回燈, circling guidance light)
체공선회 중의 항공기에게 활주로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활주로 밖에 설치하는 등화로서 활주로의 외측 상방에 불빛을 발하는 등화.
선회 유도로 (旋回 誘導路, turnaround taxiway)
평행 유도로가 없는 활주로의 말단부에 설치하는 유도로. 항공기의 우회 통로 또는 대기 장소로 쓰이기 때문에 활주로 용량 증대는 물론 항공기 안전성 확보에 유용함.
선회크레인 (旋回 - , rotary crane)
선회가 가능한 크레인.
설계강도 (設計强度, design strength)
설계상 가정된 허용응력을 기본으로 하여 산정된 부재의 내하능력.
설계강우량 (設計降雨量, design storm / rainfall)
수공구조물을 설계할 때 계획기준이 되는 강우량.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확률강우량 또는 가능최대강수량을 설계강우량으로 사용함.
설계기준 (設計基準, design criteria)
설계요소의 값들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제반 기준.
설계기준 휨강도 (設計基準 - 强度, design bending strength)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설계에 있어서 기준으로 하는 콘크리트의 휨강도.
설계낙차 (設計落差, designed head)
설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력발전의 유효낙차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평균낙차에서 손실을 뺀 낙차로 봄.
설계내용기간 (設計內容期間, design life period)
도로포장에서 포장공용개시후 대수선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포장의 수명과는 다른 의미임.
설계모멘트 (設計 - , design moment)
콘크리트부재 설계시 하중계수를 적용하여 얻은 외부 극한 휨모멘트.
설계모멘트강도 (設計 - 强度, design moment strength)
콘크리트부재의 설계시에 공칭모멘트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하여 산정한 소요모멘트 강도.
설계배합 (設計配合, design mixing proportion)
시방서나 설계도서에 나타낸 시방배합을 근거로 사용예상재료를 사용하여 실내시험 등을 실시하여 현장배합을 결정하기에 앞서 결정한 배합을 말함. 시방배합으로부터 직접 현장배합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생략함.
설계빈도 (設計頻度, design frequency)
수공구조물을 설계할 때 그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확률적으로 계산한 수문량의 발생빈도를 말함.
설계속도 (設計速度, design speed)
철도나 도로의 기능에 따라 채택되는 기준속도로서, 이 값에 따라 모든 설계요소의 설계표준이 결정됨.
설계수명기간 (設計壽命期間, design lifetime)
구조물을 설계할 때 구조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수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설계순서 (設計順序, design procedure)
설계를 수행하는 단계적인 수순.
설계시간교통량 (設計時間交通量, design hourly volume)
도로설계의 기초로 쓰이는 시간교통량으로 계획목표 연차에 있어서의 30번째 시간교통량을 사용함. 약어 : DHV.
설계 CBR (設計 - , design CBR)
포장 두께를 결정할 때 쓰이는 노상토의 CBR임. 설계CBR은 노상토가 거의 같은 구간내에서 도로연장방향과 노상의 깊이 방향에 대해서 구한 몇개의 CBR측정치로 부터 그것을 대표하도록 결정한 값임.
설계아스팔트량 (設計 - 量, design asphalt concrete)
아스팔트혼합물의 배합설계에 의하여 결정되는 아스팔트양으로 보통 마샬(Marshall)시험에 의해 결정하며 대규모 포장공사인 경우는 설계아스팔트양의 혼합물을 실제 아스팔트플랜트에서 제조하여 그 혼합물에 대하여 마샬시험을 한 후 최종배합량을 결정함.
설계용량 (設計容量, design capacity)
도로설계시 설계수준으로 결정한 서비스수준에서의 차선당 시간당 최대 통과차량대수. 그 서비스 수준에서의 서비스 교통량의 상한치와 같음.
설계우량주상도 (設計雨量柱狀圖, design rainfall hyetograph)
수공 구조물의 설계홍수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설계우량의 시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그림표.
설계유량 (設計流量, design discharge)
수공구조물의 설계의 기준이 되는 유량.
설계유속 (設計流速, design velocity)
수로의 설계에 기준이 되는 유속으로 일반적으로 고정상수로와 이동상수로는 설계유속이 다름. 유속결정의 기준은 수로내에 토사의 퇴적과 세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임.
설계전단강도 (設計剪斷强度, design shear strength)
콘크리트부재의 설계 시에 공칭전단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하여 산정한 소요 전단강도.
설계지정항목 (設計指定項目, design designation)
설계지배요소들중에서 설계시 반드시 그 값이 주어져야 하는 요소. 즉, 교통량 및 구성(방향별 분포, 대형차량 구성비), 설계차량, 설계속도, 설계수준, 출입제한 정도 등임.
설계차량 (設計車輛, design vehicle)
그 도로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큰 차량으로서 그 것의 중량, 크기 및 운행특성에 따라 설계요소가 결정됨.
설계출력 (設計出力, designed horse power)
발전기의 효율이 제일 좋은 때의 출력으로 정격출력보다는 작으며, 수력발전에서 가장 많은 빈도의 출력을 설계출력이 되도록 함.
설계파 (設計波, design wave)
항만 및 해안구조물 설계에 적용하는 기준파랑으로 항만설계의 경우 설계외력으로 50년 재현 빈도의 유의파를 주로 사용함. 외해시설 구조물의 설계에서 외력으로 고려하는 파, 또는 항만이나 해안의 일반적 배치계획도 포함하여 사용하는 파의 계획파를 말할 때도 있음. 설계파는 구조물의 사용목적, 중요도, 재료의 내구년도 등에 따라 달리 사용함.
설계 항공기 (設計 航空機, design aircraft)
공항시설의 장비 계획 및 설계하는데 있어 시설의 규모 및 이격거리, 포장 두께 결정 등의 기준이 되는 항공기. 일반적으로 취항 예정인 항공기중 가장 크고 무거운 항공기가 해당됨.
설계홍수 (設計洪水, design flood)
특정한 댐이나 보 또는 기타 하천개수를 위한 수공구조물을 설계할 때 사용되는 홍수통계값. 설계홍수는 반드시 가능최대 홍수일 필요는 없으며, 설계홍수의 결정은 하천 수문학적 조사와 피해정도, 관련된 경제적 요인에 의하여 이루어 짐.
설계홍수량 (設計洪水量, design flood discharge)
댐이나 하천구조물의 설계에 사용되는 홍수량. 설계홍수량을 고려하여 유량이 여수로를 통하여 안전하게 소통되도록 댐과 여수로를 설계하여야 하며 이양은 하천의 계획홍수위를 계산하는 데도 이용됨.
설계홍수수문곡선 (設計洪水水文曲線, design flood hydrograph)
댐이나 기타 수공구조물을 설계할때 또는 홍수추적을 할때 기준이 되는 설계강우가 유역에 내렸을때 나타나는 수문곡선.
설계홍수위 (設計洪水位, design flood level)
설계홍수량과 같은 홍수가 발생했을 경우에 저수지 수면이나 하천수위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는 최고 수위.
설량계 (雪量計, snow-gauge)
한지점에 내리는 눈의 양을 측정하는 계기.
설면증발 (雪面蒸發, snow evaporation)
눈이 태양의 복사열을 받아서 눈표면에서 일어나는 증발.
설비이용률 (設備利用率, capacity / plant factor)
어느 기간내의 발전소의 평균부하와 설비용량의 비.
설선 (雪線, snow line)
산에서 만년설이 있는 표고를 연결한 선 또는 최저한계이며 이 표고는 기후에 따라 변함. 적도지역에서는 설선이 해발 약 5,500 m이며, 극지역에서는 해면이하임.
설원하천 (雪源河川, snow-fed stream)
하천유량의 주요한 수원이 눈이 녹아서 흐르는 하천.
설정온도 (設定溫度, laying(setting) temperature)
자유 신축의 상태에 있는 장대레일의 레일 체결장치를 규정된 체결력으로 체결하여 레일을 고정할 때 레일온도를 설정 온도라 함. 설정온도는 중위온도 보다 ±5 ℃ 정도 이내가 원칙이나 통상 20~30 ℃ 가 허용 온도 범위임(고속철도는 22 ℃~28 ℃).
설정유간 (設定留間, laying joint gap)
자유신축 상태에서 정척 또는 장척 레일을 부설할 때 일정유간을 두고 레일 체결 장치를 체결 레일을 고정할 때 유간을 설정유간이라 함.
설척 (雪尺, snow stake)
어느 지점에 내린눈의 누적된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워둔 눈금이 새겨진 막대.
설치비 (設置費, setup cost)
어떤 교통시설물을 설치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칭함.
설퍼밴드 ( - , sulfur band)
강재속에 생성된 유황편석으로 띠모양으로 퍼져있기 때문에 밴드라 하며, 서브머지드아크용접시 용접금속에 설퍼균열이라고 하는 균열이 생기는 경우가 있음.
설퍼 크랙 ( - , sulfur crack)
유황의 편석이 많은 림드강의 서브머지드 용접 금속부 등에나타나기 쉬운 균열. 모재의 설퍼밴드로 부터 발생해서 용접 금속내를 입계에 따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설하중 (雪荷重, snow load)
구조물상에 눈이 쌓였을 때 가해지는 눈의 무게.
섬록암 (閃綠岩, diorite)
사장석(斜長石,plagioclase) 및 유색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완정질(完晶質) 조립(粗粒)의 중성심성암(中性深成岩). 유색광물은 주로 각섬석(角閃石)으로 이루어저 있으나, 때로는 흑운모나 휘석(輝石)이 함유되는 경우도 있음. 화강섬록암, 석영섬록암 등이있음.
섬식 승강장 (“島式 乘降場”, island platform)
승강장의 형상에 의한 분류로 홈의 양측에서 열차가 발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 이 형식의 홈은 대향식 홈에 비해 용지비, 건설비가 적게 들고 감시비 및 영업상 유리함. 광장과 접근이 곤란하고 선로에 곡선이 들어가며 승객이 과선교나 지하도를 이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음. 또한 상하행 열차가 동시에 발착하는 경우 홈이 혼잡해 짐.
섬유 (纖維, fibre)
취성재료인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로서 그 종류로는 강, 유리, 나이론, 폴리프로릴렌, 석면 등이 있음.
섬유뭉침 (纖維 - , fibre ball)
섬유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믹서에서 혼합시 섬유가 분산되지 않고, 뭉쳐져 있는 상태.
섬유보강금속 (纖維補强金屬, fiber reinforced metal)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을 보강한 금속소재의 총칭.
섬유콘크리트 (纖維 - , fibre concrete)
콘크리트의 인장저항능력의 증대,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 등 역학적 성질을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불연속적이고 단상인 섬유 재료를 콘크리트 속에 불규칙적으로 분산시켜 넣은 콘크리트.
섬장암 (閃長岩, syenite)
염기성 화성암의 일종으로 적색, 담회색, 완정질, 현정질의 조립의 등립식 암석, 주로 칼리 장석과 각섬석으로 구성되어 있음. 강원도 양양 철광산 지역에 작은 산출지가 있음.
섬프펌프 ( - , sump pump)
압축공기로 운전되는 경변한 이수배제용 원심펌프.
성능시험 (性能試驗, performance test)
① 기계장치의 효율, 출력, 연료소비양 등을 알기 위해 행하는 시험으로 성능시험의 결과를곡선으로 나타낸 것이 성능곡선임.
② 재료의 품질성능을 시험하는 것.
성분파 (成分波, component wave)
복잡한 파동운동의 계(系)를 몇개의 주기 및 방향성분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때, 각각의 주기와 방향의 정현파(正弦波)를 말함.
성숙도 (成熟度, maturity)
콘크리트의 강도는 재령과 온도의 영향을 받으므로, 강도는 ∑(시간간격 × 온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을 성숙도라고 함.
성숙도계수 (成熟度係數, maturity factor)
어떤 성숙도에 대한 강도를 다른 성숙도에 대한 강도의 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강도비 는식(A + Blog10(성숙도×10-3)에 의해 표현되며, 여기서 성숙도 계수는 A와 B를 말하는 것임. 계수는 콘크리트의 강도수준, 시멘트의 성질, 콘크리트의 일반 성질에 의하여 정하게 됨.
성숙도 측정기 (成熟度 測定器, maturity meter)
콘크리트의 강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성숙도 측정장치.
성층 (成層, stratification)
① 유체의 성질, 특히 밀도가 다른 유체들이 연직방향으로 두개 또는 여러 개의 층으로 분리되어 층을 이루는 현상.
② 퇴적암이나 충적토에서 볼 수 있는 층상의 퇴적. 각 층의 육안식별은 입경, 조직, 색갈, 등의 차이로 구별됨.
성층권 (成層圈 , stratosphere)
기온을 공중으로 높이에 따라 측정했을때 지상 약 12 km까지는 온도변화가 심하지만(권층면) 그 이상은 온도변화가 크지 않음. 온도변화가 크지 않은 권층면 이상의 상공을 말함.
성층류 (成層流, stratified flow)
물의 온도차나 물속에 함유된 부유물 때문에 생기는 밀도차로 인하여 일어나는 흐름.
성토 (盛土, banking, filling)
① 토공사에서 흙을 쌓아 올리는 것으로 부지조성, 제방쌓기 등을 위해 다른 지역의 흙을 운반하여 지반위에 쌓는것.
② 철도나 도로 또는 토공구조물 공사를 할 때 설계 높이까지 흙을 쌓는 것을 말함.
성토부 (盛土部, banking section)
도로나 선로의 신설개수 등 토공 작업에서 토사를 성토했거나 성토할 부분.
성토재료 (盛土材料, fill material)
성토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절토구간에서 발생하는 재료를 유용하거나 선정된 토취장에서 반입하기도 함. 성토재료로는 토사, 사력토, 혹은 암버럭 등이 있음.
성토지반 (盛土地盤, filled up ground)
원지반위에 흙을 쌓아 올려 조성된 지반.
성형 (成形, molding)
사전에 제작된 틀에 재료를 넣어 제품을 완성시키는 것으로 콘크리트제품의 경우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워 넣고 다져서 제품의 모양을 만드는것.
성형단면 (星形斷面, star section)
형강의 배면을 이음판으로 조합시킨 단면으로, 단면은 산형강을 사용하여 각부 교점을 부재단면의 중심부근에 두고 점대칭의 위치에 대해 설치된 단면임.
성형성 (成型性, plasticity)
콘크리트를 거푸집내에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 제거시 콘크리트가 허물어지거나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성형줄눈재 (成型 - 材, joint filler)
줄눈의 틈을 채우는 데 쓰이는 재료로서 빗물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줄눈에 들어 가는 것 을 막기 위하여 줄눈의 윗쪽에 주입시켜 채우는 재료.
섶 ( - , fascine)
침엽수를 제외하고, 떡갈나무나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중 견고하고 인성이 큰 재질의 나무가지 여러개를 합하여 단으로 하고 칡넝쿨, 새끼 등으로 세곳을 결속한 것을 말함.
섶다발 ( - , fascine bundle)
견고하고 인성이 큰 나무의 가지를 여러개 모아 다발로 단단하게 묶은것. 바닥다짐, 침상, 수제, 맹암거, 비탈면보호 등의 재료로 쓰임.
섶다발공 ( - 工, fascine work)
섶다발을 넣은 맹구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배수를 잘하여 비탈 경사면을 보호하는 공법으로 기초보호 및 토사이동을 막기 위해서 사용함.
섶다발배수공 ( - 排水工, drainage work of fascine)
산복의 경사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지하수를 잘 배수 시키기 위해 섶다발을 경사면에 경사방향으로 매설하는 배수공사.
섶댐 ( - , low dam of fascine)
섶을 가지고 만든 바닥다짐용의 얕은 댐.
섶덮이공 ( - 工, covering of fascine)
표토가 비에 씻겨 내리지 않고 종자의 발아를 돕기 위해 섶을 이용하여 붕괴면 또는 경사면을 덮는 공사.
섶돌망태공 ( - 工, groin of fascine)
중앙에 자갈, 조약돌 등을 넣고 그 주위를 섶으로 둘러 싼후 적당한 간격으로 철선으로 묶은 돌망태형의 공작물.
섶침상 ( - 寢狀, fascine mattress)
수제공법의 침상의 일종으로 섶다발 등을 멍석같이 꿰어서 여기에 호박돌이나 깬돌 등을 얹어 물속에 가라 앉힌것으로 저수(低水)공사에 사용됨.
섶침상수제 ( - 沈床水制, fascine mattress dyke)
수심이 얕은 곳의 웨어(weir)나 바닥다짐의 물방석으로 사용하기 위해 섶을 깔아 수제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임.
세계시 (世界時, universal time)
경도 0도인 그리니치 자오선에 대한 평균태양시. 약어 : UT.
세굴 (洗掘, erosion)
주로 파랑이나 수류에 의하여 하상, 해안, 해저, 제방 또는 테라스나 전환수로의 바닥이 침식되어 씻겨 없어지는 현상.
세굴계 (洗掘計, scour meter)
교각과 같은 하천공작물 부근 하상의 세굴 현상을 실측하는 기기를 말함. 형식에 따른 종류는 중추식, 전기저항식, 수압식, 초음파식, 레일 강하식 등이 있음.
세굴공 (洗掘孔, scour hole)
분사수류, 자유월류 또는 교각주위의 국지류에 의한 세굴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수로바닥이 움푹 파여진 공간.
세굴방지 (洗掘防止, scour protection)
강널말뚝, 호안, 잡석이나 섶침상 등의 방법으로 수로바닥의 세굴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는것.
세굴심 (洗掘深, depth of scour)
원래하상에서 세굴공의 가장 깊은 곳까지의 깊이.
세굴한계 (洗掘限界, scour limit)
이동상수로에서 흐름조건이 일정할 때 세굴이 일어날 수 있는 최대 깊이.
세균부식 (細菌腐蝕, bacterial corrosion)
토중 또는 수중에서 생식하는 혐기성 또는 호기성의 특수한 세균에 의해 촉진되는 부식.
세그먼트 ( - , segment)
① 터널, 특히 쉴드(shield) 터널공법에 사용되는 동바리와 복공을 겸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아치모양의 한 단편으로 철근콘크리트부재 및 철판부재 등이 있음.
② 전체길이를 같은 크기의 여러개 구간 또는 부위로 나누었을 때 한개 구간 또는 부위.
세라믹 공구 ( - 工具, ceramic tool)
바이트(byte)날의 재료에 세라믹(산화 알미늄을 주체로한 소결물 및 그것에 유사한 것)을 사용한 공구.
세라믹본드 ( - , ceramic bond)
혼합물이 용융점 가까이까지 가열되었을 때 소성에 의해 굵은 입자성분사이에 발생되는 열화학적작용으로 발생되는 강도 또는 입자성분사이에 발생되는 결정물질로서, 알루미나시멘트와 내화성골재 사이에 일어나는 부착강도 같은 것.
세라믹 코팅 ( - , ceramic coating)
알루미나 지르코니아(alumina zirconia), 지르콘 크로미아(zircon chromia) 등을 용융분사해서 금속표면에 도자성의 무기질을 피복하는것.
세레이션 ( - , serration)
강판과 골조부를 필렛 용접하는 경우에 물이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하여 골조부를 톱니모양으로 잘라 내는것.
세로방향플로트피니셔 ( - 方向 - , longitudinal float finisher)
콘크리트포장시 작업방향으로 다질 때 피니셔판외에 플로우트팬(float pan)이 더 장치되어 유압조작으로 한 번 더 다지게 하는 피니셔의 일종.
세로보 ( - , stringer)
교량의 바닥틀중에서 가로보에 지지되는 교축방향의 보.
세로이음 ( - , longitudinal joint)
구조물의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이음으로 도로포장인 경우 도로 중심선에 평행한 이음이며, 콘크리트댐인 경우 댐축에 평행한 이음.
세로판벽 ( - 板壁, upright panel)
패널(panel)의 길이방향을 세로로 세워 만든 벽.
세로패킹 ( - , longitudinal packing)
철도 교량상에서 캔트를 설정하거나 동상 보수시 레일면 조정을 위해 사용하는 패킹 중 15 cm 이하일때 사용하며 그 치수는 두께 15 cm 이하, 폭은 레일 바닥폭, 길이는 침목폭 이상의 것을 말함.
세로홈 (縱 - , longitudinal platform)
승강장의 일종으로 화물 적하장(화물홈)에 사용됨. 자동차와 트레일러류를 자주시켜 하차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적하선 종단에 선로방향(종방향)으로 설치함.
세류 (細流, rill flow)
강우가 내렸을 때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작은 수로내의 흐름. 이때의 수로는 손이나 발로 간단히 인위적으로 없애 버릴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것을 의미함.
세류침식 (細流浸蝕, rill erosion)
표면유출에 의하여 토양표면이 미세한 침식을 일으키는 현상.
세립도 갭 아스팔트 콘크리트 (細粒度 - , gap graded fine asphalt concrete)
갭입도를 갖는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2.5 mm체 통과량은 45~65 %로 연속입도의 것과 거의 같으나 No.8체~No.30체의 입경부분이 적기 때문에 No.30체(0.6 mm) 통과량은 비교적 많음. 일반지역에서는 통상 쓰이지 않으나 적당한 입도의 잔골재를 입수할 수 있는 적설지역에서는 연속입도의 것보다 내마모성과 내유동성에 적합한 것으로 쓰여짐.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細粒度 - , fine graded asphalt concrete)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가운데 밀입도 아스팔트콘크리트보다도 잔골재분이 많은 것. No.8체 통과량은 일반지역에서 50~65 %, 적설지역에서는 65~80 %이며 아스팔트량은 6~8 %범위임. 이들 두개의 입도범위의 것은 이전에는 각각 수정토페카(modified Topeka), 내마모토페카라고 불렀음.
세립도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細粒 - 鋪裝, fine graded asphalt concrete pavement)
아스팔트의 혼합재로 사용되는 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은 골재를 주 재료로 하여 배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포장.
세립분 (細粒粉, fine fraction, fines)
입경 0.074 mm 이하의 흙입자. 실트분과 점토분을 합친 것. 포장용 골재에서는 씻기시험 등에 의해 그 함유량을 규정하고 있음.
세립유사 (細粒流砂, fine sediment)
주로 입경이 작은 토사로 구성된 유사.
세립토 (細粒土, fine grained soil)
점토질 흙이나 실트질 흙과 같이 적은 입경의 토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흙으로 통일분류법에서는 200번체의 통과량이 50 %이상인 것을 말함.
세미강 ( - 鋼, semi steel)
고로에서 나온 선철 또는 주철에 10~20 %의 강철 부스러기를 섞어서 용융한 것으로 탄소함유량이 줄고 강도가 커서 고급주철관 등으로 사용되기도 함.
세미 멤브레인 탱크 ( - , semi membrane tank)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 형식. 적하상태에서는 비자기지지형, 비적하상태에서는 자기지지형의 탱크임.
세미블론 아스팔트 ( - , semi-blown asphalt)
원유의 종류에 따라 증발법으로 만든 아스팔트 성상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경우 약한 아스팔트에 비교적 낮은 온도로서 장기간 공기를 불어 넣어 감온성을 낮게 하고 저온취성을 개선한 아스팔트.
세미케미칼펄프 ( - , semi chemical pulp)
화학적처리와 기계적처리를 병용하여 제조한 펄프로 리그닌의 일부만을 제거한 것으로, 미표백펄프는 각종 판지의 원료로, 표백펄프는 케미칼펌프와 혼합하여 상급지나 중급지의 제조에 사용됨.
세미킬드강 ( - 鋼, semi-killed steel)
강괴의 제조 과정에서 용융상태강의 탈산(탈산)정도가 림드강과 킬드강의 중간정도인 강. 림드 강에 비해서 편석이 작고, 용접성이 양호함.
세미트레일러 ( - , semi trailer)
트레일러의 일종으로 후륜만이 있고, 전륜에 상당하는 위치의 중앙지점에서 트랙터 또는 동차에 연결됨.
세부도화 (細部圖化, detail mapping)
도화기에 의해 측량대상의 세부를 원도상에 나타내는 작업. 세부도화는 일반적으로 선형시설물, 건물, 등고선, 식생 등의 순서로 작업함.
세부측량 (細部測量, detail surveying)
기준점 및 보조기준점(도근점)을 이용하여 각종 목적에 따라 내용이 상세한 도면이나 지형도를 만드는 측량임. 평판측량, 시거측량, 지형측량, 사진측량 등이 이에 속함.
세사 (細砂, fine sand)
→ 가는 모래.
세사기 (洗沙機, sand washing machine)
오염되어 있는 여과사를 씻는 기계로 회전원통세사기, 사수식세사기, 니코르스세사기 등이 있음.
세사비율 (細砂比率, fine fraction)
모래중에 포함된 입경이 작은 모래의 비율.
세이볼트 퓨롤 점성 ( - 粘成, savbolt furol viscosity)
세이볼트퓨롤계로 측정한 역청재료의 점도임. 일정량의 시료를 시험기의 가는 구멍으로 유하시킬 때 시간을 재어 초로 나타냄.
세워쌓기 ( - , upright laying)
벽돌쌓기에서 벽돌의 옆면 또는 마구리면을 수평으로 쌓아 올리는 방법.
세이킹컨베이어 ( - , shaking conveyor)
홈통에 왕복운동력을 주어 재료를 송출하는 컨베이어로 진동컨베이어라고도 함.
세인트 브이난트 비틂 ( - , Saint-Venant torsion)
균일 비틂 모멘트에 의하여 부재 단면의 회전과 재축 방향으로 균일한 뒴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비틂 현상.
세인트 브이난트 원리 ( - , Saint-Venant’s principle)
정적 탄성 상태에 있는 주어진 고체의 경계면에 작용하고 있는 표면력을 정적으로 등가인 다른 표면력으로 치환하여도 표면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계면으로 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고체 내부의 응력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
세장비 (細長比, slenderness ratio)
압축 부재에서 부재의 길이를 단면 회전 반경으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이 값이 100 이상이면 장주, 그 이하이면 단주로 구분함.
세정 (洗淨, washing, cleaning)
일반적으로 액체를 사용해서 오염요인물을 화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거하는것.
세정기 (洗淨機, washer)
골재에 묻어 있는 진흙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을 씻어 내는 기계.
세정밸브 (洗淨 - , flush valve)
수세식 변소에 사용하는 장치로 급수전과 밸브를 조합하여 외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움직여 물이 흘러 나오게 하는 것.
세차선 (洗車線, washing track)
차량의 차체를 세척하기 위하여 측선으로 객차, 전차, 동차 등 여객차량을 세척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가축차용 화차를 세척하기 위한 측선도 있음.
세척수 (洗滌水, wash water)
여과장치에서 세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로서, 공장 등에서는 여과후의 유출수를 사용함.
세트 ( - , set)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정착시킬 때, 정착구의 헐거움 또는 변형에 의하여 생기는 강재의 미끄러짐.
세트 스크류 ( - , set screw)
너트의 선단을 이용하여 부품 상호간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나사. 선단의 형상에는 평형․환형 ․봉형․돌출형․홈형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접착면 부착 육각구멍 부착 사각머리 등이 있음.
세퍼레이터 ( - , separator)
벽거푸집등에서 거푸집사이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사이의 간격확보, 철근이나 PC강재 등을소요거리만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팀대.
섹스탄트 (六分儀, sextant)
→ 육분의.
센서 ( - , sensor)
전자기파를 담는 기기로 전자기파를 받아들이기만 하는 수동적 센서(Camera, MSS, TM, HRV)와 전자기파를 보내서 다시 받는 능동적 센서(Radar, Laser)가 있음. 탐측기(探測機)라고도 함.
센트럴믹스트 콘크리트 ( - , central mixed concrete)
배처플랜트의 고정믹서에서 비빈 것을 트럭애지테이터 또는 트럭믹서로 교반하면서 운반하는 레디믹스트콘크리트.
센티스토크스 ( - , centistokes)
동점성계수의 단위로서 1 스토크스의 100분의 1의 크기를 가짐. 스토크스의 단위는 [cm2/sec]임.
셀류라블록 ( - , cellular block)
철근콘크리트 벽 구조체에서 4면이 형성되어 있으나 밑면과 윗면이 없는 것으로 케이슨의 벽체모양과 유사함. 내부의 공간에 잡석 등을 채워 완성구조체로 사용하고 방파제의 직립부나 호안 벽체로 사용됨.
셀프데시케이션 ( - , self descication)
수분제거 및 상대습도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화학반응에 의한 자유수의 제거를 의미하며 자체적으로 건조되는 것을 나타 냄.
셀프스트레싱 콘크리트 ( - , self-stressing concrete)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작용하도록 한 팽창시멘트 콘크리트.
셀프쉴드 아크용접 ( - 鎔接, self shield arc welding)
코일모양으로 감겨있는 플럭스에 넣어진 와이어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쉴드가스를 공급하지 않 고 하는 용접, 반자동용접뿐 아니라 자동용접도 가능함.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아 옥외 용접에 적합함.
셀형가물막이댐 ( - , cellular coffer dam)
수중공사에서 강널말뚝을 사용해서 벌집모양으로 구조물지점 주위에 박아 담을 쌓고 구조물이 축조될 부분의 흙과 물을 제거한 가시설물.
셋트폼 공법 ( - 工法, paving with forms)
콘크리트 슬래브의 포장에 있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스프레더나 피니셔를 사용하는 공법을 말함.
셔블 ( - , shovel)
날끝이 환형으로 되어 인력으로 토사를 굴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굴착공구.
셔터 ( - , shutter)
① 지수관문, 셔터관문, 지수벽등의 통칭.
② 금속제의 감아올리는 문짝의 총칭.
셔터웨어 ( - , shutter weir)
문짝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물속으로 엎어지게 하는 형식의 웨어.
셔틀덤퍼 ( - , shuttle dumper)
4개의 동륜을 갖고 있으며 차체가 비교적 낮고, 적재량이 많아서 원활한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한 기능의 덤프트럭.
소각 (燒却, incineration)
가연성물질을 태워서 처리하는 것.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를 동시에 줄일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방법이나 설치비용이 비싸고 운영비용이 많이 듬.
소각로 (燒却爐, incinerator)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노. 제한된 공간내에서 폐기물을 소각함으로서 소각효율을 을 높이고 소각시의 먼지나 매연 등이 흩어지지 않도록 노내에서 소각시킬 수 있으며 폐기물의 양과 성질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고, 특히 수분이 많은 슬러지의 처리는 다단식 소각로가 이용됨.
소거손실시간 (消去損失時間, clearance lost time)
어떤 교통류에 의해서도 교차로가 이용되지 않는 신호현 사이의 시간 부분.
소거시간 (消去時間, clearance time)
현시간격(change interval)과 같은 의미로서 현시가 바뀌기 직전 또는 바뀐 직후에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시간. 일반적으로 황색시간 또는 황색과 전적시간(all red)으로 부여됨.
소건 (燒乾, baking, stoving)
도료를 칠한 다음, 고온으로 가열하여 도막을 경화시키는 공법.
소결공법 (燒結工法, heating method)
점토지반에 연직 또는 수평으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 속에 기체 또는 액체연료를 불어넣어 장시간 연소가열하여 공벽주변의 흙을 고결시키는 지반개량공법. 주로 소련을 비롯한 동구에서 개발된 공법으로, 가열방식은 강제통풍밀폐식(소련식)과 자연통풍연도방식(루마나아식)이 있음.
소결플럭스 (燒結 - , sintered flux)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의 일종으로 분말재료에 액상고착제를 혼합반죽해서, 기렝 등을 사용해서 조립 및 소결(700~1000 ℃)시킨후 체분석으로 입도를 조정한 것.
소다 ( - , soda)
일반적으로는 탄산나트륨의 약칭으로 쓰이고 있지만, 탄산나트륨외에 가성소다, 중조 등을 총칭하는 경우도 있음.
소다펄프 ( - , soda pulp)
섬유소 원료에서 가성소다로 불순물을 빼낸 펌프.
소다회 ( - 灰, soda ash)
공업용의 무수탄산나트륨을 말함. 폐수처리시에는 중화제로 사용되며, 석회보다 고가이지만 물에 녹기 쉽고 슬러지의 생성이 적음.
소단 (小段, berm, banquett)
절토나 성토 사면의 안정을 위하여 중간에 좁은 폭으로 조성되는 수평부분. 비탈고가 높으면 다단식 소단을 설치하기도 함.
소독 (消毒, disinfection)
→ 살균.
소드베니어 ( - , sawed veneer)
얇은 톱으로 켜서 만든 단판으로 고급합판에 쓰이며 톱밥이 많아서 비경제적임.
소드죠인트 ( - , sawed joint)
경화한 콘크리트를 다이어몬드 또는 실리콘카바이트의 날과 같은 특수한 기구로 절단한 이음부.
소로 (小路, alley)
① 작은 가로이며 일반적으로는 보도가 없고, 본 통로에 평행한 건물의 뒷길.
② 사람의 발자국으로 이루어진 작은 길.
소류력 (掃流力, tractive force)
이동상 수로에서 물의 흐름이 수로바닥에 있는 토사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말함. 소류력의 크기에 따라 유사량이 변화하며 자연하천에서 세굴과 퇴적이 일어나고 단면의 변화가 생김. 소류력은 단위면적당 힘의 크기로 나타냄.
소류사 (掃流砂, bed / tractional load)
하천의 바닥 또는 해저면 가까운 부근에서 수류 또는 파랑에 의해 운반되는 토사.
소류사공급기 (掃流砂供給機, bed load feeder)
이동상 수리실험에서 소류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소류사를 보충해 주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소류사를 공급해 주는 장치.
소류사운송 (掃流砂運送, bed load transport)
이동상수로에서 소류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유사량중에서 소류사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
소류사율 (掃流砂率, bed load rate)
하천의 전체하폭 또는 단위하폭당 단위시간당 소류사의 이동량.
소류사채취기 (掃流砂採取器, bed load sampler)
소류사량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이것을 하천바닥에 설치하여 소류사를 채취.
소모노즐식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消耗 - 式 - 鎔接, consumable nozzle electro slag welding)
소모노즐을 사용한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법의 일종으로 와이어를 나선 또는 플럭스로 피복시킨 소모노즐(강제가이드튜부)을 통해서, 용융노즐속에 자동적으로 보내면서 하는 간이형 용접법.
소비수량 (消費水量, consumptive / consumption use)
식물이나 농작물의 성장에 소모되는 수량으로 증발량과 증산량 등의 손실을 합한 수량을 말함.
소산율 (消散率, dissipation rate)
물리적체계에서 단위시간에 마찰열과 같이 이용할 수 없는 에너지로 소모되는 에너지량.
소선 (素線, sole wire)
와이어 로프, 평행선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개개의 강선.
소성 (塑性, plasticity)
응력-변형도 관계가 탄성 한계를 넘어 고체에 작용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여도 재료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하지 않고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
소성경화 (塑性硬化, plastic hardening)
소성변위를 일으키면서 변형될 때 항복응력이 따라서 커지는 것. 소성경화를 항복곡면의 변화로 보면, 항복곡면이 확대되는 등방경화(等方硬化)와 곡면이 이동하는 이동경화 등으로 나타남.
소성골재 (燒成骨材, brunt aggregate)
인공경량골재의 일종으로 혈암과 점토 또는 플라이애쉬와 점토와의 혼합물 등을 1000~1200°C 정도로 소성해서 만듦.
소성균열 (塑性龜裂, plastic crack)
응결경화과정에서 생기는 비교적 조기에 발생하는 균열을 총칭하여 소성균열이라 하며, 이러한 균열은 발전하지 않는 것이 보통임.
소성로 (燒成爐, kiln)
여러가지 재료의 건조, 탄화, 소고, 조성, 연소 등에 사용되는 노 또는 요.
소성류 (塑性流, plastic flow)
응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소성변형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때의 소성 변형.
소성모르터 (塑性 - , plastic mortar)
힘을 제거하여도 원형으로 회복되지 않는 소성성질을 갖는 모르터.
소성 모멘트 (塑性 - , plastic moment)
탄소성 재료로 구성된 들보가 소성 상태에서 이상화된 응력 분포에 의하여 받을수 있는 최대 모멘트.
소성변위 (塑性變位, plastic displacement)
탄소성 또는 소성재료에 힘을 가하여 발생하는 변위에 있어, 응력을 제거한 후에도 남아있는 부분.
소성 변형률 (塑性 變形率, plastic strain)
탄성한계를 넘어서 일어나는 영구변형률.
소성 비틂 (塑性 - , plastic torsion)
응력-변형도 관계가 소성인 영역에서 발생하는 비틂.
소성석고 (塑性石膏, plaster of paris)
석고를 100~190 ℃로 가열하여 결정수의 75 %를 제거한 백색분말로 응결지연제를 첨가하여 석고플라스터로 사용함. 석고원석으로 부터 화학적인 한계수량의 3/4을 소성에 의해서 추출해 낸 것임.
소성 설계법 (塑性 設計法, plastic design)
재료의 소성거동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설계하는 방법.
소성수축 (塑性收縮, plastic shringkage)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성질로서 콘크리트가 소성상태에서 체적이 감소하는 현상.
소성 영역 (塑性 領域, plastic region)
응력-변형도 곡선에서 소성현상이 발생하는 부분.
소성유동 (塑性流動, plastic flow)
일정한 외력하중하에서의 소성변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
소성 재료 (塑性 材料, plastic material)
소성 현상이 보이는 재료.
소성 좌굴 (塑性 挫屈, plastic buckling)
응력-변형도 관계가 소성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하는 좌굴.
소성지수 (塑性指數, plasticity index)
세립토가 소성을 나타내는 함수비의 범위. 즉,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
소성콘크리트 (塑性 - , plastic concrete)
힘을 제거하여도 원형으로 회복되지 않는 소성성질을 갖는 콘크리트.
소성평형 (塑性平衡, plastic equilibrium)
소성역에서의 응력이 소성조건과 평형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
소성 포텐셜 (塑性 - , plastic potential)
어떤 스칼라 함수의 응력에 대한 미분에 의하여 소성 변형도의 변화율을 정의할 수 있을 때, 이 스칼라 함수를 지칭함. Drucker의 가설을 만족하는 재료에서는 항복 함수가 소성 포텐셜이 됨.
소성플라이애쉬 (塑性 - , plastic flyash)
인공경량골재의 일종으로 플라이애쉬에 소량의 점토를 혼합해서 조립한 후 약 1200°C 로 소성(燒成)하여서 제조함. 고강도의 경량골재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음.
소성한계 (塑性限界, plastic limit)
흙의 컨시스텐시한계의 일종으로, 흐트러진 상태의 젖은 세립토가 소성상태와 반고체상태상태의 경계에 있을 때의 함수비.
소성 휨 (塑性 - , plastic bending)
응력-변형도 관계가 소성 영역에 있을때 발생하는 휨.
소성 힌지 (“塑性滑節”, plastic hinge)
부재의 어떤 단면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소성 모멘트에 도달하면 그 단면은 더 이상의 모멘트를 전달
할 수 없게 되어 마치 힌지처럼 거동하게 되는 현상.
소수성골재 (疎水性骨材, hydroulic aggregate)
아스팔트 혼합물에 쓰이는 골재 가운데 그 표면이 물보다도 아스팔트와의 친화성이 강한 종류의 것. 이러한 종류의 골재는 물과 접촉하여도 골재표면의 아스팔트피막이 박리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적음. 석회암이나 실리커 함유량이 적은 현무암 등이 이에 속함.
소수성 콜로이드 (疏水性 - , hydrophobic colloid)
물에 대하여 친화력을 갖지않는 콜로이드 용액을 말하며, 친수성 콜로이드와 반대되는 것. 소량의 전해질에 의해서 응집, 침전이 용이하게 행해짐.
소울 플레이트 ( - , sole plate)
들보등의 받침부의 밑에 붙여지며, 슈(shoe) 또는 베드플레이트(bed plate)에 접하는 강판.
소유역 (小流域, sub basin / watershed)
유역이 큰 경우에 유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지류별로 또는 등유하시간별로 유역을 작게 나눌때 나누어진 작은 면적의 유역을 말함.
소음 (騷音, noise)
듣는 사람이 불쾌하게 느껴서 좋지 않게 생각하는 소리로, 인간의 심리나 감각작용에 영향을 줌.
소음감소계수 (騷音減少係數, noise reduction coefficient)
1/3옥타브 대역으로 측정한 중심주파수 250, 500, 1000, 2000 Hz에서의 흡음률에 대한 산술평균치.
소음계 (騷音計, sound level meter)
귀로 느끼는 음의 크기를 근사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소음의 압력을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기량으로 바꾸고, 그것을 증폭시켜 지시계로 나타냄.
소음규제기준 (騷音規制基準, noise control standard)
주민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고 각종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진동규제법에서 아침과 저녁에는 50~70 dB이하, 주간에는 55~80 dB이하, 심야에는 45~60 dB이하로 정해져 있음.
소음규제지역 (騷音規制地域, noise control district)
도시계획법의 규정에 의한 주거․녹지․상업지역, 도시계획법 시행령에 의한 준공업지역,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한 취락지역, 의료법에 의한 종합병원주변지역 및 교육법의 규정에 의한 학교의 주변지역, 기타 환경처장관이 인정하여 지정․고시하는 지역.
소음기준 (騷音基準, noise standard)
그 지역의 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측정한 것으로서, 그 지역에서의 원하는 작업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허용치.
소음레벨 (騷音 - , noise / sound level)
소음의 척도로 음압수준에 청감보정을 해서 데시벨(dB)로 표시한 것.
소음방지 (騷音防止, noise abatement)
소음을 감소시키고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대한 대책을 세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는 데, 첫째는 소음발생을 감축하는 것이고, 둘째는 소음의 전파경로를 차단하는 것 그리고 셋째는 수용체를 방어하는 것임.
소음원 (騷音源, noise source)
바람직하지 않은 음, 예를들어 음성, 음악등의 전달은 방해하고 귀에 고통, 상해를 주는 음 등이 발생되는 기계.
소음피해 (騷音被害, noise damage)
인구의 증가와 도시집중, 생활양식의 변화 및 공업화의 실현 등으로발생되고 있는 소음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며 정신적, 정서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고, 대화방해, 작업능률의 저하 등을 유발함.
소일 믹싱 플랜트 ( - , soil mixing plant)
소일 시멘트는 입도조정재료 등 기층재료를 혼합, 생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중앙플랜트방식으로 사용함. 골재, 시멘트, 물 등의 공급장치, 수개의 재료홉퍼, 연속식 퍼그밀형 믹서, 혼합용의 홉퍼 등으로서 100 T/h~수 100 T/h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음.
소일시멘트 ( - , soil cement)
흙에 포조란시멘트나 고로시멘트를 첨가하여 흙입자를 서로 결합시키는 흙의 안정처리토. 안정처리토를 충분히 다져서 고결시키는 사용법 이외에, 소성이 높은 흙에 수분을 첨가하여 시멘트와 혼합된 반죽을 비탈면, 수로, 복공 등의 표면처리에 이용하는 경우도 있음.
소일시멘트안정처리 ( - 安定處理, soil cement stabilization)
원지반의 흙속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안정처리하는 것으로, 노반공사에 사용되고 지반강도를 높일 수 있고 함수량 변화에 따른 강도저하를 막을 수 있음.
소재침목 (素材枕木, untreated sleeper)
원목에서 생산된 그대로의 침목.
소조 (小潮, neap tide)
조석의 간만의 차가 최소인 때로 상현과 하현 후 1∼3일에 발생하는 조석.
소조승 (小潮升, neap rise)
기본 수준면으로부터 소조 평균만조면 까지의 높이.
소조차 (小潮差, neap range)
소조시 간만의 차로서 소조 평균간조위(L.W.O.N.T)와 소조평균만조위(H.W.O.N.T)의 차로 나타냄.
소조평균고조위 (小潮平均高潮位, high water ordinary neap tide. H.W.O.N.T)
소조시 고조(만조) 평균 조위의 기본수준면상 높이.
소조평균저조위 (小潮平均低潮位, low water ordinary neap tide. L.W.O.N.T)
소조시 저조(간조) 평균 조위의 기본수준면상 높이.
소준 (燒準, normalizing)
강의 열처리의 일종. 순철에서는 α철에서γ철에의 변태개시온도, 아공석강에서는 훼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로 변태완료 온도, 과공석강에서는 세멘타이트의 오스테나이트에의 고용완료온도 이상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보통 공기중에서 냉각하는 조작. 그 목적은, 전가공의 영향을 제거하고, 결정입자를 미세화하여, 기계적성질을 개선하는 것에 있음.
소지 (素地, substrate)
도료를 도포하는 면.
소지조정 (素地調整, surface preparation)
도료의 부착성 및 녹막이효과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피도장물표면을 처리하여, 도장에 적합한 상태로 만드는것. 바탕처리, 바탕마무리, 소재마무리, 퍼티(putty), 스패 튤러(spatula), 연마 등이 포함 됨.
소켓 ( - , socket)
① 관을 접속하기 위한 나사식 또는 콘센트식 관이음.
② 적교등의 케이블 끝의 고정장치.
소켓관 ( - 管, socket pipe)
플랜지관 수삽(受揷)접합부에서 수구(受口)가 달린 관.
소켓이음 ( - , socket joint)
관 이음의 한 방식으로 주철관, 강관등의 곧은 관이음에 사용되고, 삽구를 소켓속에 끼워 넣고 그 간격에 납, 고무, 시멘트모르터 등을 채워 관을 연결하는 이음.
소택지 (沼澤池, swamp, marsh land, slew, slough)
수초가 자라기 쉬운 습지, 많은 경우에 수면에 아주 근접해 있기때문에 과다한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흙이나 지반.
소택지 지류 (沼澤地 支流, bayou)
늪지로 이루어진 매우 느린 흐름의 수로 또는 지류.
소파블록 (消波 - , wave dissipating block)
주로 파력의 감쇠를 목적으로 하는 이형(異形) 콘크리트 블록.
소파장치 (消波裝置, wave absorber)
수리실험 등에서 반사파의 발생을 막기위하여 자갈 또는 금속의 깍아낸 부스러기 등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
소파호안 (消波護岸, wave absorbing revetment)
파의 에너지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려한 호안(護岸).
소포석포장 (小鋪石鋪裝, stone block / durax pavement)
시멘트콘크리트 기초위에 모르터를 깔고 그 위에 입방체의 소포석을 포설하는 포장으로 소포석의 크기는 6~9 cm정도의 불규칙석괴임.
소포제 (消泡劑, antifoaming agent)
정포제라고도 하며 유해한 기포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약품으로 실리콘 소포제가 가장 많으며 0.001~0.0001 % 정도의 미량으로 우수한 소포효과를 냄.
소프트너 ( - , softener)
강재 또는 강부재를 슬링로프로 달아 올릴 때 로프에 상처가 나지 않게 접촉부에 끼워넣는 약한 재료.
소프트토우 ( - , soft toe)
응력이 집중하는 곳에 작은 원형구멍을 만들어 플러그용접을 하여 보강 덧붙임의 토우를 만든 것.
소핏 ( - , soffit)
보, 계단, 아치 등의 아래부분을 가르키는 용어로서 아치의 경우는 내륜이라고 함.
소형승합차같이타기 (小型乘合車 - , vanpool)
같은 목적지를 가진 통근자들이 개인 또는 회사에서 제공된 소형버스(9인승~12인승)를 규칙적으로 같이 이용하는 통행행위로서 일반적으로 운전은 이용 통근자들이 담당함.
소화 (消化, digestion)
미생물이 오수중의 유기물질을 영양원으로 섭취하여 생장증식하면서 물, 탄산가스, 암모니아, 메탄등의 무기물질을 방출하며 정화되는 현상. 하수처리에는 호기성소화와 혐기성소화의 두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음.
소화가스 (消化 - , digestion gas)
소화조에서 혐기성 분해가 일어날 때 발생되는 가스. 메탄가스가 약 2/3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발열량은 5500~6500 kcal/m3 정도이며, 중유를 보조연료로 하여 소화조의 가온 등에필요한 연료가스로서 이용됨.
소화슬러지 (消化 - , digestion sludge)
농축, 소화된 슬러지. 이에 비하여 소화되기 전의 것을 생슬러지라고 함. 소화슬러지는 생슬러지에 비하여 함수율이나 체적이 감소하고, 병원균도 사멸됨.
소화오니 (消化汚泥, digestion sludge)
→ 소화슬러지.
소화용수 (消化用水, fire demand water)
화재발생시에 요구되는 급수를 말하며, 수량은 얼마되지 않지만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단시간에 걸쳐 높은 급수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특히 소도시에서는 급수시설의 규모가 소화용수에 의해서 좌우됨.
소화전 (消化栓, fire hydrant)
불을 끄는 데 쓰는 수도의 급수전.
속도 (速度, speed)
단위시간당 주행한 거리로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이동률.
속도검층 (速度檢層, velocity logging)
보링공을 이용하여 지반의 탄성파속도( P파, S파 속도)를 측정하는 검층법. 공내에 발진원(發振源)과
수신기(受振器)를 삽입하는 방법과, 발진원은 지상에 두고 수진기만을 공내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음.
속도곡선 (速度曲線, hodograph)
유속 u를 가로좌표로, g는 중력가속도이고 h는 수심일 때 를 세로좌표로 한 평면에서 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속도변동 (速度變動, velocity fluctuation)
난류의 유속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므로 평균유속은 시간에 따른 평균치를 취하는 것이 보통. 이때 순간유속과 평균유속과의 차를 속도변동이라 함.
속도수두 (速度水頭, velocity head)
유체가 움직일때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유체의 단위중량당 에너지의 크기로 나타낸 것. 보통 길이의 단위를 가짐.
속도제한 (速度制限, speed limit)
차량이 해당도로의 기하구조 조건, 교통 및 환경조건에 맞게,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주변 여건에 맞는 적정 속도로 주행하거나 규제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속도제한이라 함.
속도제한구역 설정 및 통제 (速度制限區域 設定 統制, speed zoning and control)
특정장소에 도로 및 교통 공학적인 조사를 기초로 하여 속도규제를 실시하는 것을 속도제한 구역 설정(speed zoning)이라 하며, 속도통제(speed control)의 두 가지 기본적 형태는 법적인 효력을 가지며 단속이 가능한 규제 통제와 안전속도를 권고하는 역할을 하는 권장통제가 있음.
속도제한표 (速度制限表, speed control post)
속도제한 구역의 시단에 건식된 표시로서 열차승무원(기관사)으로 하여금 열차속도를 제한 하도록 알리는 역할을 함. 선로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열차 속도의 제한을 표시하며 열차 진행방향의 좌측 소정의 위치에 세움.
속도충격률 (速度衝擊率, - )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궤도면의 부정(이음매 단차, 유간, 고저틀림, 레일 파상마모 등) 차량의 동요, 캔트의 불균형, 다이야 프랫트 등에 의해 윤중은 동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경향은 속도에 따라 증가함. 속도에 따른 윤중의 증가 경향을 표시한 것을 속도 충격률이라 함.
속도측정구간 (速度測定區間, speed trap)
도로상에 Loop를 설치하거나(테이프 등으로) 짧은 구간을 설정하여 차량의 속도(주로 시간평균속도)를 측정하는 구간.
속도평면 (速度平面, hodograph plane)
유속을 가로좌표로 를 세로좌표로 한 평면. g는 중력가속도, h는 수심.
속도포텐샬 (速度 - , velocity potential)
유체의 운동이 비회전일 때, 속도벡타가 위치의 스칼라 함수 φ의 위치에 관일 일차도함수와 같을 때, 스칼라함수 φ를 속도포텐샬이라 함.
속도향상 (速度向上, increase in train speed, speed up)
여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수송력을 증대할 목적으로 열차 속도를 향상시켜 운행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말함.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선로보강, 차량 및 동력차 개량, 전철화 등이 있음.
속불꽃 ( - , flame core)
가스불꽂 점화의 배기구에서 볼 수 있는 백색의 원추형의 부분.
속빈콘크리트제조법 (“中空 - 製造法”, cellular construction)
중공콘크리트의 제조방법으로 바닥두께의 중앙에 공간을 만든 콘크리트의 제조법.
속성작용 (續成作用, diagenesis)
고결되지 않은 퇴적물이 퇴적된 후 고결되어 퇴적암이 될 때까지 받은 작용의 총칭. 압밀이나 응력경화 같은 물리적 작용, 시멘테이션, 재결정작용 등의 물리화학적인 작용을 포함 함.
속성정보 (屬性情報, attribute information)
대상물의 자연, 인문, 사회, 행정, 경제,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지도는 지물의 형상과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자료와 그 지물의 성질과 내용을 나타내는 속성자료로 대별됨.
속스레 추출기 ( - 抽出機, soxhlet’s extractor)
아스팔트 혼합물의 추출시험에 쓰이는 기구. 환유냉각기, 여과부 및 플라스크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속채움 ( - , fill)
우물통케이슨기초 등에서 케이슨의 침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케이슨 내부의 흙을 굴착하여 침하시킨후 케이슨이 저면에 도달시 내부를 모래, 잡석 등으로 채우는 것.
손다짐 ( - , rodding)
거푸집에 부어넣은 콘크리트를 치밀하게 하기위해 다짐막대로 다지는 것.
손비비기 ( - , hand mixing)
인력으로 수밀성의 비빔대 위에서 콘크리트를 비비는 것.
손수레 ( - , wheel barrow)
인력이 손으로 끌고 다니는 수레로 콘크리트의 운반이나 각종 재료 및 소도구의 운반에 사용됨.
손실낙차 (損失落差, loss of head)
→ 수두손실.
손실시간 (損失時間, lost time)
신호가 녹색으로 변하자마자 차량이 출발할 때에 생기는 출발손실시간과, 황색시간에서, 교차로 내에 있는 차들이 완전히 빠져나가는데 필요한 시간인 진행연장시간을 뺀 소거손실시간의 합.
손톱각 와셔 ( - , square craw washer)
각형와셔의 네 모퉁이에 손톱모양의 부분을 붙여 회전을 막도록 한 것.
솔리드 와이어 ( - , solid wire)
용접와이어중에서 플럭스를 내장하지 않는 속이찬 와이어.
솔저 ( - , soldier)
거푸집 강화․수정하기 위해 쓰이는 연직 외판.
솔칠 ( - , brush painting)
도색 작업에서 솔을 이용하여 칠하는 것.
솟음 ( - , camber)
구조물이 제작, 조립된 후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구조물이 변형되었을 때 미관이나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하중에 의한 변형과 역방향인 변형을 제작시에 가한 것.
송수 (送水, transmission)
정수 처리된 물을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보내는 것.
송출량 (送出量, delivery)
단위시간에 펌프가 토출한 수량.
송풍기 (送風機, blower)
터널내부 등의 기계적환기를 위하여 공기의 송입이나 배출에 사용하는 기계로서 터널굴진작업시 및 폐쇄공간의 발파작업 등에 필수적인 기계임.
쇄기파 (碎寄波, surging breaker)
파형경사가 작은 파랑이 경사가 급한 해안에서 부서질 때 보이는 쇄파형태로서, 파봉의 전면부는 거의 연직을 이루고 후면부는 수평에 가까우며 쇄파로 인한 기포 발생이 매우 미약함.
쇄빙선 (碎氷船, ice breaker)
얼어붙은 강수면등에서 얼음을 부수기 위한 선박.
쇄석 (碎石, crushed stone)
→ 부순돌.
쇄석기 (碎石機, crusher)
암석을 부수어 잡석을 생산하는 기계로 최소직경 15 mm정도까지 파쇄하는 데 쓰이는 조쇄기와 5 mm
이하로 부수는 중쇄기, 가늘게 부수는 분쇄기로 대별되며 조 크러셔(jaw crusher), 롤 크러셔(roll crusher), 해머 크러셔(hammer crusher)로도 분류됨.
쇄석 다스트 (碎石 - , crushed stone dust)
석분을 파쇄한 것 가운데 No.8체를 통과한 부분. 스크리닝스라고 함. 입도조정쇄석에 의한 기층의 보충재료와 쇄석머캐덤 기층의 채움재로 쓰임.
쇄석도상 (碎石道床, crushed stone ballast)
깬자갈을 재료로 사용한 도상을 말함.
쇄석콘크리트 (碎石 - , crushed stone concrete)
굵은골재로서 부순돌을 사용한 콘크리트.
쇄석플랜트 (碎石 - , crushing plant)
쇄석기와 가름체, 제사기계 등을 모두 구비하여 골재를 생산 제조하는 일련의 기계군.
쇄석해머 (碎石 - , rock breaking hammer)
해머의 중량을 이용하여 골재를 부수는 특수해머.
쇄설물 (碎屑物, clastics)
모래, 자갈, 암편, 등의 집합물.
쇄암선 (碎岩船, rock cutter)
수중의 암석을 부수는 암파쇄선박으로 중추식과 충격식이 있으며, 쇄 암추를 낙하시켜 해저의 암반을 파쇄함.
쇄정전철기 (鎖錠轉撤器, locked points)
전철기가 선로의 한쪽으로 개통되어 타선로의 진입을 못하도록 고정시켜 놓은 전철기.
쇄파 (碎波, wave breaking, breaker)
파랑의 진폭이 매우 클 때 비선형 효과로 파봉의 수립자 속도가 파의 전파속도보다 커져서 파봉의 물이 파봉 전면의 파곡으로 떨어져 강한 난류 혼합과 기포를 발생시키며 깨지는 현상.
쇄파고 (碎波高, breaker / breaking wave height)
쇄파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파고.
쇄파대 (碎波帶, breaker / surf zone)
쇄파선으로부터 해안의 최대 처오름선까지 쇄파가 발생하는 범위의 영역.
쇄파선 (碎波線, breaker line)
연안에서 파랑이 쇄파하는 각 지점을 연결한 선.
쇄파 수심 (碎波 水深, breaker depth)
쇄파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지점의 수심.
쇄파점 (碎波點, wave breaking point)
쇄파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지점.
쇄파 조건 (碎波 條件, wave breaking condition)
쇄파가 발생하는 조건으로 천해에서는 주로 수심에 의해 결정되며, 심해에서는 파형경사(波形傾斜)에 의해 결정됨.
쇠갈퀴 ( - , rake)
아스팔트포장 등에서 역청재료를 포설할 때 인력으로 펴서 깔기 위해 쓰이는 철재로 된 도구.
쇠지레 ( - , crowbar)
지렛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철 또는 강으로 제작된 공구.
쇼어경도 ( - 硬度, shore hardness)
시험편 상면에 작은 강구(또는 다이아몬드구)을 붙인 작은 추를 일정한 높이로부터 낙하시켜 튀어오르는 높이로 표시하는 경도. Hs의 기호에 의함.
숏 블래스트 ( - , shot blast)
금속제품의 표면에 구(쇼트)를 불어내어, 녹이나 흑피를 제거, 청정하게 하는 것.
숏크리트 ( - , shotcrete)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호스속의 콘크리트, 모르터 또는 그들의 재료를 시공면에 뿜어서 만든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 미리 반죽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를 뿜어 붙이는 습식법과 시멘트 골재의 혼합물과 물을 각각 다른 노즐을 통해 뿜어 붙이는 건식법이 있음.
수격압 (水擊壓, water hammer pressure)
수격작용으로 관수로에 발생한 상승압력.
수격작용 (水擊作用, water hammer)
관수로내의 흐름을 갑자기 정지시킬 때 또는 수문을 갑자기 개방할 때 관로에 생기는 급격한 수압상승현상. 대형압력관로에는 이로 인한 관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압수조 또는 안전밸브 등이 설치됨.
수경성 시멘트 (水硬性 - , hydraulic cement)
수분을 흡수하여 응결 경화하는 시멘트.
수계 (水系, river system, drainage texture)
하천의 본류, 지류 및 파천 등으로 이루어진 한 하천의 전체적인 흐름계통.
수계밀도 (水系密度, drainage / channel density)
하천의 집수구역의 단위면적당 하천의 평균길이.
수공학 (水工學, hydraulic engineering)
수리학과 수문학을 기초로한 응용분야. 펌프장, 저수지, 밸브, 관수로 등의 설계와 제작, 수자원의 합리적인 이용방안, 도시홍수의 처리, 상․하수관로설계 등을 담당하는 분야를 통털어 말함.
수관차단 (樹冠遮斷, crown / canopy interception))
강우량의 일부가 공중에서 바로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고 나무가지나 식물의 잎에 떨어져 빗물이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것.
수괴 (水塊, water body / mass)
물이 많이 모여 형성된 자연적인 물집합체. 즉, 저수지, 호수, 바다, 대양 등.
수권 (水圈, hydrosphere)
지구의 지각에 존재하는 수분. 수분의 존재형태는 일부는 지중에 지하수로, 일부는 지표위에 바다나 다른 물이 모여 있는 형태로 그리고 대기중의 수분 등으로 나누어 짐.
수냉조작 (水冷操作, water cooling)
물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소형냉동기를 내부에 장치하여 물을 기계적으로 냉각시키는 기계를 워터쿨러(water cooler)라 함.
수도 (水道, water supply system)
물을 정수하여 도관이나 기타 공작물을 통하여 물수요자에게 물을 공급하는 시설의 총체적인 체계.
수도사업 (水道事業, water supply management)
양질의 수돗물을 필요한 양만큼 언제나 제한없이 주민에게 공급하기 위하여는 상수도의 수원개발 및 취수된 물의 처리정화, 정화된 물의 운송등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원할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관리 및 운영을 말함.
수동상태 (受動狀態, passive state)
옹벽과 같이 토압을 받는 구조물이 흙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변위가 커짐에 따라 수평토압이 점차 커저서 최종적으로 더 이상 커지지 않는 어느 한계치에 도달한 상태.
수동식 전철기 (手動式 轉撤器, manual switch)
철도에서 수동(인력)에 의해 전환하는 전철기로서 추달린 전철기, 표지 전철기, 랏치달린 전철기가 있음.
수동신호기 (手動信號機, manual signal)
인력에 의하여 레바를 조작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로서 도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조작 하는 것임.
수동차단기 (手動遮斷機, hand operated gate)
철도에서 인력에 의하여 차단기암을 상승, 강하시키는 건널목 차단기를 말함.
수동토압 (受動土壓, passive earth pressure)
수동상태에 있어서 옹벽과 같은 구조에 작용하는 토압.
수두 (水頭, head)
단위무게의 유체가 갖는 에너지로서 길이의 차원을 가짐. 수두에는 압력수두, 속도수두, 위치수두가 있으며, 이들을 모두 합한 수두를 전수두 또는 총수두라 함.
수두손실 (水頭損失, head loss)
유체가 흐를 때 유체의 점성이나 수로단면의 변화 또는 수로에 설치된 구조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너지의 손실을 말함.
수두손실계 (水頭損失計, loss of head gauge)
여과과정중 수두손실을 나타내는 급속여과기상의 계기. 이 계기에 나타난 결과를 보고 작업자는 여과기 세척의 필요성을 알 수 있음.
수락 간격 (受諾 間隔, acceptance gap)
운전자가 합류, 횡단주행, 추월 및 비보호좌회전을 하거나,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경우의 이용 차간시간.
수력굴착 (水力掘鑿, hydraulic excavation)
석탄층이나 금 또는 주석이 포함된 자갈층을 깨부수기 위하여 강력한 분사수류를 사용하는 것.
수력기계 (水力機械, hydraulic machinery)
물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액체 또는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여 유체와 기계의 운동하는 부분사이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 예, 펌프, 수차 등.
수력발전소 (水力發電所, hydro-electric / water power plant, hydro-electric power station)
자연상태나 인공적으로 물의 낙차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킬수 있는 수차가 설치된 건물.
수력발전출력 (水力發電出力, hydro-power output)
이론출력(P0)에 수차효율(η1)과 발전기효율(η2)를 곱한것을 말함.
즉, 수력발전출력(P)은 임.
수력의 연간편익 (水力 - 年間便益, annual benefit of hydro-electric power)
수력발전 편익은 시설(kw)편익과 에너지(kwh)편익을 연간 균등액으로 환산하여 합산함. 즉, 연간편익=시설편익+에너지편익. 여기서 시설편익은 수력발전소의 1차변전소를 기준으로한 유효출력에 편익단가를 곱한 값으로 kw당 화력건설비에 연간비용 계수와 조정계수를 곱하여 구함. 에너지편익은 수력의 1차변전소 기준 연평균 유효전력량에 편익단가를 곱한 값으로 kwh당 유류소비량에 유류단가와 손실조정계수를 곱하여 구함.
수력조사 (水力調査, hydro-electric power potential survey)
하천수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이용 및 개발에 관한 모든 조사와 측량을 말함.
수력지점 (水力地點, water power site)
수력발전소를 건설한 지점 또는 건설 하기에 적합한 지점.
수렴사진 (收斂寫眞, convergent photograph)
좌우 광축이 안 쪽으로 수렴된 상태로 촬영된 사진. 한 모형(model)에 포함되는 범위가 넓다는 점과 기선-고도비가 크고 높이결정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음.
수로 (水路, ① channel, ② canal, ③ gut, narrows, ④ inlet, ⑤ waterway)
일반적으로 물이 흐르는 공간을 말함. 수로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음.
① channel = 수로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
② canal = 인공적인 운하 또는 섬사이의 해협.
③ gut, narrows = 폭이 좁은 수로.
④ inlet = 만의 입구의 짧고 좁은 수로.
⑤ waterway = 배가 항행할 수 있는 수로.
수로가장자리 (水路 - , channel margin)
하천의 좌우안에 가까운 수심이 얕은 부분.
수로경사 (水路傾斜, channel slope / grade)
수로의 바닥이 흐름방향을 따라서 수평과 이루는 기울어진 정도. 수로경사는 수로내의 유속에 깊은 영향을 줌.
수로곡률 (水路曲率, channel curvature)
만곡된 곡선수로의 반경의 역수.
수로교 (水路橋, aqueduct, elevated flume)
수로가 깊은 골짜기나 하천을 횡단하는 수로 전용의 교량.
수로노선 (水路路線, alignment)
유로를 나타내는 지상계획.
수로변이 (水路變移, channel transition)
수로의 단면변화를 포함하여 흐름의 변화를 일으키는 수로의 방향과 경사의 변화를 말함.
수로사행 (水路蛇行, channel meandering)
수로가 좌우측으로 꾸불꾸불하게 만곡된 것.
수로상강수 (水路上降水, channel precipitation)
하도내의 수면위에 직접 떨어지는 강수.
수로수축 (水路收縮, channel contraction / constriction)
수로의 단면적이 줄어 드는 것을 말함.
수로식발전소 (水路式發電所, run-of river / stream flow plant)
하천의 특성에 따라 완경사의 수로를 설정하고 하천의 급경사와 굴곡 등을 이용하여 주로 수로에 의해서 낙차를 얻는 수력발전소. 취수에서 방류까지의 경로는 대략 다음과 같음. 취수댐→취수구→침사지→수로→수조→수압관로→발전소→방수로. 취수구의 상류 또는 수로의 도중에 천연호수나 인공저수지 또는 조정지를 둘 때도 있음.
수로전환공 (水路轉換工, canal headwork)
관개수로의 상류부에 설치된 유로전환 구조물.
수로조절 (水路調節, channel control)
수로의 선형, 수로폭, 수로바닥을 안정화 하는 것. 수로조절의 목적은 수로용량을 증가 시키든지, 최적수심의 유지, 불안정하도의 개선, 또는 단순히 형상이나 제방의 침식방지 등을 들 수 있음.
수로종단도 (水路縱斷圖, channel profile)
수로의 흐름방향을 따라 표고와 수평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유역의 지형도로부터 결정.
수로천이 (水路遷移, channel transition)
→ 수로변이.
수로측량 (水路測量, hydrographic surveying)
선박의 항행을 위해 바다, 하천, 호수 등의 항로에 대해 수심, 지질, 지형상황, 목표 등을 관측하여 해도를 작성하는 측량을 의미하며, 측량대상 및 지역에 따라 항만측량, 항로측량, 연안측량, 대양측량, 보정측량으로 구분.
수로터널 (水路 - , water way tunnel)
상하수도, 관개, 발전 등의 목적으로 물을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수송하는 터널임.
수로폭 (水路幅, channel width)
수로의 형상이 제방 등에 의하여 정해져 있는 경우에 제방의 제외측 법선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자연하천에서는 매년 1회 이상 물이 흐른 흔적을 나타내고 있는 토지(하천구역)의 횡단면의 최대폭을 말함.
수로피복 (水路被覆, channel lining)
수로에서 침출손실을 줄이고 침식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흐름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로벽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얇은 두께의 마감처리. 피복재로는 점토,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이 사용됨.
수로호안 (水路護岸, channel revetment)
수로제방이 침식되는 것을 막기위한 피복공이나 표면보호를 행하는것. 호안재료는 돌, 콘크리트, 말뚝박기 등이 있음.
수로횡단면 (水路橫斷面, channel cross-section)
수로의 흐름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물이 흐르는 부분의 형상.
수리가변류 (水理可變流, hydraulic transient)
유체가 흐를때 흐름조건이 달라짐으로 인하여 압력변동이 생기는 부정류. 이러한 흐름은 개수로, 관수로 및 이들의 혼합수로에서 생김.
수리구조물 (水理構造物, hydraulic structure)
물을 저수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구조물을 일컫는 총칭, 수리구조물로는 댐, 펌프장, 내륙수로, 유로전환공 등이 있음.
수리권 (水利權, water right)
특정한 기업, 부락 및 기타 단체나 개인이 관개, 상수도, 수력발전, 공업용수 등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소의 물 또는 수면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권리.
수리모형 (水理模型, hydraulic model)
수리구조물을 수리학적 상사가 이루어지도록 상사법칙에 의하여 구한 축척에 따라 원형에 가깝도록 재현한 구조물을 말함. 수리모형실험은 많은 수리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이용됨.
수리불안전답 (水利不安全畓, partially irrigated rice paddy)
비가 오지 않을 때 관개용 수리시설이 안되어 적기에 관개급수가 불가능한 논.
수리상 유리한 단면 (水理上 有利 - 斷面, best / most efficient hydraulic section)
유량이 일정하고 개수로의 경사, 조도계수 등이 같을때 단면형태가 주어진 경우에 윤변이 최소 또는 동수반경이 최대가 되는 단면형상을 말함. 예로서 직사각형 단면일 때는 수로폭이 수심의 두배로 되는 단면이 됨.
수리수심 (水理水深, hydraulic depth)
개수로의 유수단면적을 수면폭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단면평균수심.
수리안전답 (水利安全畓, irrigated rice paddy)
가뭄일때도 관개용 수리시설이 완비되어 농작물의 생육기간중 적기에 관개급수가 가능한 논.
수리전도계수 (水理傳導係數, coeffici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 투수계수.
수리특성곡선 (水理特性曲線, hydraulic characteristic curve)
수로의 수리량의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으로 폐합단면수로에서 임의의 수심에 대한 수리특성을 만수상태의 수리특성과의 비로 나타낸 것. 유속, 유량, 동수반경, 유수단면적 등에 대한 수리특성곡선이 있음.
수리평균심 (水理平均深, hydraulic mean depth)
→ 동수반경.
수리학 (水理學, hydraulics)
정지해 있거나 움직이고 있는 물 또는 유체가 작용하는 힘, 운동특성, 에너지손실 등의 관계를 다루는 기초적인 학문분야. 수공학과 수자원공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
수리학적 상사 (水理學的 相似, hydraulic similitude)
수리모형실험에서는 동역학적 상사를 수리학적 상사라 함. 동역학적 상사는 원형과 모형사이에 대응하는 수리현상에 길이, 시간, 힘의 상사가 동시에 성립되는 것을 의미함.
수리학적으로 매끈한 관 (水理學的 - 管, hydraulically smooth pipe)
거친 경계면 위로 난류가 흐를 경우에도 층류저층은 형성되며, 경계면의 돌기가 완전히 층류저층 내부에 있으면(돌기의 크기가 층류저층 두께의 1/4 이내) 경계면은 수리학적으로 매끈하다고 말함. 위와 같은 흐름특성이 나타날 때의 관을 말하며 수리학적으로 매끈한지 거치른지의 판단은 관의 조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흐름특성과 조도와의 상대적인 관계에 있음.
수리학적 추적 (水理學的 追跡, hydraulic routing)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을 이용하여 부정류인 홍수류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하천유로를 따라 연속되는 지점에서 홍수의 수문곡선의 발생시각과 형태를 결정하는 것.
수리학적 평균체류시간 (水理學的 平均滯留時間, mean hydraulic retention time)
물이 반응조에 유입되어 유출될 때까지 평균적으로 머무는 시간. 반응조의 체적(V)을 유량(Q)으로 나눈 값.
수맥 (水脈, nappe)
수로를 가로 질러 설치된 수직벽, 댐 또는 웨어의 마루를 월류하는 물의 얇은 층을 말하며 수맥은 상부수면과 하부수면이 있음.
수맥점치기 (水脈 - , divining, dowsing)
손에 나무가지나 다른 도구를 쥐고서 지하에 지하수가 있는곳을 찾아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 지상에서 물이 있는 곳 위에 위치했을때 나무가지의 끝단이 아래로 휘어진다고 함.
수면곡선 (水面曲線, water surface profile)
수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수평거리와 수면표고를 연결하여 나타낸 선.
수면급강하 (水面急降下, sudden drawdown)
→ 수위급강하.
수면급락 (水面急落, hydraulic drop)
수로경사가 급경사에서 완경사로 변하는 지배단면 부근에서 수심이 급하게 변하면서 수면이 높은 수위에서 낮은 수위로 급하게 변하는 것.
그림
수면방류 (水面放流, surface discharge)
수심이 깊은 저수지는 수심에 따라 수온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수심이 깊은 곳의 물을 방류하면 수온이 낮아서 하류 하천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큼. 그러므로 수온이 높은 수면에 가까운 물을 방류하는 방법.
수면부자 (水面浮子, surface float)
수면에 떠있는 나무 또는 금속으로 된 작은 물체로 흐름의 표면유속과 유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됨.
수면상부보정 (水面上部補正, air line correction)
수심을 측정할때 정확한 수심을 결정하기위하여 필요한 보정.
수면측정기 (水面測定器, slope gauge)
물표면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
수면층전환 (水面層轉換, skimming)
가장 깨끗한 물을 얻기위하여 천수월류(淺水越流)에 의하여 표면수를 얻는 방법.
수몰면적 (水沒面積, reservoir basin)
댐지점에서 물에 잠기게 되는 저지대 또는 계곡의 면적 .
수문 (水門, water / sluice gate)
홍수방어, 용수, 배수, 수위조절 등을 목적으로 수로에 설치하여 수로를 개폐(開閉)하는 구조물로서 보통 수문은 수문주를 세워 설치하거나 보나 웨어의 중간부분에 설치함.
수문경첩 (水門 - , hollow quoin)
갑거수문의 뒷 기둥을 지탱하기 위한, 윗 표면에 구멍이 뚫린 오목한 구조물.
수문곡선 (水文曲線, hydrograph)
하천이나 수로의 임의의 한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량이나 수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도표.
수문과정 (水文過程, hydrologic processes)
수문과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 짐 : (1)강수가 주요한 과정인 습윤단계, (2)강수가 그치고 증발이 주요과정인 건조단계. 습윤단계 동안에 증발은 감소하고 유역은 강우로부터 침투와 지면저류에 의하여 수분을 얻음.
수문관측 (水文觀測, hydrologic observation)
수문학적 해석에 필요한 수문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하는 제반 수문량의 관측. 수문관측에는 강우량, 하천수위, 유량, 지하수 등이 있음.
수문기상학 (水文氣象學, hydrometeorology)
대기중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기상학의 분야를 조금더 광범위하게 해석하여 대기중의 물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 것.
수문년 (水文年, water / hydrological year)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12개월의 기간. 우리나라의 수문년은 1월 1일부터 12월 31까지이나 미국은 10월 1일부터 다음해 9월 30일까지로 수문년을 잡고있음.
수문시계열 (水文時系列, hydrologic time series)
수문학에서 모든 변수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관측하거나 기록하는 연속사상.
수문실 (水門室, gate chamber / house)
조선도크 또는 갑거의 수문을 열때 이들 수문이 들어가 있을 수 있도록 갑거의 벽속에 부수적으로 설치된 공간.
수문예보 (水文豫報, hydrologic forecasting)
장래에 발생가능한 수문현상을 미리 알려주는 것. 예보의 3가지 단계는 자료수집, 예보의 공식수립, 예보발표.
수문조사 (水文調査, hydrological investigation)
수문관측을 통하여 수집된 수문자료를 여러가지 학문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정리하는 작업.
수문주 (水門柱, pier)
댐의 월류부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문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원형이나 사각형 기둥 또는 콘크리트벽과 같은 구조물.
수문학 (水文學, hydrology)
지상이나 지중에 있는 물의 생성, 물의 물리적, 화학적성질 및 강수에서부터 바다나 호수로의 유출 또는 대기중으로 환원될 때까지의 과정과 관계된 과학분야.
수문학적 추적 (水文學的 追跡, hydrologic routing)
홍수추적 방법의 하나로 홍수파의 연속방정식에 기초를 둔 저류방정식을 사용하는 근사해법이며, 저수지추적, 하도추적, 유역추적으로 구분됨. 저수지추적은 저수지를 통과하는 홍수파에 미치는 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추정하는 것이고, 하도추적은 자연하천과 하도가 홍수파에 미치는 저류효과를 추정하는 것이며, 유역추적은 자연하천유역의 홍수저류효과를 고려하여 유역출구에서의 홍수량의 시간적변화를 추정하는 것임.
수밀성 (水密性, water tightness)
구조물이나 재료의 성질이 물의 침투, 흡수, 투수를 제어하는 성능.
수밀콘크리트 (水密 - , water tight concrete)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조밀하게 만든 콘크리트. 즉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수반관개 (水盤灌漑, basin irrigation)
과수 관개법의 일종으로서 과수 한 그루 또는 2~3 그루를 한 구획으로하고 주위에 둑을 쌓고 관개하는 방법.
수발 (水拔, weep hole)
→ 배수공.
수방 (水防, levee protection)
홍수시 제방의 위험방지를 강구하는 것.
수법 (水法, water law)
지표수와 지하수의 이용, 개발, 사용제한, 수질및 수리권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의 총칭. 예, 하천법, 지하수법, 공유수면 매립법등.
수분검층 (水分檢層, neutron logging)
방사능검층에 의하여 지층의 함수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중성자의 감속과정이 수소원자핵의 밀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공내에 고속중성자를 방사하여 부근의 감속된 열중성자를 측정하므로서 수소원자핵밀도 즉, 함수량을 구하는 검층방법. 중성자검층이라고도함.
수분당량 (水分當量, moisture equivalent)
처음에 토양을 물로 포화시킨 후, 30분 또는 1시간 동안 중력의 1,000배의 원심력을 가한 후 토양중에 보유되는 수분함유율.
수사지 (受砂地, catch basin)
모래 등으로 배수로, 도랑, 하수구 등과 같은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위의 구조물이 시작되기 전에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지점에 두는 모래 등을 침전시키는 작은 수조를 말함.
수상교통 (水上交通, water transportation)
해상교통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국내외 해상 화물 및 연안 해운 등을 총칭함.
수선선 (修繕線, repair track)
차량의 수선작업을 수행하는 측선을 말함.
수소유기균열 (水素誘起龜裂, hydrogen induced crack)
용접금속중에 수소량이 많을때, 수소취성을 일으켜 발생하는 구열.
수소이온농도 (水素 - 濃度, hydrogen ion concentration)
용액속의 수소이온 농도를 말하며 보통 몰/L로 표시함.이 농도의 역수를 상용대수화한 것을 수소이온지수(pH)라고 함.
수소취화 (水素脆化, hydrogen embrittlement)
부식, 산화, 전해, 전기방식, 용접 등에의해서 생기는 수소가 금속중에 흡수되어, 인성이 저하되 는것. 또한 고온고압의 화학장치등에서는 활성수소에 의해 금속재료가 취화되는 것도 있음.
수소탈황법 (水素脫黃法, hydrogen desulfurization process)
석유정제에 있어서 원유로부터 유출유를 온도 350~420 ℃, 압력 50~220 kg/cm2의 조건으로 촉매를 써서 수소와 반응시키면 기름중의 유황분이 유화수소로 되어 제거되는 것으로서 석유정제법의 일종. 나프타, 등유, 경유, 잔유등의 탈황에 쓰임.
수송망 (輸送網, network)
→ 교통망.
수송망 평형 (輸送網 平衡, network equilibrium)
→ 교통망평형.
수송부문 (輸送部門, transportation sector)
→ 교통부문.
수송률 (輸送率, delivery ratio)
유사발생원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 하류유사이동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수송률(D)는 어느 지점에서의 유사량(Y)를 이 지점보다 상류에 있는 유역으로부터 침식된 총유사량(T)로 나눈값. 즉 D = Y/T로 표시됨.
수시 수선방식 (隨時 修繕方式, method of routine repair work)
궤도보수방식의 일종으로 궤도를 점검하여 수시로 불량한 부분의 궤도를 보수하는 방식.
수신호 (手信號, flag hand signal)
인력으로 신호기 혹은 신호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대용 수신호기, 통과 수신호기, 임시 수신호기 등이 있음.
수실조압수조 (水室調壓水槽, chamber surge tank)
조압수조의 한가지로 수조내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대하여 각각 저수지의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를 기준으로 상․하단에 수평으로 넓은 공간(水室)을 설치하고 이들 상실과 하실을 세로관으로 연결하여 부하의 급변에 응하고 수실로부터 물을 보급하거나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
그림
수심 (水深, depth of flow, water depth)
수조나 수로에서 수면에서 바닥까지 바닥에 연직한 방향으로 측정한 물의 깊이.
수심계 (水深計, bathymeter)
대양, 바다, 호수에서 수심을 측정하는 계기.
수심도 (水深圖, bathymetric chart / map, fathogram)
바다나 호수의 수심이 표시되어 있는 지도.
수심측량 (水深測量, bathymetry)
대양, 바다, 호수에서 수심을 측정하는 것.
수압관 (水壓管, penstock)
조압수조 또는 저수지에서 발전용 수차에 연결한 압력송수관로를 말하며,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강관으로 설계하며 수격작용에 의한 압력변동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함. 수압관은 기후조건에 따라 관내의 결빙 등을 막고 신축이음 수를 줄이기 위하여 통상 이를 피복함.
수압기 (水壓機, hydraulic press)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얻기 위한 기계.
수압할열 (水壓割裂, hydraulic fracturing)
높은 수압으로 인하여 암반이나 지반이 균열발생으로 파쇄되는 현상. 수압파쇄(水壓破碎)라고도함.
수애선 (水涯線, waterside line)
→ 물가선.
수온 (水溫, water temperature)
물의 온도.
수온약층 (水溫躍層, thermocline)
성층화된 호수의 수심과 수온의 관계에서 표수층과 심수층을 구분하는 선.
수용접 (手鎔接, manual / hand welding)
용접조작을 손으로 행하는 용접.
수원 (水原, water source)
상수공급에 필요한 원수를 취수하는 공급원을 말함. 수원은 수질면에서 청정하고, 장래오염의 위험이 없거나 작아야 하며, 계획급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곳이라야 함. 수원의 종류로는 하천수․호수․저수지수등의 지표수, 천층수․심층수․용천수․복류수등의 지하수가 있음.
수위 (水位, water level / stage)
어느 기준면(datum level)으로부터 측정한 수면의 높이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
수위강하 (水位降下, drawdown)
저수지 등에서 수위가 낮아지는 현상 또는 양수로 인해 우물 주위의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현상.
수위강하곡선 (水位降下曲線, cone of depression / exhaustion / influence)
펌프가 가동하고 있는 우물, 연직갱 또는 시추구멍 주위 대수층의 지하수위가 떨어져 만들어진 지하수면의 역원추형상. 지하수의 양수량이나 주입량은 수위강하곡선에 영향을 미침.
수위계 (水位計, stage guage)
하천이나 저수지 및 호수에서 한 지점의 수면높이를 측정하는 계기로 사람이 하천수위를 육안으로 측정하는 보통수위계와 수위를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기수위계의 두가지가 있음.
수위급강하 (水位急降下, sudden drawdown)
저수지에서 방류구 등을 통하여 저수지의 물을 방류할 때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는 현상. 수위급강하는 필댐의 사면안정과 관계가 깊음.
수위상승 (水位上昇, bulidup, heading up, back up)
수로상에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수위가 수로의 원래의 수위보다 상승하는 현상.
수위수문곡선 (水位水文曲線, stage hydrograph)
하천의 한지점에서 수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수위유량곡선 (水位流量曲線, discharge rating / stage-discharge curve)
하천의 한지점에서 횡축에 유량, 종축에 수위를 표시하여 하천의 수위와 유량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수위유사량곡선 (水位流砂量曲線, stage-sediment discharge curve)
하천의 한 단면에서 유사량과 하천수위와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
수위회복 (水位回復, recovery)
포화수대에 물이 채워져서 지하수위가 원래의 수위로 상승하는 것.
수율 (收率, yield)
완성품이 된 물건에 들어 있는 소재의 양(완성중량) 과 소비한 소재의 양(절단한 폐재, 부스러기 등을 포함)과의 비율.
수은기압계 (水銀氣壓計, mercury barometer)
대기압을 수은의 높이로 측정하는 압력계로 측정방법은 수은으로 가득 채워진 유리관을 수은이 담겨있는 용기속에 거꾸로 세웠을때 나타나는 수은주의 높이로서 대기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압력계.
수은중독 (水銀中毒, mercury poisoning)
수은제를 내복 또는 외용했을 때나 수은의 증기를 장기간 마셨을 때에 일어나는 병증.
수인성 전염병 (水因性 傳染病, waterborne disease)
만일 수중에 인체내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병균이 존재할 경우, 개인 뿐만 아니라 그 물을 사용하는 지역전체가 전염되어 폭발적인 환자발생을 일으키는데 이를 수인성 전염병이라 함.
수자원공학 (水資源工學, water resources engineering)
수리학과 수문학을 기초로 유역에 내린 강우와 지하수와 같은 수자원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는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분야.
수정CBR (修正 - , modified CBR)
현장의 다짐조건을 합하여 얻은 부순돌, 모래 등 입상(粒狀) 기층재료의 CBR을 말함.
수정 토페카 (修正 - , modified topeka)
굵은 골재, 잔골재, 충진재 및 아스팔트의 가열 혼합물로서 2.5 mm체 합성입도 통과율이 50~60 %인 것.
수제 (水制, spur dike, groin)
수세를 완화하거나 하신을 정정하기 위하여 하안으로부터 하신으로 향하여 설치한 공작물. 수제는 불투수성, 반투수성, 투수성일 때도 있고 시공재료는 영구적, 반영구적 또는 일시적인 것인 경우가 있음.
그림
수제구역 (水制區域, groin field)
인접한 수제간의 구역.
수제머리 (水制 - , groin head)
수제의 앞부분.
수조 (水槽, ① cistern, ② head tank)
① 물을 담아두는 큰 통.
② 수로종단에 위치하여 수로와 수압관을 연결하며 발전소 수차에 송수하기 위한 저수구조물. 수조의 기능은 크게 나누어 부하의 미소변동을 조정하며 비상시에는 도수로의 유량을 여수로를 통하여 안전하게 방류시키며, 일부 침사지의 기능을 가지고 침전물을 배사문으로 방출시키고, 수압철관에 유입하는 수량을 필요에 따라 차단함.
수주 (水柱, water column)
수로나 수조에서 임의의 단면을 가진 연직방향의 가상의 물기둥.
수준기 (水準器, level tube, spirit level)
측정기의 수평을 확인하는 기구를 말함. 기포관의 기포가 중앙에 있을 때 측정기는 수평의 위치에 있게 됨.
수준망 (水準網, leveling network)
두개 이상의 수준환이 결합한 망의 형태로 수준노선의 전체를 말함. 즉 수준점을 연결한 수준노선이 원출발점으로 돌아가든가 다른 표고의 수준점에 연결하여 망을 이룸.
수준면 (水準面, level surface)
각점들이 중력방향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곡면.
수준원점 (水準原點, original vertical datum)
평균해수면은 일종의 가상면으로서 수준측량에 직접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평균해수면과 관계된 높이의 기준점으로서 지상에 영구표석으로 설치한 점. 고저기준원점이라고도함. 수준(고저)측량의 최초의 출발점임.
수준의 (水準儀, level)
→ 레벨.
수준점 (水準點, bench mark)
기준수준면에서의 높이를 정확히 구하여 놓은 점으로 고저(수준)측량의 기분이 되는 점. 국가수준점의 경우에는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관측된 높이로서 각종 수준측량의 기준이 됨. 약어 : BM.
수준점성과표 (水準點成果表, bench mark data)
수준측량결과를 기록한 표로서, 형식에는 고차식(종란식), 기고식, 승강식이 있음.
수준측량 (水準測量, leveling)
→ 고저측량.
수준표 (水準標, bench mark post / mark drop pit)
수준 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이며, 기준면에서의 높이(標高)가 정확하게 구하여지고 있어 선로의 표고를 재정하는 기준이 됨.
수준환 (水準環, leveling circuit)
동일한 수준노선을 2회(왕복관측) 측량함으로써 얻어지는 환(環). 수준망을 구성하는 수준망 내의 하나의 폐곡선.
수중단위중량 (水中單位重量, submerged unit weight)
포화단위중량에서 토립자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물의 무게(부력)를 뺀 중량. 지하수위 이하에서의 유효응력 산출에 사용됨.
수중발파 (水中發破, underwater blasting)
수중에서 암반을 발파 굴착하는 방법으로 지상발파와 대동소이하나 사용화약량이 4~5배 많으므로 발파공의 직경이 크거나 발파공 간격이 작음.
수중양생 (水中養生, water curing)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 등을 물 속에 담구어 양생하는 것.
수중오리피스 (水中 - , submerged orifice)
수로에서 오리피스가 설치된 웨어보다 하류측의 수위가 높아서 오리피스가 물속에 잠겨 있는 경우.
수중용접 (水中鎔接, underwater welding)
담수 또는 해수중에서 하는 용접. 피복아크용접. 가스쉴드아크용접 프라스마아크용접이 쓰여지고 있음.
수중웨어 (水中 - , submerged weir)
웨어하류의 수면이 웨어의 월류수심의 약 ⅔보다 높은 웨어를 말함. 웨어하류의 수면변동이 상류의 수위에 영향을 미침.
수중음파탐지기 (水中音波探知機, sonar)
음파의 수중 전파를 이용하여 수심이나 해저퇴적층 또는 암반층의 두께 등을 측정하는 장치.
수중절단 (水中切斷, underwater cutting)
담수 또는 해수중에서 하는 절단. 가스절단외에 플라즈마 절단 등도 있음.
수중콘크리트 (水中 - , underwater concrete)
수중에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물을 그대로 둔 채 콘크리트를 치는 작업.
수지 (樹脂, resin)
원래 식물에서 분비되는 고형물로서 천연물에 주어진 명칭이나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등의 반응으로 수지와 비슷한 성상의 것이 합성되면서, 그것을 합성수지라 부르게 되었슴. 그후 원래 수지는 천연수지라 하게 되었으며 총칭하여 수지라 일컬음.
수지콘크리트 (樹脂 - , resinconcrete)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골재와 결합시킨 콘크리트로서 포틀랜트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음.
수직각 (垂直角, vertical angle)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각으로 고저각, 상향각(앙각), 하향각(부각), 천정각거리, 천저각거리, 연직각 등이 수직각에 포함됨.
수직갱 (垂直坑, shaft)
터널공사 등에서 연직방향으로 굴착하여 놓은 갱도로서 수평갱, 경사갱에 대응하는 용어임. 터널 연장이 긴 경우는 일정거리별로 수직갱을 시공하여 양방향에서 굴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
수직갱도 (垂直坑道, vertical shaft)
지각의 내부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갱도로 수갱(竪坑)이라고도 함. 여러 분야에서 그 나름대로의 목적에 따라 만들어지며, 광산에서는 광상에 도달하기 위한 길이 되고 광석, 자재 등의 통로가 되며, 공기나 동력의 공급로 및 배수로가 됨. 규모와 길이가 다양하며 지표에서 아래로 파내려가거나 아래에서 위로 굴착함.
수직도 (垂直度, plumbing)
가설도중 또는 완료시의 축부재의 수직도 등을 말함.
수직력 (垂直力, normal force)
임의의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수직 변형도 (垂直 變形度, normal strain)
임의의 단면에서 수직으로 발생하는 변형도.
수직보강재 (垂直補剛材, vertical / transverse stiffener)
재축에 수직으로 설치한 보강재로, 복부판의 좌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함. 또한 보의 지점 및 바닥보, 종항, 수직브레이싱을 연결하는 부분의 하중집중점에는 힘의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 수직보강재를 반드시 설치함.
수직사진 (垂直寫眞, vertical photography)
광축이 연직선과 거의 일치하도록 경사각 3°이내로 공중에서 촬영한 사진.
수직스터럽 (垂直 - , vertical stirrup)
주철근에 직각으로 배치한 사인장 철근.
수직응력 (垂直應力, normal stress)
임의의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의 수직방향성분 응력.
수직이음 (垂直 - , vertical joint)
콘크리트를 칠 때에 작업상 또는 거푸집의 형편에 따라 두는 수직의 시공이음.
수직이착륙기 (垂直離着陸機, vertical take-off landing aircraft)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종에서 정지가 가능한 항공기. 회전익을 이용한 헬리콥터 방식 이외에 프로펠러의 축을 수직으로 하거나 제트 분류가 아래 쪽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기체를 상승시키는 방식이 있음.
수직자세 (垂直姿勢, vertical position)
용접축이 거의 연직인 이음에 대하여, 위 또는 아래에서 연직으로 비드를 만드는 용접자세.
수직재 (垂直材, vertical member)
트러스 등의 복재가운데, 현재에 대하여 연직으로 들어있는 부재.
수직전단철근 (垂直剪斷鐵筋, vertical shear reinforcement)
주철근에 직각으로 배치한 전단철근.
수직탐상법 (垂直探傷法, vertical beam flaw detection method)
용접부의 초음파시험법에 있어, 검사면에서 수직으로 초음파를 보내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
수직하향용접 (垂直下向鎔接, vertical down welding)
수직자세로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는 용접.
수직형펌프 ( - , vertical pump)
펌프의 축이 수직인 펌프로서 깊은 곳에 고여 있는 물을 퍼 올릴 때 쓰이고, 축이 수직이므로설치 면적이 적게 소요되고 지하건물의 배수나 깊은 우물의 양수 등에 쓰임.
수질 (水質, water quality)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질, 무기물질등의 불순물에 의해 어떤 목적에 대하여 질적 및 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물의 성질을 말함.
수질검사법 (水質檢査法, method of water quality examination)
수질을 검사함에 있어서 측정을 일관되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반사항에 대하여 규정해 놓은 것으로 하천 및 호소등의 오염상황조사에 이용됨.
수질규제 (水質規制, water quality control)
수질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수질을 유지시키는 것.
수질오염 (水質汚染, water pollution)
생산활동등 인간의 활동에 수반하여 배출되는 오수가 공공용수역에 혼입되어 수질을 악화시키고,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에 피해가 발생되는 것. 환경기준에 있어서 수질 오염을 나타내는 항목은, pH, BOD, SS, DO, 대장균군수 등이있음.
수질오염규제 (水質汚染規制, water pollution control)
수질오염물질이 물에 유입되었더라도 그 수질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
수질오염물질 (水質汚染物質, water pollutants)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 수질환경보전법에 규정되어 있음.
수질오염원 (水質汚染源, water pollution source)
수질을 오염시키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장소나 물질을 말함. 이것은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이 있음.
수질오염지표 (水質汚染指標, water pollution indicator)
수질오염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임. 수질오염지표에는 화학적 지표(pH, BOD, COD, 암모니아성 질소등), 물리학적 지표(수온, 색도, 탁도등), 생물학적 지표(일반 세균, 대장균등), 감각적 지표(냄새, 맛 등) 등이 있음.
수차 (水車, water / hydraulic turbine)
수력에 의하는 회전하는 날개바퀴. 수차의 종류에는 펠톤수차, 프란시스수차, 카플란수차가 있음.
수차피트 (水車 - , drop pit)
개거바닥면을 급하게 낮추기 위하여 바닥이 높은 개거와 바닥이 낮은 개거의 사이에 설치하는 감세용의 물이 괴이는 곳.
수처리 (水處理, water treatment)
수원에서 취수된 물을 처리하여 사용목적에 알맞는 수질을 갖도록 하는 것.
수축계수 (收縮係數, coefficient of contraction)
오리피스 단면적 Ao와 오리피스로부터 유출하는 수축단면의 단면적 Aj와의 비(Cc = Aj/Ao).
그림
수축균열 (收縮龜裂, shrinkage crack, contraction crack)
① 재료에 생기는 수축이 구속되면 재료가 늘어나는 능력이 수축량에 따르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재의 붕괴현상.
②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이 건조에 의한 체적변화, 아스팔트 함량부족, 아스팔트 경화 등 포장용 혼합물의 결함에 기인하여 모서리나 각이 져 있는 부분에 큰 다각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
③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균열. 지나친 손질에 의해 시멘트 페이스트가 떠오르거나 공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경우 등은 시공직후의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에 의해 균열이 생기기 쉬움.
수축끼워맞춤 (收縮 - , shrinkage fit)
끼워맞추려는 대상의 축지름보다 상온에서는 구멍 지름이 작은 부품을 가열팽창시켜 끼워맞추 고, 냉각에 의해 강하게 체결하도록 하는 것.
수축단면 (收縮斷面, vena contracta)
→ 베나 콘트렉터.
수축웨어 (收縮 - , contracted weir)
수로의 한 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로보다 좁은 직사각형 결구를 가진 계측용 웨어.
수축응력 (收縮應力, contraction stress, shrinkage force)
온도변화 등에 의해 재료의 수축과 함께 생기는 응력. 철근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의 수축이 일어날 때 철근이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콘크리트에는 인장, 철근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함.
수축이음 (收縮 - , contraction joint)
수축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조 또는 포장내의 예정된 위치에서 콘크리트를 분리하는 평면.
수축이음그라우팅 (收縮 - , contraction joint grouting)
콘크리트판이 수축될 때 발생되는 불규칙한 균열발생을 막기 위한 수축이음 부분에 그라우트 (grout)를 주입하는 것.
수축줄눈 (收縮 - , contraction joint)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등이 수축할 때 생기는 불규칙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는 줄눈.
수축철근 (收縮鐵筋, shrinkage reinforcement)
콘크리트의 수축응력에 저항하도록 설치한 철근.
수축한계 (收縮限界, shrinkage limit)
젖은 상태의 세립토를 건조시킬 때, 함수비가 어느 정도 이하에서는 함수비가 감소하여도 체적이 감소하지 않는 한계의 함수비.
수충작용 (水衝作用, water hammer)
→ 수격작용.
수치도화 (數値圖化, digital mapping)
측량용 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지형·지물을 해석도화기 또는 좌표입력장치가 부착된 도화기에 의하여 수치자료로 관측하여 이를 전산기에 수록하거나 수록된 자료를 이용하여 정위치편집, 구조화편집 또는 도면제작편집을 실시하는 것.
수치사진측량 (數値寫眞測量, digital photogrammetry)
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산기만에 의해 수치적으로 하는 사진측량. 사진필름을 스캐닝하거나 CCD 사진기로 부터 직접 입력된 영상좌표를 이용함.
수치 적분법 (數値 積分法, numerical integration)
주어진 함수의 정적분값을 수치적으로 근사치를 구하는 방법. 대표적인 수치적분 방법으로는 사다리꼴 공식, 심프슨 공식, 그리고 가우스 적분법등이 있음.
수치제어 (數値制御, numerical control)
계수형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공정, 공작기계, 제도, 검사 등을 자동제어 하는것. 약어 : NC.
수치지도 (數値地圖, digital map)
지도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정보를 수치화하여 전산기용 기록매체에 기록한 수치 형태의 지도.
수치지도제작체계 (數値地圖制作體系, digital mapping system)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체계로서 입력체계, 편집체계, 출력체계로 구성되며 수치지도화체계라고도 함.
수치지적 (數値地籍, numerical cadastre)
필지의 경계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도해법에 의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계점을 수치(X,Y 좌표)로 표현한 것임.
수치지형모형 (數値地形模型, digital terrain model)
적당한 밀도로 분포하는 지점들의 위치 및 표고의 값을 수치화 한 후 그 수치값을 이용하여 지형을 수치적으로 근사하게 표현하는 모형임. 약어 : DTM.
수치표고모형 (數値標高模型, digital elevation model)
수치지형모형중에서 특히 지반높이만을 다루는 모형임. 약어 : DEM.
수치 해석 (數値 解析, numerical analysis)
어떤 주어진 문제의 근사해를 각종의 근사법에 바탕을 두고 수치적으로 구하는 방법.
수평각 (水平角, horizontal angle)
중력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 내에서 관측되는 각
수평갱도 (水平坑道, horizontal drift)
거의 수평으로 굴착된 갱도로, 굴착장소, 목적, 방향 등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함. 산허리, 산기슭에서 기간 갱도로 굴착하는 통동(通洞), 광획(鑛劃)의 상하에 굴착하는 채굴 준비 갱도, 그 중간에 굴착하는 중단(中段)갱도 광체의 주향과 거의 평행으로 굴착하는 연층(沿層)갱도, 편반(片盤)갱도 등이 수평갱도에 속함.
수평게이지 (水平 - , cross level gauge)
수평 틀림량을 측정하는 계기.
수평기중기 (水平 - , level lifting crane)
지브(jib)를 전후로 움직여 경사각을 변화시켜 하중을 수평으로만 이동시키는 기중기.
수평마루댐 (水平 - , dam of horizontal crest)
물넘이 마루가 수평인 댐.
수평맞추기 (水平 - , leveling up)
측량기기를 정확히 수평으로 설치하는 작업으로 정준이라고도 함. 트랜싯에서는 연직축의 연직성, 레벨에서는 시준선의 수평성, 평판에서는 평판의 수평성을 부속 수준기를 사용하여 확보하는 것임.
수평 반력 (水平 反力, horizontal reaction)
수평방향의 변위를 구속함으로서 지점에 발생하는 반력.
수평배수 (水平排水, lateral / horizontal drain)
필땜의 제체 또는 투수성기초로부터 침투수를 안전하게 제외로 배수시킬 목적으로 제체내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사력 등으로 구성된 배수시설.
수평버팀재 (水平 - , horizontal shoring)
수평력을 기둥, 보, 벽 등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강재 또는 목재의 보 또는 트러스로 가설지주에 가해진 하중을 인근지지점, 기둥, 벽 등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됨.
수평부재 (水平部材, transverse member)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강도를 담당하는 부재.
수평 브레이싱 (水平 - , horizontal bracing)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서 수평방향의 하중에 구조물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주형 혹은 주 트러스등과 같은 주 구조물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조 부재.
수평시공이음 (水平施工 - , horizontal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거푸집이나 철근의 길이 또는 작업편의를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이음 으로 수직시공이음에 대응됨.
수평열 (水平裂, horizontal split head)
레일 길이 방향으로 레일 저면과 수평하게 발생한 손상을 말함. 수평열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두부 수평열과 복부 수평열로 나눔. 두부 수평열은 대부분 레일단부에서 발생하며 재질적 결함과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기인되고 복부 수평열은 재질적 결함으로 기인함. 대부분 장기사용 레일에서 피로에 의해 발생함.
수평용접 (橫向鎔接, horizontal position of welding)
수평방향으로 용착금속을 포설하는 용접.
수평이음 (水平 - , horizontal joint)
콘크리트를 칠 때에 작업상 또는 거푸집의 형편에 따라 두는 수평한 시공이음.
수평자세 (水平姿勢, horizontal position)
용접축이 거의 수평인 이음에 대해, 수평으로 비드를 두는 용접자세.
수평재하시험 (水平載荷試驗, horizontal(lateral) loading test)
말뚝이나 지반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시험. 말뚝의 수평재하시험, 보링공내 횡방향재하시험, 평판을 이용한 수평재하시험 등이 있음.
수평전단철근 (水平剪斷鐵筋,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콘크리트부재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철근.
수평종하중 (水平縱荷重, horizontal longitudinal load)
가공전선로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수평 추력 (水平 推力, horizontal thrust)
아치 구조물에서 양 지점에 일어나는 수평반력.
수평축 (水平軸, horizontal axis)
연직축에 직교하고 망원경의 회전축이 되는 축. 망원경은 이 축의 둘레를 360도 회전함.
수평틀림 (水平 - , irregularity in cross level)
좌우 레일의 높이 차이를 말함. 곡선부에서 캔트가 있는 경우는 설정한 캔트량에 대한 증감량을 말함.
수평표면 (水平表面, horizontal surface)
비행장 주변의 장애물 제한 표면의 일종. 활주로 기본 표면의 각 중심선 끝에서 착륙대의 등급에 따라 각각 다른 반경을 가지는 원호들과 그 접선으로 이루어진 표면으로 기본 표면의 각 중심선 끝 높이중 가장 높은 점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가 수직으로 수직 상방으로 45미터인 가상의 수평면.
수평 하중 (水平 荷重, horizontal load)
구조물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수평혼합믹서 (水平混合 - , end charging and front discharging)
가경식믹서의 일종으로 수평자세로 골재를 혼합하는 믹서.
수평횡하중 (水平橫荷重, horizontal transverse load)
가공전선로에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수하물 인도장 (手荷物 引導場, baggage claim)
승객이 탑승 수속시 위탁했던 수하물을 인도받는 장소.
수화열 (水和熱, heat of hydration)
물질이 물과 혼합반응될 때 발생되는 열. 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비비면 응결경화현상이 생기고 이때 발생되는 열을 수화열이라 함.
수화작용 (水和作用, hydration)
시멘트와 물이 혼합반응하며 경화되는 현상으로 이때 발생되는 열을 수화열이라 함.
순간단위(유량)도 (瞬間單位(流量)圖,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어떤 유역에 단위유효우량이 순간적으로 내린다고 가정했을 때 유역출구를 통과하는 유량의 시간적변화를 나타내는 수문곡선.
순간 붕괴 (瞬間 崩壞, instantaneous collapse)
부재의 취성 파괴등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붕괴가 예고없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
순간산소요구량 (瞬間酸素要求量, immediate oxygen demand)
물속에 황화물, 아황산염, 제일철염 등의 환원성 물질이 공존하는 경우에 사용함. 15분후의 산소소비량을 구하며 BOD와는 구별됨.
순간 재하 (瞬間 載荷, instantaneous loading)
외부 하중이 순간적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것.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동적 반응을 유발시킴.
순결 (瞬結, flash set)
경화되지 않은 시멘트풀 등이 물 등과 혼합되어 급속히 경화하며 굳는 현상으로 경화시 많은 열을 발생하며 물을 가하지 않고 더 비벼도 유동성을 회복할 수 없음.
순경간 (純經間, clear span)
교대와 교대(또는 교각)의 전면간(前面間) 거리.
순극한지지력 (純極限支持力, net ultimate bearing capacity)
기초지반의 극한지지력에서 지중부 기초치환 흙의 중량을 공제한 지지력.
순단면적 (純斷面積, net sectional area)
부재의 총단면적으로부터 볼트구멍등의 결손부분을 뺀 단면적.
순산소활성슬러지 (純酸素活性 - , pure oxygen activated sludge)
활성슬러지 공정의 변법의 하나로써 공기를 주입하는 대신 순산소를 사용함.산소를 뚜껑이 있는 폭기조에 산기시키고 재순환시킴. 전달되는 산소의 양은 재래식 폭기장치에 의한 것보다 4배 이상 많음.
순수 비틂 (純粹 - , pure torsion)
부재의 어느 단면에서도 비틂 모멘트가 일정한 비틂.
순수 전단 (純粹 剪斷, pure shear)
재료의 질점에서 모든 수직응력은 영이고 전단응력만이 존재하는 응력 상태.
순수 휨 ( - , pure bending)
들보의 모든 단면에서 전단력은 0 이고 일정한 휨 모멘트만 작용하는 상태.
순용수량 (純用水量, net duty of water)
작물 생육기간중에 경지면에서 소모되는 수량, 즉 지면과 엽면 증발량과 삼투량을 합한 수량.
순위기법 (順位技法, ranking technique)
의사결정자가 N 개의 대안 가운데 각각 두개의 대안 조합간의 우수성을 비교하여 전체 대안 가운데 가장 우수한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
순차 적분 (順次 積分, step-by-step integration)
적분 구간을 몇 개의 유한한 구간으로 분할후 순차적으로 각 구간을 적분하는 방법.
순행속도 (巡行速度, cruising speed)
대중교통수단의 운행거리를 정거장의 정차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서, 정차 시간을 제외한 대중교통수단의 속도. 주행속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순환 (循環, circulation)
출발점을 떠난 흐름이 곡선경로를 따라 본래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흐름으로 정의되며, 폐곡선 C에 대한 순환은 C의 한 점에서 유속의 C점에 접선성분과 폐곡선의 요소 길이의 곱의 총합을 말함.
순환관개 (循環灌漑, rotation irrigation)
관개 구획을 구분해서 각 구획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면서 관개하는 간단관개의 일종.
순환식그라우팅 (循環式 - , closed circuit grouting)
균열이나 공극을 채우기 위해 그것을 관통하는 구멍에 공극전체를 채우는데 소요되는 양 이상의 그라우트제를 압력식으로 주입하는 방법으로 여분의 그라우트제는 펌프로 되돌아 와서 다시 순환하게 됨.
숫콘 ( - , male cone)
프레시네 공법에서 정착장치 중의 쐐기콘을 말함.
쉐러 다이징 ( - , sheradizing)
분말 아연 또는 이것을 포함한 혼합 분말중에 철강을 가열해서 그 표면에 아연을 확산시켜 내식성 피막을 만드는 조작.
쉐브론 패턴 ( - , chevron pattern)
급속 파괴를 일으킨 탄소강의 파면에 나타나는 삼나무 잎과 같은 모양.
쉐이퍼 ( - , shaper)
형삭반을 말함.
쉐지공식 ( - 公式, Chezy’s formula)
균일 개수로의 평균유속 V를 구하는 경험적인 공식.로 표시되며, C는 Chezy 계수, R은 동수반경, S는 에너지경사.
쉘 ( - , shell)
곡면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 구조물. 보통 외부 하중을 면내력과 휨 모멘트에 의하여 지점으로 전달함.
쉬링크믹스트콘크리트 ( - , shrink mixed concrete)
플랜트의 고정믹서중에서 어느 정도 콘크리트를 비빈 후 트럭믹서 또는 트럭애지테이터에 투입하여 아직 혼합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공사현장에 도달할 때까지의 운반시간 동안 혼합하여 도착시에는 완전히 혼합된 콘크리트로서 배달 공급하는 방식의 콘크리트.
쉬스 ( - , sheath)
덕트를 형성하기 위한 통. 즉 포스트텐션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에 프리스트레싱 강재와 콘크리트를 절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금속제의 통.
쉬스 공식 ( - 公式, Sheets formula)
콘크리트 포장의 슬래브 두께를 설계하기 위한 우각공식의 하나.
쉴드공법 ( - 工法, shield tunneling method)
쉴드라고 부르는 강재로된 통을 지중에 굴진시켜 토사의 붕괴나 유동을 방지하면서 터널 굴착작업을 진행하는 공법. 쉴드 후방에는 한구간씩 복공을 타설하고 이 복공을 반력지점으로하여 쉴드를 전진시킴. 연약지반에서 적용되는 대표적인 터널공법임.
쉴드아크 용접봉 ( - 鎔接棒, shield arc electrode)
직경 3.2~8.0 mm 정도의 금속심선의 주변에 알루미나이트계, 고셀루로즈계 등의 피복제를 입힌아크용접봉으로 아르곤, 헬륨, 탄산가스 등의 보호매질로 대기와 차폐시키며 행하는 아크 용접의 용접봉.
쉴드터널 ( - , shield tunnel)
쉴드를 압입하여 막장토사를 토출하면서 선단부로 굴착하고 쉴드의 후방에서 세그먼트를 조립하여 이것을 1차 지보공으로 하는 터널을 말함.
쉴즈도표 ( - 圖標, Shields diagram)
한계소류력을 얻을수있는 도표로서, 무차원전단응력과 경계레이놀즈수의 관계로 나타냈음.
슈 ( - , shoe)
① 교량받침부분에서 보 밑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지점전체를 의미하기도 함.
② 콘크리트말뚝끝에 장착된 원추형쇠붙이로 말뚝의 관입을 용이하게 하고 말뚝끝을 보호하기 위하여 말뚝끝에 신키는 신의 역활을 함.
슈미트네트 ( - , Schmidt net)
절리면, 단층면 등과 같은 구조면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구면상(球面上)의 등면적(等面積)을 투영면에서도 등면적으로 나타내는 입체투영방법.
슈미트해머 ( - , Schmidt hammer)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을 하는 기계로 기축조된 구조물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시료채취나 파손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음. 기계내부에 장치된 강도측정용 추를 스프링의 힘으로 물체에 타격력을 주어 강도를 측정함.
슈미트햄머시험 ( - 試驗, Schumidt hammer test)
콘크리트나 암석의 강도를 조사하는 간이 비파괴시험. 슈미트햄머는 측정대상물의 표면에 일정 강도의 충격을 가하여 충격장치의 반발거리를 측정하여 강도를 측정하는 기구임.
슈트 ( - , chute)
물체나 각종 재료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 보내기 위하여 설치하는 반원형의 철판 또는 관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경사슈트라 하고 연직으로 내려 뜨린 고무관을 고무슈트라 함.
슈트블록 ( - , chute block)
감세지와 연결되는 여수로의 경사면 끝단에 설치된 작은 구조물로 이들은 빠른 유속의 흐름을 단면전체에 고르게 퍼지게 하고 수평흐름을 이루게 하여 도수가 잘 일어나도록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짐.
스냅-스루 좌굴 ( - 挫屈, snap-through buckling)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구조물이 어느 순간에 미소한 외부하중의 변화에 의하여 갑자기 지금까지의 평형상태와는 다른 평형상태로 이동하여, 외부하중을 제거하여도 원래의 평형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현상. 아치 구조에서 연직하중이 임계치를 지나면 아치의 곡률이 하중방향으로 갑자기 변화하면서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하게되는 현상이 이에 속함.
스랙 (擴度, slack)
철도차량의 구조상 고정축거를 갖게 되므로 곡선부에서는 자유롭게 방향 전환이 곤란하게 됨. 이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궤간을 넓히게 되는데 이것을 스랙이라 함. 일반적으로 곡선의 내측 레일을 궤간 외측으로 확대함.
스모그 ( - , smog)
매연(스모크)과 안개(fog)가 혼합해서 가스상태가 된 것임. 도시와 공장 지대에서 발생되며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음.
스무서 ( - , smoothing iron, smoother)
아스팔트포장의 시공중이나 수리중에 좁은 면적의 기복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흙손모양의 소도구. 보통 15×20 cm 정도의 철판에 자루가 붙어 있으며 사용시 미리 버너 등으로 충분히 가열하여 사용함.
스므스 블라스팅 ( - , smooth blasting)
터널 굴착시에 여굴을 방지하고 평탄한 굴착면이 생기도록 굴착면을 따라 trimehole을 굴착하고 발파하는 특수 발파기술임. 굴착선에 따라 발파공반경의 10~20배 간격으로 천공하고 발파공용적의 1/10 정도로 약하게 장진하여 커트부와 브레스트부 다음 최종적으로 폭파함.
스미어 ( - , smear)
연직배수재 등의 타설에 의하여 주변의 점성지반이 교란되는 것.
스워시 ( - , swash)
파의 처오름과 처내림을 함께 일컫는 말.
스워시 구간 ( - 區間, swash zone)
스워시가 일어나는 구간.
스웨덴식 사운딩 ( - 式 - , Swedish sounding)
정적인 사운딩의 일종. 선단에 스크류포인트를 부착한 봉에 하중을 가하거나, 또는 재하된 상태에서 봉을 회전하여 지반에 관입시켜 지반의 굳기를 판정하는 조사법.
스위치타이탬퍼 ( - , switch tie tamper)
분기부의 특수한 구조에 대하여 도상다지기 작업을 시행하는 장비로서 대형 보선장비의 일종임. 보통 궤도정정 작업이 가능하며 다짐봉을 경사시킬 수 있음.
스위트닝 ( - , sweetening)
가솔린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가장 유해하고 악취와 부식성이 있는 메르캅탄류를 산화해서 무취이며 중성인 이황화알킬로 바꾸는 정제 조작을 말함.
스위트원유 ( - 原油, sweet crude oil)
스위트닝에 의해 정제된 경질유를 말함.
스윙와이어 ( - , swing wire)
준설선이 준설작업시 준설기를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바꾸어 띠상으로 준설하면서 전진하게 되는데, 이 작업중 좌우의 위치이동에 쓰이는 와이어.
스카우어 ( - , scour)
골재가 노출된 콘크리트 표면의 부식.
스캐닝 (走査, scanning)
지도, 도면 등의 정보를 수치화하는 방법의 한가지로, 스캐너를 이용한 격자형 자료입력 방식
스캘럽 ( - , scallop)
용접선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한 쪽의 부재에 설치한 홈.
스캘퍼 ( - , scalper)
입자조정을 위한 스크린의 일종으로, 필요양 이상으로 포함된 입자를 걸러냄.
스캘핑 ( - , scalping)
입자조정을 위한 스크린을 이용하여 규정이상의 입자를 제거하는 것.
스케일 ( - , scale)
① 길이를 재는 기구, 척도
② 도면의 척도
③ 눈금
④ 보일러, 열 교환기, 발열기내의 전열면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염류의 석출에 의해 부착된 고형물을 말함. 열 전도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킴.
스케일링 ( - , scaling)
칠막의 부착력이 부족하거나 자연히 칠막이 파괴되어 벗겨지는 현상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음.
스케일손상 ( - 損傷, scale defect / pit)
일반적으로 가열 산화 등에 의해 제품표면에 생기기 쉬운 스케일 및 그것이 탈락한 후에 커지는 흠.
스켈톤 ( - , skelton)
정차장내에 있어서 배선도 및 평면도를 제작하는 경우 분기기기의 실제의 형상에 따라 도시하기가 극히 어려워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현도법으로 표시함. 이중 가장 간략화된 방법으로 선형을 분기기류의 위치, 길이, 방향을 표시하는 그림을 스켈톤이라함. 스켈톤의 현시 방법은 궤도 중심선을 표시하는 방법임.
스코리아 ( - , scoria)
자갈크기의 다공질 염기성 화산분출물.
스퀴저 ( - , squeezer)
아스팔트포장에서 백코트나 시일코트를 시공할 때 역청재료를 노면에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밸브에서 낙하하는 역청재료를 고무판으로 밀어서 넓힘.
스크러버 ( - , scrubber)
공기와 가스속의 분진을 물의 분사와 수막에 의해 씻어내는 장치임. 벤투리 스크러버, 제트 스크러버, 사이클론 스크러버 등이있음. 1~5μ 정도의 입자를 포집할 수 있으며, 공업적으로는 다른 집진 장치와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스크레이퍼 ( - , scraper)
토공장비의 일종으로, 굴착, 적사, 운반, 살포에 이르는 일련의 토공을 1개의 장비로 수행할 수 있는 건설기계.
스크레이퍼도저 ( - , scraper dozer)
트랙터의 복대사이에 스크레이퍼의 토사적재 부분을 첨가한 형식의 굴착운반기계.
스크레치 템프레이트 ( - , scratch templet)
콘크리트포장의 보조기층이 규정된 높이와 형상으로 시공되었는가를 점검하기 위한 도구.
스크루컨베이어 ( - , screw conveyor)
나선형 막대회전을 이용하여 재료를 운반시키는 장치로 점작력이 적은 석탄, 모래, 시멘트 등의 운반에 적합하고, 나선막대의 지름에 따라서 운반량이 차이나게 됨.
스크루형스프레더 ( - , helical screw spreader)
스크루컨베이어를 회전시켜 내려진 입상의 재료들을 도로의 횡단방향에 깔아 넓히는 형식의 스프레더.
스크류 스파이크 ( - , screw spike)
→ 나사못.
스크리닝스 ( - , screenings)
수처리의 초기에 행해지는 물리적 처리이며 원수 중에 부유하고 있는 비교적 굵은 물체를 철망이나 스크린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 스크린에 걸린 큰부유물을 뜻하기도 함.
스크리드 ( - , screed)
포장공사 등에서 아스팔트콘크리트, 콘크리트의 포설시 일정한 높이로 펴 고르는 기능을 하는 기계.
스크리드바이브레이터 ( - , screed vibrator)
포장공사 등에서 포장표면을 다지는 데 쓰이는 피니셔에 장치된 진동기.
스크리딩 ( - , screeding)
스크리드를 이용하며 표면을 성형하는 작업.
스크린 ( - , screen)
① 하수처리장 등에서 비교적 큰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제망 또는 격자.
② 터널 또는 갱내측량에서 시표를 시준할 때 조명을 하기 위해 측점뒤에 설치하는 막.
③ 영사장치에서 발생되는 화면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설치하는 막.
스크린분리 ( - 分離, screening)
하수의 수처리시 최초로 행해지는 처리법으로, 물 속에 떠 있는 비교적 대형인 고형물을 철망과 철제 격자 등의 스크린을 사용해서 제거하는 것임.
스크링스 ( - , screeings)
쇄석기에서 부순자갈을 생산할 경우 발생되는 입경 2.5 mm이하의 잔골재 부분으로 부순돌 더스트라고도 함.
스키드 넘버 ( - , skid number)
ASTM에서 규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노면의 종방향 미끄럼마찰계수. 진행방향에 평행하고, 노면에 직각인 실물크기의 자동차 바퀴에 어떤 하중을 가하고 어떤 속도로 젖어 있는 노면을 견인할 때 록크된 차륜에 걸리는 안정상태의 마찰력을 측정하여 구함.
스키머 ( - , skimmer)
수조의 수면에 부상하는 스컴을 긁어내는 장치임.
스킨프레이트 ( - , skin plate)
수밀을 위해, 게이트의 상류면에 붙이는 강판.
스태거드 인터미텐트 용접 ( - 鎔接, staggered intermittent fillet weld)
→ 병렬단속필렛용접.
스태커 ( - , stacker)
벨트컨베이어의 말단에 조합된 재료를 감아 내어 적재하는 기계.
스터드 다우웰 ( - , stud dowel)
철골보(강항)와 콘크리트 슬래브와 합성보의 전단연결재로서 머리가 붙은 스터드등의 여러종류 의 형상의 것이 있음. 전단연결재의 일종.
스터드볼트 ( - , stud / top end bolt)
봉의 양단에 나사가 있고, 일단을 기계의 본체 등에단단히 비틀어 넣는 볼트.
스터드용접 ( - 鎔接, stud welding)
볼트․환봉등의 선단과 모재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융풀에 눌러부치는 용접. 아크스터드 용접도 있음.
스터럽 ( - , stirrup)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사인장 철근.
스테레오 투영 ( - 投影, stereographic projection)
면구조(面構造)나 선구조(線構造)같은 삼차원적 지질구조요소를 평면상에 나타내는 투영법.
스테빌라이저 ( - , stabilizer)
흙을 파엎어서 입도가 다른 흙을 혼합하여 입도를 개선하고 첨가제를 섞어서 일정한 두께로 펴 골라서 다지는 작업을 통칭하거나 그 일부의 작업을 하는 기계의 총칭.
스테빌로메터 ( - , stabilometer)
F.N.Hveem에 의해서 개발된 안정도시험기의 일종. 지름 102 mm, 높이 64 mm의 환등형공시체의 평행한 면에 수직하중을 가하고 그 때 옆면에 생기는 수평방향의 압력과 변위량을 측정함. 이들의 값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는 스테빌로메터치, 노상상의 경우는 R치를 각각 계산함. 주로 캘리포니아주에서 사용되고 있음.
스테이 ( - , guy, stay)
가이데릭(guy-derrick)․콘크리트 타설용 타워 건설중의 철골 등, 탑모양의 물건이 넘어지지 않 도록 잡아당기는 줄을 말함. → 지선.
스테이볼트 ( - , stay bolt)
두장의 판의 간격을 정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볼트.
스테이지 ( - , ride-in stage)
공사용 가설물의 한가지. 트럭 중기 등을 싣고서 재료의 운반 출하 등을 수행함.
스테이징 ( - , staging)
고소작업시에 발판, 재료운반, 가설, 조립시 낙하방지 등을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넓은 지지대, 구대 등이 있음. → 동바리.
스텐레스강 ( - 鋼, stainless steel)
크롬스테레스강과 니켈크롬스텐레스강이 있음. 전자는 Cr=11~28 %, 후자는 Ni=4~15 %, Cr=15~26 %을 함유하고 18-8스텐레스 강은 대표적인 강종임.
스텝볼트 ( - , step bolt)
철탑 철주의 승강용의 긴볼트로, 주로 주기둥에 설치된 비계못을 말함.
스토니게이트 ( - , stoney gate)
수문과 분리하여 사다리형 롤러를 설비한 수문.
스토커 ( - , stoker)
보일러나 소각로의 화격자위로 고체연료 등을 자동적으로 주입하는 장치.
스토크 ( - , stoke)
동점성계수의 단위로서, [cm2/sec]로 나타냄.
스톡스 법칙 ( - 法則, Stokes’ law)
정지상태의 액체중의 구면체의 침강속도 (v)를 지배하는 법칙.
스톨 포트 ( - , STOL port)
단거리 이착륙 항공기의 운항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 일반 공항보다는 다소 간단하나 거의 유사한 시설을 갖춤.
스톱퍼 1) ( - , stopper)
공기착암기의 일종으로 아래에서 상향으로의 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착암기이며, 드리프터보다 가볍고 소형이며 보조스탠드없이 상향천공이 가능함.
스톱퍼 2) ( - , gate guide / sheet)
게이트의 개폐시에 문짝에 접촉하여 폐쇄시에 수밀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어의 측면․게이트의 홈․댐의 월류 정면 등에 사용되는 금속제품.
스트랜드 ( - , strand)
와이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 심망 주위에 와이어를 꼬아 만들거나 혹은 평행하게 묶어서 적당한 굵기로 만든 것임.
스트러트 ( - , strut)
일반적으로 지재나 지주의 총칭으로, 연직방향이외에도 사용됨.
① 지붕틀에서 평보와 인자보에 빗 버티어 대는 압축재.
② 물건을 버티기 위해 어긋지게 괸 나무.
③ 가설공사에서 거푸집, 버팀대를 받치는 수직지지재.
스트레이너 ( - , strainer)
① 펌프흡입관의 말단 또는 관정호의 측벽에 설치하여 모래, 먼지의 유입을 막고 물만을 유입시키는 것.
② 급속여과지의 바닥에 설치하여 여과수, 세정수 및 공기를 유입시키는 장치.
스트레이트도저 ( - , straight dozer)
배토판을 차체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한 불도우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 , straight asphalt)
석유 원유중 아스팔트분이 열에 의해 될 수 있으면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증기증유, 감압 증유 또는 그 조합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아스팔트, 연화점이 비교적 낮고 신장성, 점착성, 방수성이 풍부한 특징이 있음.
스트로크 (“動程”, stroke, maximum expansion)
철도선로에서 신축이음매의 텅레일, 기본레일의 설계 가동량은 상판에 대하여 각각 ±a mm, ±b mm인 경우 2x (a+b)를 신축이음매의 설계 스트로크라 함. 일반으로 a와 b는 같게 되므로 설계 스트로크가 250 mm인 경우 평레일, 기본레일 모두 각각의 가동량은 ±62.5 mm가 됨.
스트리핑 ( - , stripping)
액체 속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를 분리, 제거하는 조작임. 방법에는 가열, 가압 및 수증기, 불활성가스, 공기 등의 흡입에 의한 직접 접촉이 있음. 폐수 속의 휘발 성분은 폭기에 의해 방산됨.
스트립 (從接合模型”, strip)
스트립은 사진이나 입체모형(model)을 종방향(촬영경로방향)으로 접합한 모형.
스트립조정 (“從接合模型調整”, strip adjustment)
스트립으로 구성된 좌표계를 절대좌표로 환산하는 조정방법. 종접합모형조정이라고도 함.
스트링거 ( - , stringer)
→ 세로보.
스티프니스(아스팔트) ("剛度", stiffness)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대한 영율 또는 탄성계수와 동의어이나 아스팔트에서는 온도와 재하시간에 따라 영향을 미치며 온도가 낮고 재하시간이 짧을수록 크게 됨. → 강도.
스티프 레그 데릭 ( - , stiff leg derrick)
마스트상부가 강성이 있는 스테이에 의해 지지되는 데릭. 삼각 데릭이라고도 함.
스티프레그크레인 ( - , stiff leg derrick crane)
크레인지지용 마스터(mast)를 기어나 로프대신에 2개의 별도 레그로 지지하며, 좁은 장소나 옥상작업 등에 많이 이용되며, 교량가설이나 항만하역설비 등으로도 사용되는 크레인의 일종.
스팅거 ( - , stinger)
파이프 부설 바지 등으로 선미로 부터 돌출한 파이프 등을 지지하는 세장한 구조물.
스파이럴(심용접)강관 ( - 鋼管, spiral (seam welding) steel pipe)
압연강대를 나선상으로 감아, 연속적으로 심용접해서 제조된 강관.
스파이럴 로프 ( - , spiral rope)
구조용와이어로프의 일종으로, 소선을 일층내지 수층으로 꼬아 합친로프. 일중 꼬임로프, 한쪽 꼬임로프도 있음.
스파이크 (“犬釘”, spike, dog spike)
→ 개못.
스파이크 롤러 ( - , spiked roller)
표면에 바늘 모양의 기기를 가진 롤러. 구우스 아스팔트 시공시 살포한 프레코우트 칩을 끼워 넣거나 또는 전면에 걸쳐 5~8 mm의 작은 구멍을 만드는데 사용됨. 스파이크의 높이는 15 mm, 굵기는 선단이 8 mm, 밑둥이 16 mm 정도이고 간격은 25×15 mm 정도임.
스파이크 해머 ( - , spike hammer)
개못(스파이크)을 박을때 사용하는 대형의 핸드 해머로서 중량 약 4 kg 정도의 긴 형상으로 되어 있음.
스패터 ( - , spatter)
아크용접이나 가스용접에 있어 용접중에 날리는 슬래그 및 금속가루.
스팬 ( - , span)
→ 경간.
스퍼드 로프 ( - , spud rope)
준설선의 강철선(鋼鐵線).
스퍼드 롯 ( - , spud rod)
준설선의 강철주(鋼鐵株)로서 비항식 준설선의 작업위치를 고정하고 동요를 막기 위하여 해저에 내린 지주(支柱).
스페로이드 ( - , spheroid)
지구를 일정한 밀도의 회전액체라고 가정하는 경우의 표면형상으로 구에 가까운 회전곡면임.
스페이딩 ( - , spading)
거푸집판에 접한 표면에 모르터가 고루 퍼져서 매끈한 표면으로 되게 하고 표면에 기포발생을막기 위해 거푸집의 내면을 따라 삽 등을 끼워 흔들어 빼고 거푸집판과 콘크리트사이에 모르터가 잘 채워진 후 빼내는 작업.
스페이서 ( - , spacer)
거푸집내의 철근배근간격을 유지시키고 철근에 소정의 덮개를 가지게 할 경우 철근과의 일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이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부품.
스펙트럼 ( - , spectrum)
어떤 물리량을 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
스펙트럼 해석 ( - 解析, spectral analysi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석하는 기법.
스폿용접 ( - 鎔接, spot welding)
겹친 모재를 선단을 적당히 성형한 전극으로 끼워 비교적 작은 부분에 전류 및 가압력을 집중시켜 국부적으로 가열해서 동시에 전극으로 가압하는 용접. 점용접이라고도 함. → 저항용접.
스프레이 바 ( - , spray bar)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아스팔트 설계단에서 보낸 아스팔트를 믹서 안으로 방출하기 위해 노즐을 장치한 부분임.
스프레이어 (分射機, sprayer)
역청재료를 그대로 혹은 가열용융하여 노면이나 보조기층면, 기층면에 가압하여 살포하는 기계. 프라임코우트, 택코우트, 시일코우트 등에 사용됨. 아스팔트 스프레이어라고 함. 엔진 스프레이어, 핸드 스프레이어 등이 있음.
스프레이지 ( - 池, spray pond)
물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못으로서 일반적으로 수온의 냉각용으로 사용됨.
스프레잉 ( - , spraying)
압축공기 등으로 도료 등을 분무상으로 하여 뿜어 칠하는 것.
스플리트스푼-샘플러 ( - , split spoon sampler)
표준관입시험에 사용되는 원통형 시료채취기로 일명 레이몬드 샘플러(Raymond sampler)라고도 함. 원통이 종방향으로 2개로 쪼개지도록 되어 있어, 채취된 시료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
스프링 계수 ( - , spring modulus)
한 끝이 고정된 스프링에 단위 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
스프링깅 ( - , springing)
기공(점), 아치의 최하단, 즉 아치가 시작되는 점.
스프링 와셔 ( - , spring washer)
스프링 작용을 하는 와셔. 나사부에 진동하중이 작용하여도 축방향 작용력이 잔류하여, 볼트 너트 사이의 접촉응력이 없어지지 않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 너트 밑면에 파고들어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경우도 있음.
스프링클러 ( - , sprinkler)
→ 살수기.
스프링 포인트 (“ - 轉轍器”, spring point / switch)
철도선로 중 분기기의 일종으로 강력한 스프링의 작용으로 평상시는 교통이 빈번한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으며 개통되지 않은 방향에서 차량이 배향으로 나오는 경우 첨단 레일을 벌리면서 나오게 됨.
슬라이스드베니어 ( - , sliced veneer)
목재를 절삭공구로 얇게 깍은 판으로 내장치장용으로 바닥판에 접착하여 쓰는 무늬목임.
슬라임 ( - , slime)
보링, 현장타설말뚝, 지중연속벽 등에 있어 지반을 굴착할 때 발생하는 부스러기.
슬래그 ( - , slag)
① 건식제련에서 용광로중의 용융된 금속위에 뜨는 부용물질을 말하며 광재라고도 함. 도로 의 노반재나 콘크리트용 재료로 쓰이기도 함.
② 용접작업시 용접부위에 생기는 찌꺼기.
슬래그도상 ( - 道床, slag ballast)
슬래그를 냉각시켜 파쇄한 후 입도를 조정하여 포장재료로 시공된 도상으로 깬자갈과 같이 강경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 다공질로서 부석돌로 되어 있어 도로본선에 사용하기는 어려움.
슬래그면 ( - 綿, slag wool)
용광로에서 철을 뽑아 내고 그 찌꺼기로 배출되는 슬래그를 솜과 같은 섬유상으로 만들어 단열판, 흡음판의 원료로 사용하는 광물.
슬래그벽돌 ( - , slag brick)
슬래그에 10~15 %의 소석회를 혼합하여 프레스성형한 후 증기양생하여 경화시킨 벽돌로 흑회색의 경량벽돌이며, 붉은 벽돌보다 강도가 높음.
슬래그시멘트 ( - , portland slag cement)
급냉각한 고로 슬래그는 그 자체가 수경성은 없으나 이것에 석회석과 석고분을 가하면 경화 작용이 생김. 슬래그시멘트는 급냉각한 슬래그를 건조시킨 것과 포틀랜드시멘트 크링커와 소량의 석고를 따로따로 분쇄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동시에 혼합 분쇄하여 미세한 시멘트을 고로시멘트라고 함.
슬래그용접 ( - 鎔接, slag welding)
일렉트로 슬래그용접, 소모노들식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등의 약칭.
슬래그해머 ( - , slag hammer)
용접의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단이 가는 해머. 용접에서는 칩핑해머라고도함.
슬래그혼입 ( - 混入, slag inclusion)
용접결함의 일종. 용착금속중 또는 모재와의 융합부에 슬래그가 잔류한 것.
슬래브 ( - , slab)
구조물의 바닥이나 천장을 구성하고 있는 판 형상의 구조 부재.
슬래브교 ( - 橋, slab bridge)
슬래브를 주 구조물로 사용하는 교량.
슬래브 궤도 ( - 軌道, slab track)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를 강고한 노반에 거치하고 슬래브 노반과의 사이에 간극 조절재를 주입한 궤도구조를 말함. 이 궤도는 침목이 필요없이 슬래브 위에 레일을 직접 체결함.
슬래브 이음 ( - , slab joint)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두는 신축이음으로 이음부 홈에 아스팔트 메스틱이나 성형된 고무를 끼우거나 플레이트를 깜.
슬랙 ( - , slack)
① 궤도의 곡선부에서 고정축거를 갖는 차륜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어지는 궤도간의 확 폭량.
② PERT/CPM에서 계획공기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특정공종의 시작, 완료기간내에 발생되는 여유기간.
슬랙라인 엑스커베이터 ( - , slackline excavator)
토사를 가득 채운 버켓을 궤삭에 싣고 탑으로 끌어 당겨 토사를 방출하며 빈 버켓을 궤삭(軌索)을 따라 고속으로 굴착위치로 돌려 보내는 형식의 굴착기.
슬랙 패스 ( - , slack path)
PERT/CPM의 공정스케줄에서 슬랙이 발생되는 공종들만을 연결한 공정선.
슬러리 ( - , slurry)
① 시멘트의 제조과정에서 원료인 석회석, 점토, 규석 등을 분쇄한 후 물을 가한 것.
② 액성한계이상의 물을 함유한 아주 무른 흙과 물의 혼합물.
슬러리 실 ( - , slurry seal)
세골재 및 휠러에 18~25 %의 혼합용 아스팔트유제와 10~15 %의 물을 가하여 혼합한 슬러리를 노후화된 아스팔트의 포장면에 살포하거나 균열부분 등에 충친하는 공법.
슬러리 월 ( - , slurry wall)
안정액을 사용하여 굴착벽면의 붕괴를 막으면서 벽모양의 구공을 굴착한 후 여기에 모르터나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시공된 연속 지하벽체이며, 슬러리월의 시공후 내부의 토사를 굴착하면 인접지반의 붕괴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음.
슬러리 트렌치 ( - , slurry trench)
슬러리 월의 시공을 위하여 원지반의 지하에 굴착되는 일정간격과 깊이를 갖는 벽식 모양의 굴착공간.
슬러리펌프 ( - , slurry pump)
슬러리월의 시공시 굴착후 붕괴방지를 위하여 주입되는 벤토나이트용액이나 지하수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
슬러리 폭약 ( - 爆藥, slurry blasting explosive)
초안, TNT, 물의 혼합물로 약 15 %의 수분을 함유하는 화약이며 물에 강하여 용수가 있거나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음. 폭속이 빠르고 정전기나 화기에 덜 민감하며 저온에서 폭발력이 약함.
슬러싱 ( - , sloshing)
탱크내 액체의 동요에 의해서 생기는 충격.
슬러지 ( - , sludge)
물속의 오탁 물질이 침전해서 생긴 진흙 상태의 물질을 말함. 하천과 호수와 늪 등의 오탁물질은 자연적으로 침전하여 바닥에 가라앉아 슬러지가 되지만, 수처리에서는 생물학적 처리와 응집 침전 등을 행하고 슬러지의 침전을 빠르게 해 물의 정화를 도움.
슬러지 건조상 ( - 乾燥床, sludge drying bed)
슬러지를 모래판 위에 놓아, 수분의 일부를 모래로 여과해 제거하고, 나머지는 태양열과 바람으로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임. 광대한 면적이 필요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소화슬러지의 건조상은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 해결되므로 이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음.
슬러지 나이 ( - , sludge age)
폭기조에 유입하는 부유물질이 폭기를 받는 평균시간[일]을 나타내고, 부유물질이 폭기조에 체류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됨.
슬러지 농축 ( - 濃縮, sludge thickening)
슬러지를 슬러지 농축조 속에서 천천히 교반한 후, 중력을 이용해 장시간 침전시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게 하는 것을 말함. 유기성 슬러지 입자는 점성이 높고 보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슬러지는 침전하기 어렵고, 농축은 무기성 슬러지에 비해 어려움.
슬러지 밀도지수 ( - 密度指數, sludge density index)
활성 슬러지의 침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최종 침전지의 슬러지 분리의 양부 판정 등, 슬러지 농도의 적절한 유지, 관리에 중요한 지표임. SDI는 폭기조 내의 혼합액을 30분간 정치한 때의 침전 슬러지 용량 100 mL중에 포함된 활성 슬러지 부유물의 용량을 g으로 나타낸 것임. 약어 : SDI.
슬러지부피지수 ( - 指數, sludge volume index)
폭기조 내의 혼합액을 30분간 정치한 경우, 1g의 활성 슬러지 부유물이 차지하는 용량을 mL로 나타낸 값으로, 이 값이 작으면 슬러지의 분리는 양호하고, 표준 활성슬러지법에서는 10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 약어 : SVI.
슬러지 케이크 ( - , sludge cake)
슬러지를 함유한 액을 여과, 탈수하여 덩어리로 만든 것. 함유된 수분은 여과기의 종류에 따라 다름.
슬러지 탈수 ( - 脫水, sludge dewatering)
슬러지를 탈수기에 넣고 탈수해서 함수율 70~80 %의 케이크 상태로 하는 것임. 탈수한 슬러지는 필요에 따라 슬러지 건조와 소각이 행해짐. 탈수기에는 압력 탈수기, 원심 탈수기, 진공 탈수기 등이 사용됨.
슬럼프 ( - , slump)
콘크리트를 소정의 방법으로, 슬럼프 콘에 다져 넣은 후 슬럼프 콘을 위로 뽑아 올렸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
슬럼프 값 ( - , slump value)
슬럼프 시험을 했을 때 콘크리트가 내려 앉은 치수를 센티메터(cm)로 나타낸 값.
슬럼프 손실 ( - 損失, slump loss)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반죽질기가 감소하는 현상으로서, 콘크리트 혼합물에서 수화작용, 증발 등에 의해 자유수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함.
슬럼프 시험 ( - 試驗, slump test)
혼합된 콘크리트를 슬럼프콘에 넣은 후 다짐봉으로 다진 다음 콘을 들어 올렸을 때 콘크리트가 내려 앉는 높이를 cm단위로 표시하는 실험.
슬럼프 콘 ( - , slump cone)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을 할 때 사용하는 높이 30 cm, 하단내경 20 cm, 상단내경 10 cm의 원추형의 철제통.
슬레이킹 ( - , slaking)
건조한 점토덩어리나 이암(泥岩)을 수침시키면 물이 침투됨에 따라 덩어리가 붕괴되는 현상.
슬레이트 ( - , slate)
석질의 얇은 판으로 지붕, 내외장 재료로 쓰이며 흔히들 얇은 판의 지붕재료를 의미하기도 함. 천연슬레이트는 점판암 또는 혈암의 얇은 판이며 인조슬레이트는 석면시멘트판으로 되어 있음.
슬롯이음 ( - , slot joint)
아치댐의 가로이음의 일종으로, 각 블럭간에 간격 2m 정도의 공극을 남기고 사면에서 방열시켜서 급속냉각하여 콘크리트가 최저온도에 달한 후 그 공극에 콘크리트를 채움으로서 이음함.
슬롯트 ( - , slot)
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해서, 판 거더 등에설치한 구멍.
슬롯트용접 ( - 鎔接, slot welding)
겹친 모재의 한쪽 방향으로 벌어진 가늘고 긴 홈에 하는 용접. → 플러그용접.
슬리브너트 ( - , sleeve nut)
인장철근이음에 사용되는 너트의 일종으로 접속되는 쌍방향의 2축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철골인장재의 둥근 봉강을 이을 때 사용됨.
슬리큰사이드 ( - , slickenside)
단층운동에 의하여 불연속면을 따라 발생된 매끄러운 암면(岩面). 또, 경질점토의 활동면에 나타나는 매끄러운 면. 습곡(褶谷, fold) 지형이 파형으로 굴곡 변형된 지질구조, 또는 그 형성과정.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지각변동으로 수평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형성됨. 위로 불룩한 구조를 배사구조(背斜構造) 아래로 우묵한 구조를 향사구조(向斜構造, 또는 地向斜)라 함.
슬립폼 ( - , slip form)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 올리면서 이음부분이 없이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으로 아파트의 외벽, 사일로벽면 등에 많이 사용되며 슬라이딩폼(sliding form)이라고도 함.
슬립폼 공법 ( - 工法 , slip-form paving)
콘크리트 슬래브를 포설할 때 슬리프 폼 페이버를 쓰는 공법. 거푸집을 필요로 하는 셋트폼 공법과 상대적인 공법임.
슬립폼 페이버 ( - , slip-form paver)
콘크리트 슬래브의 포설기계의 일종임. 펴고, 다지며 표면마무리 등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며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속적으로 포설할 수가 있음. 페이버 전방의 보조기층 위에 깔아 편 콘크리트에 바이브레이터로 진동을 주면서 약간 앞쪽이 들려 올려진 콘포밍 플레이트로 밀어 펴서 거푸집 모양의 사이드플레이트가 통과하면 슬래브의 형성이 끝남. 유럽에서는 Gunter & Zimmernan 페이버가 많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도에 Gomaco제를 수입 사용했음.
슬링 ( - , sling)
기중기의 갈고리에 물체를 걸어 올리는 것.
슬링로프 ( - , sling rope)
교량가설 현장에서 부재를 달아 올릴 때 사용하는 로프로서 아이스프리스로 한 것이며, 양단에 갈고리를 장착한 와이어로프임. → 슬링와이어로프.
슬링 와이어로프 ( - , sling wire rope)
크레인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물체에 걸어 후크(hook)에 거는 고리가 있는 와이어로프.
습곡 (褶曲, fold)
지층의 굴곡 상태를 표현하는 지질학상의 용어로 수평퇴적된 지층이 횡압력을 받아 물결 모양으로 변형하여 굴곡상태를 나타내는 지질구조를 말함. 습곡이 위로 솟은 부분을 배사(背斜, anticline), 반대의 것을 향사(向斜, syncline )이라고 함. 배사 또는 향사의 양쪽 사면을 만곡부(彎曲部, limb) 또는 날개(wing)라고 하고 양 날개를 2등분하는 면을 축면(軸面)이라고 하며, 축면과 지층면과의 교각선을 습곡층이라고 함. 습곡은 그 형태로 보아서 양날개의 경사가 같고 측면이 수직이면 정(正)습곡, 측면이 거의 수평으로 이루어진 횡습곡으로 구분됨. 습곡은 형성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함.
① 곡동(曲動)에 의하여 바깥 가장 자리에는 인장응력이 안쪽가장자리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여 형성된 공동습곡.
② 지층이 평행인 무수한 박편으로 쪼개져서 그 조각들이 활동하여 이루어진 전단 습곡.
③ 지층이 미응고 상태에서 암석체가 액체처럼 유동하여 형성되는 유동 습곡.
습도 (濕度, humidity)
대기중에 포함된 수증기량 측정치.
습사 뿜어내기 (濕砂 - , wet sand blasting)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에, 경화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모래를 물과 함께 압축공기로 뿜어 붙이는 표면처리방법. 구 콘크리트 표면의 나쁜 모르터 층 및 느슨한 골재를 제거함.
습사양생 (濕沙養生, wet sand curing)
습기있는 모래로 콘크리트타설면을 덮음으로써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강도시험용 공시체의 제작시에 사용됨.
습식 (濕式, wet rot)
목재가 건습의 반복작용으로 인하여 부식되는 것으로 기초용 나무말뚝에 자주 발생됨.
습식법 (濕式法, wet process)
시멘트의 제조시 원료를 분쇄시킬 때 물을 가하여 슬러리로 하고 이것을 조정, 가열, 소성하여 클링커를 제조하는 방법.
습식뿜어붙임콘크리트 (濕式 - , wet mix shotcrete)
물을 포함한 모든 혼합재료가 방출호스에 도입되기 전에 혼합 장치속에서 혼합되는 뿜어붙임 콘크리트.
습식산화법 (濕式酸化法, wet oxidation)
습식연소라고도 하며, 슬러지를 처리할 경우, 탈수라는 조작을 하지 않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면서 고온 고압하에서 직접 건조, 열분해 또는 산화 연소시켜서, 유기물질을 분해시키는 것.
습식연소법 (濕式燃燒法, wet combustion)
농축된 슬러지를 습식 연소에 의해 분해 처리하고, 연소 에너지를 증기 또는 동력원 형태로 회수하는 방법임. 슬러지 처리 방법에 따라 고압 산화법과 분무화법이 있음.
습식 제진장치 (濕式除塵裝置, wet scrubber)
먼지를 제거해야 할 기체를 일정한 풍속으로 보내어 그 기류속에 물 또는 가성소다의 수용액을분무하여 먼지 등을 물에 흡수시키므로서 배기가스를 세정시키는 장치.
습식체가름 (濕式 - , wet screening)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어떤 치수보다 큰 골재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체가름 방법.
습식혼합법 (濕式混合法, wet mix process)
물과 혼합된 콘크리트를 압송하며, 분진발생은 적으나 급결제의 첨가가 어려움.
습윤관개 (濕潤灌漑, moistening irrigation)
압착관개와 같이 농작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을 공급하는 관개.
습윤기간 (濕潤期間, soaking period)
고압증기양생에 있어서는 양생실 또는 오오토클레이브에 증기공급이 차단된 후 남아있는 열과 증기 속에 콘크리트 제품을 두어 두는 시간을 말하며, 저압증기양생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제품이 최고온도에 달한 후의 시간과 증기를 차단한 후 남아 있는 열과 습기 속에 콘크리트제품을 두는 것을 허용하는 시간을 말함.
습윤단위중량 (濕潤單位重量, wet unit weight)
젖은 흙의 단위체적당의 중량.
습윤실 (濕潤室, moist room)
시멘트를 사용한 시험체의 양생과 저장을 목적으로 대기가 어떤 선정된 온도(23±2 ℃)와 98 %이상의 상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
습윤양생 (濕潤養生, wet curing)
콘크리트나 모르터 등을 수분을 가하며 습윤상태에서 양생시키는 방법.
습지불도저 (濕地 - , crawler mounted bulldozer for swamp)
습한 지역이나 극히 연약지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불도저로 무한궤도의 접지폭이 일반 불도저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음.
승강교 (昇降橋, lift bridge)
교량들보가 상하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가동교의 일종.
승강식 (昇降式, rise and fall system)
고저(수준)측량의 한 방법으로 승(+)값의 대수합과 강(-)값의 대수합의 차에 후시점의 지반고를 더하여 미지점의 지반고를 구하는 야장기입법
승강장 (乘降場, platform)
여객이 열차에 타고 내리기 위하여 또는 소화물 적하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선로에 평평하게 설치한 장소.
승강장 옹벽 (乘降場 擁壁, retaining wall for platform)
승강장은 선로보다 높은데 궤도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옹벽을 쌓음. 이것을 승강장 옹벽이라 함.
승강장 유효장 (乘降場 有效長, useful length of platform)
열차가 정지하여 승객 또는 화물의 승강할 수 있는 유효길이를 말하며 열차 정지 목표가 있는 경우 열차 정지 목표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출발 신호기가 있는 경우 출발신호기로 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없는 경우는 승강장 전 길이를 의미함.
승수 (乘數, multiplier)
터널내에서 수대의 착암기를 사용할 경우 소휴지나 반가동때문에 단위시간당의 총 공기소비량은 착암기 1대당 소비량 X 대수로는 되지 않고 이 이하의 값이 됨. 이 수치를 구하기 위한 승수를 의미하며 승수 M은 다음 식으로 구함. 1대당소비량(c) × 대수(n) × 승수(M) = 총소비량(C)
승수거 (承水渠, catch drain)
배수 대상지구 바깥의 높은 대지로부터 많은 지하수가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암거구조물.
승수로 (承水路, catch canal drain)
배수구역내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구역밖으로 도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수로.
승용차 (乘用車, passenger car)
버스 및 화물차가 아닌 5 인승 이하의 차로 대부분의 자가용이 이에 속함.
승용차 같이타기 (乘用車 - , carpool)
같은 목적지를 가진 통근자들이 서로 돌아가면서 각자의 차량을 같이 이용하는 통행행위.
승용차환산계수 (乘用車換算係數, passenger car equivalent factor)
실제 현장의 교통 및 도로조건하에서 한대의 버스, 트럭 등 중차량이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승용차대수로 환산하는데 사용하는 값. 약어 : PCE.
승용차환산대수 (乘用車換算臺數, passenger car unit)
승용차환산계수를 이용하여 혼합 차량대수를 승용차단위로만 계산한 대수. 약어 : PCU
승월분기기 (乘越分岐器, runover type turnout)
분기선이 본선에 비하여 중요하지 않은 경우 또는 분기선을 사용하는 회수가 드문 경우에 본선에는 2개의 기본레일을 사용하고 분기선에는 한쪽은 보통 첨단레일을 사용하고 한쪽은 특수 형상의 레일을 사용하여 궤간 외측에 설치함. 따라서 본선 레일의 강도는 분기부 전후와 같으며 분기선에 진입할 때에는 본선의 레일변과 턱이진 크로싱부에서 본선을 승월하여 분기선에 진입함.
승하차대 (乘下車臺, curbside)
항공 여객이 여객 터미널 건물 앞에서 승·하차하는데 이용할 목적으로 도로와 구분하여 별도 자동차가 정차하는 지역. 일반적으로 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차량의 종류별로 승·하차장의 위치를 구분함.
승하차시간 (乘下車時間, passenger service time)
대중교통 역 혹은 정류장에서 개별 대중교통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하는데 소요하는 시간.
시가지 측량 (市街地測量, city surveying, urban surveying)
시가지를 대상으로 하는 측량으로, 도시기준점의 설치, 지적도의 작성, 각종 공공사업에서의 공공측량, 토지의 개발보전에 관련한 대축척 지형도 작성 등 넓은 범위의 측량을 총칭
시가 철도 (市街鐵道, street railway)
시가지의 도로에 부설된 철도.
시간가치 (時間價値, value of time)
통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다른 가치 있는 활동에 투자했을 때 거둘 수 있는 기회가치를 화폐단위로 나타낸 것. 일반적으로 수단선택모형이나 임금율법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음. 약어 : VOT.
시간계수 (時間係數, time factor)
압밀이론에 있어 흙의 압밀시간을 무차원화한 계수.
시간분할 (時間分割, time split)
각 방향별 교통류가 서로 상충이 되지 않도록 녹색진행 신호를 주기 위해 신호주기내에서 각 방향별로 분할된 현시의 시간비율.
시간비용 (時間費用, time cost)
통행시간을 비용으로 환산한 것을 시간비용이라 하고 통행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지불할 의사가 있는 비용을 통행시간 비용이라고 하며 수단선택모형이나 임금율법 등의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음.
시간적 효용 (時間的 效用, time utility)
교통의 중요한 역할로서 시간을 단축시켜서 각 이용자 및 상품의 효용을 증진시킨다는 개념. 교통의 다른 중요한 기능으로서는 공간적 효용과 형태적 효용을 들 수 있음.
시간제 방법 (時間制 方法, time of day mode)
교통량의 변화에 대한 감응 없이 특정 시간대별로 미리 조사된 교통량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신호시간계획으로 신호운영을 행하는 방법.
시간최대급수량 (時間最大給水量, hourly maximum water supply)
하루를 통하여 1시간당의 최대급수량을 말함.배수관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본량임.
시간최대오수량 (時間最大汚水量, hourly maximum sewage flow)
하루를 통하여 1시간당의 최대오수량을 말하며, 하수도나 오수펌프 설비 등의 크기나 용량을 결정하는 기본량이 됨.
시간-침하곡선 (時間-沈下曲線, time-settlement curve)
압밀시험이나 재하시험 등에서 각 하중단계에 있어서의 침하의 시간적 경과를 나타낸 곡선.
시간 평균 속도 (時間 平均 速度, time mean speed)
어느 지점을 일정 시간 내에 통과하는 차량 속도의 산술 평균치.
시거 (視距, sight distance)
운전자가 도로상에서 전방의 위험한 물체 또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차량을 볼 수 있는 거리를 진행방향으로 측정한 거리. 정지시거, 추월시거, 피주시거 등이 있음.
시거상수 (視距常數, stadia constants)
시거공식에서의 승상수와 가상수 . 일반적으로 는 100이며, 는 0임.
시거선 (視距線, stadia hair)
트랜시트나 망원경평판시준기의 망원경시야에 망원경 초점거리와 일정한 관계를 갖도록 그 간격이 정확하게 설계되어 있는 두 개의 선. 스타디아선이라고도 함.
시거측량 (視距測量, stadia surveying)
트랜시트 또는 망원경 알리다드로 어떤 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고 스타디아선 사이에 낀 표척의 길이(협장)와 고저각을 관측하여 두 점간의 거리 및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 방법. 스타디아측량이라고도 함.
시계비행방식 (視界飛行方式, visual light rule)
조종사가 자신의 육안 식별 및 판단에 의하여 모든 장애물 및 지형 지물 등을 회피하면서 일정 고도를 유지하면서 비행하는 방식. 계기비행방식(IFR)과 상대되는 말. 약어 : VFR.
시계비행방식상태 (視界飛行方式狀態, visual flight rule condition)
시정(視程) 및 구름의 상황을 고려하여 시계상 양호한 기상 조건상태.
시공계획 (施工計劃, execution scheme)
공사시공에 있어서 공사부분별 각종 공법, 자재동원, 공정계획 및 진행계획 등의 전반적인 계획.
시공기계 (施工機械, construction machine)
건설공사의 시공활동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 및 장비.
시공기면 (施工基面, formation level)
도로공사의 경우는 노반마무리면으로, 도로중심선이 갖는 포장표면의 높이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설계도면에서 나타 낸 시공의 기준이 되는 높이.
시공도 1) (時空圖, time space diagram)
하나의 좌표축을 주행거리, 다른 축을 시간으로 한 2차원 좌표로서 차량의 미시적인 행태를 표현한 그림으로 한 축은 간선도로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신호교차로를 나타내며 다른 축은 이들 신호등의 신호표시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도표.
시공도 2) (施工圖, working drawing)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도로로서, 각종 가설도로나 플랜트, 기계의 배치 등을 포함하여 구조물의 제작, 가설시에 그 방법, 순서, 필요사항 등을 나타낸 도면.
시공이음 (施工 - , construction joint)
거푸집이나 철근의 크기문제나 콘크리트 타설작업의 편리를 위하여 또는 일시적인 타설중단시에 발생되는 이음부위로 신, 구콘크리트 사이에 생기는 이음을 말함. → 시공줄눈.
시공자 (施工者, contractor)
계약에 의하여 발주자(시공주)로 부터 공사를 하청받은 자.
시공재료 (施工材料, construction material)
공사시공에 사용되는 각종재료.
시공줄눈 (施工 - ,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포장 슬래브와 장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시공 중에 강우등에 의해서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할 경우 줄눈을 만들 예정이 아닌 개소에 부득이 설치하는 줄눈 또는 보수공사로 슬래브를 타설하여 나갈 때에 설치 하는 줄눈 등을 말함. 줄눈구조는 맞댐 줄눈형식으로서 타이바를 사용함. 보통 콘크리트 슬래브의 1일 시공량은 설계에서 결정되어 있는 팽창줄눈 또는 수축줄눈의 개소에서 끝나도록 계획되어 있으므로 1일 작업이 끝날 때마다 반드시 시공줄눈을 두는 것은 아님.
시굴 (試掘, test pit)
지층의 관찰, 원위치시험, 시료채취, 등의 목적으로 지반에 구덩이를 파는 것.
시굴갱 (試掘坑, test pit)
→ 시굴.
시굴공 (試掘孔, trial hole)
토질조사를 목적으로 보링기계로 파는 구멍.
시굴터널 (試掘 - , pilot tunnel)
터널의 굴착시 본격적인 굴착이전에 지질, 지층, 토압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적으로 파는 터널.
시굴횡갱 (試掘橫坑, test adit)
댐 등의 중요구조물이나 다량의 채굴을 요하는 석산의 지질조사는 지하 깊은 지반의 지질상태를 사전파악해야 하므로 보링만으로는 불충분할 때 횡방향의 조사용공을 뚫을 경우 이를 말함.
시노팔 ( - , synopal)
덴마크에서 개발된 인공골재의 일종. 규사, 석회, 도로마이트 등을 용융시켜 만들어짐. 순백색으로 극히 단단하고 내마모성, 내열성이 우수함. 미끄럼방지포장, 유색포장 등에 쓰임.
시들음점 ( - , wilting point)
토양이 건조해서 식물의 뿌리가 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수분을 빨아 들일 수 없는 단계. 이 때는 증산작용이 거의 중단되며, 식물은 시듬.
시력도 (示力圖, force polygon)
동일 평면상에 있는 여러 힘의 합력을 도해법으로 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각형.
시료 (試料, sample)
시험, 검사, 화학분석 등에 이용되는 물질이나 생물을 말함. 넓은 의미로는 하나의 집단에서 어떤 목적으로 뽑아낸 단위체를 말함.
시료 분취기 (試料 分取器, sample splitter)
다량으로 있는 골재 등의 시료로부터 시험에 필요한 만큼의 양을 취하는데 사용하는 용기. 분취기에 1회 통과마다 시료는 2분되며 한쪽은 버리고 나머지 분에 대해서 필요량이 될 때까지 반복하여 취함.
시멘타이트 ( - , cementite)
철과 탄소의 화합물로서 근사적으로 Fe3C의 화학식으로 표시함. 비중 7.82, 경도가 높고 연성 이 극히 작고, 담금질의 효과도 없음. 시멘타이트의 함유량이 클수록 취성적인 강이 됨.
시멘테이션공법 ( - 工法, cementation process)
① 연약지반에 시멘트밀크나 모르터를 주입하여 용수를 방지하며 붕괴를 막아 굴착을 용이하게 하는 공법.
② 철을 목탄분속에서 가열하여 강을 제조하는 공법.
시멘트건 ( - , cement gun)
시멘트와 물,잔골재의 혼합물을 송출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뿜어 붙이는 기구의 일종으로 뿜어붙임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사용되며 수축이 적고 강도가 높은 모르터를 얻을 수 있음.
시멘트겔 ( - , cement gel)
충분히 수화된 시멘트풀로 다공질 물체의 공극이나 틈새를 메우는 콜로이드상의 물질.
시멘트고결공법 ( - 固結工法, cement grouting)
→ 시멘트 주입.
시멘트-골재비 ( - 骨材比, cement-aggregate ratio)
중량 또는 용적에 의한 시멘트의 골재에 대한 비.
시멘트 공기수송장치 ( - 空氣輸送裝置, pneumatic conveyor)
시멘트를 공기와 함께 수송관내에서 흡송하는 장치.
시멘트 라이닝관 ( - 管, cement lining pipe)
주철관이나 강관의 내면을 시멘트모르터로 발라서 관의 부식에 저항하도록 한 관. 관을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고 노즐에서 압출되는 시멘트모르터를 일정한 두께가 될 때까지 원심력을 이용하여 펴서 붙임.
시멘트로 ( - 爐, cement kiln)
시멘트의 원료를 분쇄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것을 1420~1650。C로 소성해서 크링커로 하는 솥.
시멘트 록 ( - 岩, cement rock)
포틀랜드시멘트 생산에 필요한 성분을 함유한 불순한 천연 석회석.
시멘트 머캐덤믹스 포장공법 ( - 鋪裝工法, cement macadam mix pavement method)
주골재 또는 틈막이골재에 소량의 시멘트모르터를 발라 포설하는 머캐덤공법의 일종으로 아스팔트포장의 기층에 이용되며 콘크리트포장과 같이 줄눈없이 시공하는 공법.
시멘트 머캐덤 포장 ( - 鋪裝, cement macadam pavement)
주골재인 깬골재와 시멘트모르터를 결합재로 하여 포장하는 머캐덤 포장의 일종으로 모르터는 1:2 또는 1:4 비율로 배합하고 깬골재는 3~6 cm 또는 4~7 cm을 많이 사용함.
시멘트 머케덤공법 ( - 工法, cement macadam-mix)
주골재 및 채움골재의 표면을 시멘트풀과 세사로써 피복하여 포설하는 머캐덤 공법의 일종임. 아스팔트 포장의 보조기층에 사용되나 시공 예는 적음. 먼저 골재에 물-시멘트비가 40 % 정도가 되도록 물을 가하여 믹서로 혼합하고 160kg/m3정도의 시멘트, 15 % 정도의 세사를 차츰 투입하여 혼합하고 주혼합물, 채움혼합물 등을 만듬. 먼저 주 혼합물을 포설하여 전압하고 주 혼합물의 간극을 채우도록 채움 혼합물을 살포하고 전압함. 골재의 맞물림이 기대되고 줄눈이 필요치 않고 교통개방이 빠른 것 등의 장점이 있음.
시멘트모르터 ( - , cement mortar)
→ 모르터.
시멘트분산제 ( - 分散劑, cement dispersing agent)
→ 분산제.
시멘트안정공법 ( - 安定工法, cement stabilization)
→ 시멘트 안정처리.
시멘트 안정처리 ( - 安定處理, cement stabilization)
시멘트를 안정제로 사용한 토질 안정처리공법, 현지 재료 또는 이에 보충재료를 가한 것에 몇 %의 시멘트를 첨가 혼합하여 최적 함수비 가까이에서 다져 노반을 만드는 공법. 부순돌, 자갈, 모래 등의 입상재료 혹은 흙에 소량의 시멘트를 첨가 혼합하여 포장의 보조기층 등에 사용하는 공법임. 처리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다짐.
시멘트응결시험 ( - 凝結試驗, cement setting test)
슬럼프가 0보다 큰 콘크리트를 체로 쳐서 얻은 모르터로 시험하여 그 응결시간을 측정하는 시험. 이 방법은 콘크리트에서 모르터부분을 시험함으로써 그 콘크리트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 한함.
시멘트주입 ( - 注入, cement grouting)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는 1:10~1:1 정도인 배합재를 그라우팅 재료로 하여 균열부분 및 보강이 필요한 지점에 주입시키는 것. 비교적 큰 암석 틈사이에는 주입할 수 있으나 모래이하의 입도에는 시멘트입자가 진입하지 못하므로 효과가 없음.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 - 鋪裝, cement concrete pavement)
조립재료 또는 소일시멘트로 된 노반 위에 두께 20∼30 cm의 시멘트 콘크리트를 친 포장. 슬래브의 구조에 따라 철근콘크리트포장, 연속철근콘크리트포장,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포장 이라고도함. 시멘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표층으로 한 포장임. 콘크리트 슬래브는 아스팔트 혼합물층과는 다르게 강성이 높기 때문에 아스팔트 포장의 가용성에 대응하여 강성포장이라함.
시멘트페인트 ( - , cement paint)
보통 백색포틀랜드 시멘트, 물, 소석회, 흡윤성염 등으로 만든 폐인트의 일종으로 내알칼리성 물질이며 시멘트의 응결, 안정성을 저해시키지 않아야 함.
시멘트풀 ( - , cement paste)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물 이외에 혼합재료를 넣는 것도 있으며 시멘트액이라고도함.
시멘트플라스터 ( - , cement plaster)
포틀랜드시멘트를 함유하고 있는 회반죽.
시멘트함유량 ( - 含有量, cement content)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 단위용적중에 함유된 시멘트량. 보통 중량으로 표시함.
시방 (示方, technical specification)
재료, 제품, 구조물, 설비 등에 있어서 요구하는 특정한 형상, 구조, 치수, 정도, 성능 제조방법 시험방법 등을 정해놓은 것. 시방을 문서화한 것을 시방서라 함.
시방배합 (示方配合, specified mix)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에 의해 제시되는 배합기준이며 골재는 표면 건조포화상태이며, 세골재는 No.4체를 100% 통과하며, 굵은 골재는 No.4체에 100% 남는 골재를 사용하는 배합임.
시방서 (示方書, specification)
작업(work), 자재, 장비의 항목별로 최소 요구 사항을 기술한 책자.
시브 ( - , sheave)
바퀴둘레에 홈이 있어 이 홈에 와이어로프나 줄을 걸어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든 물체인양 공구.
시사스 크로싱 (交線 - , double crossover, scissors crossing)
철도선로에서 2조의 건넘선을 교차하여 중복시킨 것으로 4조의 분기기와 1조의 다이야몬드 크로싱을 조합한 구조임.
시선 유도표지 (視線誘導標識, traffic delineator)
도로의 측방에 설치하여 도로 끝 및 도로 선형을 명시하고 주간 및 특히 야간에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
시설물관리 (施設物管理, facility management)
공공시설물이나 대규모의 공장, 관로망 등에 대한 지도 및 도면 등 제반 정보를 수치 입력하여 시설물에 대해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하는 종합체계. FM이라고도 함.
시설물측량 (施設物測量, facility surveying)
각종 시설물의 적지선정, 설치, 시공, 준공, 변형 등의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 취득을 위한 측량임. 도로, 하천, 댐, 교량, 비행장, 건조물측량이 이에 속함.
시오디 ( - , COD)
화학적 산소 소비량 또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말함. 배수중의 피산화성 물질, 주로 유기물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으로 나타낸 것임.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값이 작을수록 수질 오염은 적음.
시오삼각형 (示誤三角形, triangle of error)
평판측량에서 후방교회법으로 측점의 위치 및 평판의 방위를 결정할 때, 3개의 기지점을 시준한 방향선이 1점에서 일치되지 않고 만들어지는 작은 삼각형. 시오삼각형의 소거는 레만법, 투사지법, 벳셀법 등이 있음.
시임용접 ( - 鎔接, seam welding)
저항 용접의 일종으로 원판상 전극간에 피용접물을 끼워 전극에 가압력을 가한 채 전극을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하는 용접.
시작시각 (始作時刻, start time)
PERT/CPM의 공정표에서 전체공기에 지장이 없도록 개별활동(activity)이 시작되어져야 하는 시각.
시준 (視準, pointing)
측량기기의 망원경내에 있는 십자선에 목표를 일치시키는 것임.
시준거리 (視準距離, length of sight)
레벨에서 시준되는 표척까지의 거리임.
시준선 (視準線, line of collimation)
대물렌즈의 광심과 십자선의 교점을 연결한 직선임.
시준축 (視準軸, collimation axis)
트랜싯의 대물경의 광심을 통과하고 수평축에 직각인 축임.
시즈닝 ( - , seasoning)
철제품의 내부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오래동안 방치하는 조작.
시차 (視差, parallax)
어떤 점으로부터 출발한 광선이 눈에 들어올 때의 입사방향의 차이. 또는 한쌍의 중복된 사진에서 동일점에서 투사된 광선이 일치하지 않는 차이를 시차라고 함. 입체시 사진에서는 종시차와 횡시차가 있음.
시차액주계 (示差液柱計, differential manometer)
두 개의 관이나 두 점 사이의 극히 작은 압력차를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압력측정기로, U자관에 비중이 다르고 서로 혼합되지 않는 액체를 사용하여 이 들 액체의 상대적 높이차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측정함.
시차열분석 (示差熱分析,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물의 열특성을 이용하여 광물을 판별하는 시험방법. 약어는DTA이며 결정분석이라고도 함.
시차제 업무시간 (時差制 業務時間, staggered work hour)
일일 총 근무시간에는 변화가 없으나 출퇴근시간을 조절함으로서 교통수요를 시간대별로 분산시키는 교통수요 관리기법의 일종.
시차차 (視差差, parallax difference)
한 쌍의 중복된 사진에서 도일점의 시차로서 연직사진인 경우 횡시차는 시차차공식에 의해 두점간의 비고를 구할 수 있음.
시추 (試錐, boring, drilling)
기초지반 조사나 공사 등에서 기계나 기구 등을 사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것으로 굴착방법에는 오거식, 로타리식 및 퍼쿠션 방법 등이 있으며 기초지반 조사에는 주로 로타리식이 이용됨. 연직시추가 일반적이나 배수 또는 터널선단부의 보강 등의 경우 수평이나 경사시추를 하기도 함. → 보링.
시추니토 (試錐泥土, drilling mud, bentonite)
몬모릴로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임. 특히, 알카리벤토나이트는 물의 흡수팽창성이 매우 커 건설공사나 시추조사시 굴착면의 붕괴 방지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음.
시추조사 (試錐調査, boring, drilling investigation)
기초지반의 성층상태를 파악하고 원위치시험 및 각종 실내시험에 사용할 교란, 불교란시료나 록 코어(rock core)를 채취할 목적으로 시추기계나 기구 등을 사용하여 지반을 시추하면서 조사하는 것임. 시추과정중에는 사용된 기자재, 기계의 작동조건뿐 아니라 회수된 시료에 대한 관찰 등 일체의 사항을 기록하여야 함.
시추주상도 (試錐柱狀圖, drilling log)
시추조사 과정에서 인지하거나 추출된 시료의 관찰 등을 통하여 지층의 기원 성층상태 및 지층 구성물질의 종류, 상태 및 지하수위 등을 깊이별로 도시한 그림. 이 외에 시추주상도에는 조사위치, 표고 등의 지표조건과 조사일시, 조사 장비 및 방법 등이 수록되어야 함.
시통 (視通, intervisibility)
관측점과 목표점사이에 장애물이 없어 볼 수 있는 것임.
시트매스틱방수공법 ( - 防水工法, sheet mastic waterproofing)
아스팔트 또는 코올타르 피치와 모래시멘트 또는 석회분말을 섞은 것을 10~40 mm의 두께로 콘크리트표면에 도포하는 방수공으로 아스팔트양은 매스틱양의 15~25 %로 함.
시트아스팔트 ( - , sheet asphalt)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일종, 주로 모래와 석분을 골재로 하여 만든 것이며 2.5 mm체 통과량이 80 % 이상임. 아스팔트 모르터에 거의 가까움. 석분 사용량이 10 % 전후로 내마모용의 아스팔트 모르터에 비하여 적음.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도에는 거의 쓰이지 않으나 테니스 코드와 같은 스포츠 시설에 쓰이고 있음.
시험 (試驗, test)
어떤 구조물 또는 시설을 하기 위한 재료와 완성물에 대한 품질등을 KS 또는 기타의 규정으로 정하여진 바에 의거 행하는 것.
시험말뚝 (試驗 - , test pile)
재하시험 또는 말뚝박기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말뚝.
시험배치 (試驗 - , trial batch)
본 배합시 배합재료의 배합양을 결정하거나 검토하기 위하여 비비는 콘크리트 배치.
시험배합 (試驗配合, trial mix)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실험실에서 시험적으로 결정한 배합.
시험유역 (試驗流域, experimental catchment)
물의 순환과정을 이해하고 정밀한 수문량 관측을 통하여 정량적인 수문조사 및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선정된 유역.
시험차 방법 (試驗車 方法, test-car method)
실제 현장에서 시험차량을 이용하여 각종 효과척도(MOE)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인데, 연속적으로 수차례 시험차량으로 주행하는 방법으로 주로 구간속도 및 지체도 조사에 보편적으로 이용.
시험해머 (試驗 - , test hammer)
리벳팅한 결과가 양호한가를 음향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손으로 때려 볼 때 사용되는 소형해머.
시효 (時效, aging, ageing)
열처리 또는 가공 등에 의해서, 성질이 불안정하게 된 금속이나 합금이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함께 안정상태로 되돌아오게 하여, 그 성능을 변화시켜 주는 것.
시효경화 (時效硬化, age-hardening)
시효에 의해 금속이나 합금이 단단해 지는것. → 시효.
식각 (息角, angle of repose)
모래나 자갈 같은 분체를 느슨하게 쌓아 올렸을 때, 사면이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경사각. → 안식각(安息角).
식물플랑크톤 (植物 - , phytoplankton)
광합성을 하는 플랑크톤. 크기는 다양하여 규조류, 남조류 등 미세한 조류외에 1 m이상의 해파리도 포함됨.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작용을 하나 오염된 물에서 과다번식하여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기도 함. → 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식생공 (植生工, lanting treatment, sodding)
사면에 식물을 식재하므로써, 표층토를 식물의 뿌리로 고정시켜 우수에 의한 사면침식을 방지하고, 지표면의 온도변화를 완화시켜 동상붕괴를 억제하며, 녹화에 의한 미관효과를 도모하는 공법. 종자살포, 녹생토공, 떼붙임, 등의 공법이 있음.
식종 (食種, seeding)
배양의 근원이 되는 미생물을 배지에 혼입해서 발효 작용을 활발하게 진행시키는 것임.
신도 (伸度, ductility)
아스팔트를 규정된 모양으로 다져 공시체를 만들고 이것을 규정온도의 물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끌어 당기면 실모양으로 늘어난 시료가 절단될 때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cm단위로 표시한 것.
시험온도는 일반적으로 25〫, 15〫, 10 ℃ 등으로 하고, 인장강도는 매분 5 cm로 함. 공시체의 인장방향의 최소단면은 1변 10 mm인 정방형이며 시험은 KSM 2254 (역청재료의 신도시험방법)규정에 의함. 신도는 아스팔트와 골재와의 접착성이나 아스팔트 혼합물의 변형특성에 관계하는 등 많은 의견이 있으나 포장의 실용성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음. 그러나 아스팔트의 점성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수로서 아스팔트의 품질규격으로 정하고 있음.
신뢰도해석 (信賴度解析, reliability analysis)
통계해석을 이용하여 안전율 등을 확율론적으로 평가하는 해석.
신생대 (新生代, Cenozoic(era))
지질시대를 크게 나눌 때 고생대(古生代), 중생대(中生代), 신생대(新生代)의 3개의 현생누대(顯生累代)로 구분함. 지금으로부터 0.64억년전 이후의 지질시대로, 이를 다시 제삼기(第三紀), 제사기(第四紀)로 세분함. 중생대에 번성하던 공룡류가 절멸되고 신생대에는 포유류가 번성함.
신오스트리아식굴착 ( - 掘鑿,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터널의 전구간을 굴착하지 않고 입갱부만을 굴착한 후 내부에서 본선방향으로 굴착, 발파한 후 rock bolt를 시공하며 터널을 굴착하는 방법으로, 개착식에 비하여 교통통제가 필요없으나 사전에 통과지반에 대한 지질조사가 선행되어야 함. NATM굴착이라고 함.
신월샘플러 ( - , thin walled sampler)
두께가 얇은 샘플링튜브를 이용한 샘플러. 주로 연약점성토의 흐트러지지 않는 시료를 채취하는데 쓰이며 고정 피스톤을 갖는 것이 많음.
신장 (伸長, elongation)
외력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한 부재 길이의 변화량.
신장율 (伸張率, percentage of elongation)
재료의 인장시험시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신장장치 (伸張裝置, extension device)
지주를 수직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절스크류이외의 장치.
신축계 (伸縮計, extensometer)
지표면의 2점간에 인바강선을 당겨놓아 지반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계측기. 사면활동에 대한 조사, 터널내공 변위측정, 등에 이용됨.
신축관 (伸縮管, extension pipe)
온도변화 등에 의한 신축을 자동적으로 흡수하는 이음을 갖는 특수관으로 드레서형, 텔레스코프형, 페로오즈형 등이 있음.
신축량 (伸縮量, expansion length)
장대레일 단부의 가동구간 신축량은 도상 종저항력이 일정하면 가동 구간길이 Le 의 자유신축량 Le .β.ㅿt 의 1/2이 됨. 레일 각부의 신축량은, 레일축력이 단부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역으로 신축량은 반비례 함.
신축받침 (伸縮 - , expansion / movable bearing)
지지된 구조물이 온도변형 등으로 신축하더라도 무리를 일으키지 않도록 고안된 받침.
신축슬리브 (伸縮 - , expansion sleeve)
관의 신축이음부분에 씌우는 금속제의 관.
신축이음 (伸縮 - , expansion joint)
콘크리트로 성형된 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은 온도변화에 따라 미량의 신축을 하게 되며 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각 단면은 변형을 받게 됨. 이러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작용과 하중재하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마다 이 힘들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면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이음을 말함.
신축이음매 (伸縮繼目, expansion joint / device)
장대레일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매의 일종으로 장대레일의 신축량을 텅레일을 사용한 신축부에서 처리하도록 한 것임.
신축이음장치 (伸縮 - 裝置, expansion joint)
교량에 있어서, 보끝의 신축, 회전, 변위에 대해, 활하중에 지장없이 주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
신호 (信號, signal)
→ 교통신호.
신호간격 (信號間隔, interval)
신호주기중 한 신호 표시가 변하지 않는 동안의 시간을 말함. 크게 녹색시간, 적색시간, 황색시간으로 나뉨.
신호교차로 (信號交叉路, signalized intersection)
직진, 좌우회전 등 차량의 출발과 멈춤이 교통신호에 의해 통제되는 교차로.
신호기 (信號機, signal post)
신호를 나타내는 기구.
신호기내방 (信號機內方, approach of signal)
신호기 위치로부터 배면의 방향.
신호기 방호구간 (信號機 防護區間, - )
신호기의 현시 상태로서 열차의 운전 조건을 지시할 수 있는 선로 구간으로 신호기 전방구간이라고도 함.
신호기외방 (信號機外方, advance of signal)
신호기 위치로 부터 표면의 방향.
신호뇌관 (信號雷管, signal torpedo)
폭음 신호를 위한 소형 폭발물을 말함.
신호등두부 (信號燈頭部, signal head)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등면을 조합해서 구성한 단위.
신호등면 (信號燈面, signal face)
한 접근부(approach)상의 여러 이동류를 제어하는 신호등 렌즈의 조합.
신호보안 장치 (信號保安 裝置, safety device)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고 수송력 증강을 위하여 설치한 시설로서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건널목 안전장치 등의 종류가 있음.
신호소 (信號所, signal station)
정거장이 아니고 상치신호기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함.
신호장 (信號場, signal box)
철도에서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하기 위하여 시설한 역으로 일반적으로 영업은 하지 않고 운전목적만을 위해 설치함.
신호장치 (信號裝置, signal apparatus)
신호를 나타내는 장치를 말함.
신호제어 (信號制御, signal control)
교통신호를 이용하여 상충하는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제어, 미리 정하여진 신호시간에 의해 운영되는 고정시간식 방식과 감지기나 보행자 신호버튼 등에 의해 신호시간이 제어되는 교통감응 방식이 있음.
신호제어기 (信號制御機, signal controller)
신호 현시를 나타내는 시간 조절기로서 전기기계식, 전자식, solid state식이 있음. 제어기의 종류는 크게 고정시간제어기(pretimed controller), 교통대응제어기(traffic responsive controller)로 나눌 수 있음.
신호제어체계 (信號制御體系, signal control system)
독립 교차로 혹은 인접 교차로의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고정시간식 또는 교통대응 방식에 의해 교통신호 상호간의 옾셋, 신호주기, 녹색시간 등을 제어함으로써 교통의 흐름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운영하는 신호체계.
신호주기 (信號週期, cycle)
반복되는 일련의 신호현시의 총합계시간으로서, 현시의 녹색신호시간의 시작에서 동일현시의 다음 녹색신호시간의 시작까지의 시간.
신호표시 (信號標示, signal indication)
일반적으로 렌즈의 조명을 통한 적색, 황색, 녹색(원형 및 화살표)의 등화를 의미함.
신호현시 (信號現示, signal aspect / indication)
색등식 또는 기계신호기의 방호구역에 열차의 운행조건을 표시하는 것.
신호화 (信號化, signalization)
차량군의 직진, 좌우회전 등의 출발과 멈춤이 신호에 의해 통제되는 것.
실 ( - , seal)
역청재료를 사용하여 방수를 목적으로 구조물의 표면에 얇은 피복을 만들 때 사용됨. 줄눈, 균열, 공극 등의 틈새를 메울 때 사용되는 재료.
실런트 ( - , sealant)
이음매나 간격 등에 충진되어 수밀 기밀의 기능을 갖는 재료.
실리카 ( - , silica)
이산화규소(SiO2)의 호칭으로 암석, 점토, 흙속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포틀랜드시멘트의 주요구성성분의 하나임.
실리카시멘트 ( - , silica cement)
규산질의 혼합재를 섞어서 만든 포틀랜드 시메트의 일종으로 초기강도는 낮으나 장기간에 걸쳐 강도의 증진이 계속되고 해수 등에 대한 화학저항이 크고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음.
실리커 샌드 ( - , silica sand)
주로 석영질 입자로 된 모래. 산성암이 풍화에 의해서 생기거나 혹은 인공적으로 파쇄하여 만들며 일반적으로 실리커분을 90 %이상 함유하고 있음. 규사라고도함. 경질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입경은 비교적 모가 많으므로 미끄럼방지 포장에 쓰임.
실리콘 수지접착제 ( - 樹脂接着制, silicon resin paste)
실리콘 수지를 원료로 하여 알콜이나 벤졸 등의 60 %용액으로 한 접착제로 각종 재료에 대해 접착력이 강하고 내수, 내열성이 양호함.
실리콘코킹 ( - , silicon caulking)
실리콘수지의 점성반죽. 내구성과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각종 재료의 균열방지에 사용됨.
실링 ( - , sealing)
수분이나 소음, 분진, 공기 등의 출입을 억제해서 내부의 공간이나 시설 및 인축을 보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
실물도급계약 (實物都給契約, cost plus fee contract)
공사를 도급계약할 때 사전에 공사금액을 결정하지 않고, 실제로 공사시공에 소요되는 실비용을 기초로 하여 여기에 소정의 이윤을 부가하여 도급금액을 결정하는 계약방식.
실물모형 (實物模型, mock up)
학습이나 교육, 검사 등을 위하여 준비된 건물 및 기타 대상이 되는 물건의 모형제작품.
실양정 (實揚程, actual head)
펌프의 흡입정수위와 토출구측 수위와의 수위차.
실용용량 (實用容量, practical capacity)
주어진 도로 및 교통조건에서 하나의 차선 또는 차도의 단면을 정해진 서비스수준으로 통과할 수 있는 최대교통량. 지금은 서비스교통량이란 용어를 사용함.
실제경사 (實際傾斜, actual grade)
계획에 필요한 가상구배가 아닌 선로상에 실제로 붙여져 있는 경사구배.
실제유속 (實際流速, actual velocity)
일반적으로 유속은 단면평균유속을 의미할 때가 많으나 유체는 점성으로 인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면 각 점에서 유속이 다르게 나타남. 이와 같이 유체흐름에서 발생되는 각 점에서의 유속.
실제유체 (實際流體, real fluid)
점성과 압축성을 가진 유체를 말하며 유체가 이동을 하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며 압력이 변하면 체적이 변하는 일반적 유체.
실증발(량) (實蒸發(量), actual evaporation)
수면 또는 습한 토양면의 물분자가 태양의 열에너지를 얻어 액체상태로부터 기체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실제 발생된 양.
실증발산(량) (實蒸發散(量), actual evapotranspiration)
태양의 열에너지에 의한 수면과 토양면으로부터의 증발과 식물의 잎을 통해 지중의 물이 수증기형태로 대기중에 방출되는 증산에 의한 물의 수증기량을 전부 합한 것으로 실제로 발생된 양.
실체사진 (實體寫眞, stereo photography)
→ 입체사진.
실체시 (實體視, stereoscopy)
→ 입체시.
실 코우트 ( - , seal coat)
아스팔트 포장에 있어서 개설포장 위에 시공하는 얇은 표면처리의 일종임. 역청재료를 살포한 위에 골재를 살포하여 한 층으로 마무리 하는 공법. 개설의 포장면에 시공하는 얇은 표면처리의 일종으로 역청재료를 살포한 위에 골재를 살포하여 1층으로 마무리한 공법. 이것을 반복하여 2, 3층 시행하는 것은 2중역청표면처리 또는 아마코우트라 하여 시일 코우트와 구분하고 있음. 시일코우트는 표층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노화방지와 내수성의 증진, 균열의 시일, 미끄럼 방지, 또는 마아킹을 지우는 목적으로 시행함.
실트 ( - , silt)
토립자의 입경이 5~74 μ 범위에 있는 흙. 이토(泥土)라고도 함.
실트분 ( - 分, silt fraction)
입경이 0.005~0.074 mm 범위의 흙입자. 보조기층재료에 적당히 함유되어 있으면 다짐효과가 있으나 다량 함유되었을 경우에는 시공시나 공용시에 물의 영향을 받기 쉬움. 가열혼합물의 잔골재에서는 건조가열이 불충분하게 되며 재질, 입도 등의 면에서도 좋지 않음. 콘크리트용 골재에서는 단위수량이 증가하고 레이턴스를 일으켜 강도저하를 가져 옴. 유해물함유량중 씻기시험에서 손실량의 한도를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3.0 %로 하고 있음.
실트질 점토 ( - 質 粘土, silty clay)
실트 또는 세사가 섞인 점토로서 세립토로 분류되며 통일분류법으로는 액성한계가 50 % 이하이고 A-선 위에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압축성은 중간정도이고 저소성의 무기질 점토임.
실험오차 (實驗誤差, experimental error)
실험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오차로써 실험관측에서 피할 수 없는 관측오차를 포함하여 실제현상과 실험장치 또는 모형제작 과정에서 일어나는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를 총칭.
실효감각 소음수준 (實效感覺 騷音水準, effective perceived noise level)
1969년 ICAO의 항공기 소음 특별 위원회에서 국제 표준화 기관(ISO)의 협력을 받아서 채용한 항공기 소음기준 적합 증명의 단위. 약어 : EPNL.
심경 (深耕, deep plowing)
경지를 깊게 갈아 일으키는 것.
심도계 (深度計, depth gage)
터널이나 광산의 수직갱 또는 일반 갱도의 깊이를 측정하는 계기.
심레스강관 ( - 鋼管, seamless steel pipe)
강괴또는 강편으로부터 열간압연, 압출․압발 에의해 제조된 강관. 또는 천공후 기계가공에 의하여 제조된 이음매가 없는 강관. 특히 이음매 없는 강관을 냉간인발한것을 냉간가공 시임레스 강관이라고 함.
심망 (心網, fiber / hemp core)
로프를 꼬아 합쳐서 망로프를 만들 때 그 중심에 들어가는 로프의 심으로, 마닐라 로프에 기름을 먹여 집어넣은 것. 이 심의 기름이 소선간의 마찰을 방지, 녹방지를 하기도하며 로프를 연하게 하기도 함. 로프에도 이심을 넣은 것도 있음.
심발공 (深撥工, cut-hole)
심빼기 발파공의 줄임말. 암석발파법의 하나로 V컷, 피라미드컷, 스윙컷, 번컷, 노컷 등이 있으며 터널에는 V컷과 피라미드컷이 많이 사용됨.
심벽 (心壁, core wall)
필댐의 누수방지를 위하여 댐 내부에 얇은 두께로 연직이나 경사지게 설치한 불투수층. 이 층의 재료는 대개 투수계수가 아주 작은 점토가 사용됨.
심벽형 댐 (心壁型 - , core type earth dam)
댐의 중심부에 누수량을 줄이기 위하여 불투수성차수벽을 설치하는 필댐으로 안전성이 높은 형식이며, 특히 댐높이가 클 수록 그 이점이 두드러짐. 심벽의 재료로서는 불투수성인 것이 제일 조건이기는 하나 전단강도, 압축성, 균질성의 점에 있어서도 충분히 신뢰성이 있어야 함.
심선 (心線, core wire)
① 피복아크 용접봉의 중심에 있는 금속선. ② 와이어로프 케이블등의 중심에 들어있는 선. 공망이라고도 함. → 심망.
심성암 (深成岩, plutonic rock)
마그마(magma)가 지하 심부에서 고결되어 형성된 화성암. 마그마의 냉각, 고결작용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구성광물이 조립(粗粒), 완정질(完晶質)임. 화강암(花剛岩), 섬록암(閃綠岩), 반려암(斑礪岩) 등이 그 대표적인 것임.
심수관개 (深水灌漑, deep water irrigation)
작물의 생육기간중에 침수심이 깊게 유지되도록 하는 관개 방법.
심수층 (深水層, hypolimnion)
수심이 5 m 이상인 저수지나 호수에서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일년 중 상당한 기간 동안 층을 형성하고 있음. 이와 같은 상하구조에서 차갑고 비중이 큰 아래 부분에, 따뜻하고 비중이 작은 물은 윗부분에서 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아래 부분의 층을 심수층이라 하며 수온약층보다 깊은 수심부분임.
심 아크용접봉 (心 - 鎔接奉, bar electrode)
피복이 되지 않은 용접봉.
심재 (心材, heart wood)
나무줄기의 중심부위에서 채취한 목재이며 붉은색을 갖고 있음. 오래된 목재질로 되어 있으며 색소, 수지, 고무질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
심정 (深井, deep well)
① 우물 깊이의 대소에 관계없이, 우물바닥이 불투수층에 도달하는 우물.
② 우물의 깊이가 약 30 m 이상되는 우물.
심정공법 (深井工法, deep well method)
직경 0.3~1.5 m 정도의 우물을 굴착하고 이 속에 우물관측관을 삽입하여 그 속으로 유입하는 지하수를 펌프로 양수하는 공법임.
심천측량 (深淺測量, sounding)
하천, 항만, 호수, 바다 등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
심층류 (深層流, deep flow)
수심이 깊은 흐름.
심층침루 (深層浸漏, deep percolation)
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토양면을 통해 토양속으로 스며들어 포화대까지 도달하는 현상.
심층풍화 (深層風化, deep weathering)
지표로부터 수십미터의 깊은 곳까지 풍화되는 현상. 화강암에서 특히 현저함.
심층혼합공법 (深層混合工法, deep mixing method of soil stabilization)
원위치에서 지반의 깊은 곳까지 석회, 시멘트 등의 화학적 안정재를 첨가해서 개량대상토를 강제적으로 교반 혼합하는 지반개량공법. 시공방법으로는 안정제와 원지반토를 교반익(攪拌翼)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강제혼합하는 방법과, 안정재의 용액 또는 입상체를 고압분사혼합하는 방법의 2가지로 대별됨.
심프손 공식 ( - 公式, Simpson’s formula)
수치적분법의 일종. 적분구간을 몇 개의 소구간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소구간에서의 피적분 함수를 포물선으로 가정하여 각 소구간에서의 적분을 수행하고, 각 소구간에서의 적분값을 합산하여 전체의 적분구간에서의 피적분함수의 적분값을 근사함.
심플렉스표 ( - 表, simplex tableau)
선형계획법의 해법에 있어서 대수형태의 수학식을 풀어나가는 대신 중요한 정보만을 기록하여 반복계산을 거쳐가며 해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표.
심해파 (深海波, deep water wave)
수심이 깊어 표면파의 영향이 해저면에 거의 미치지 않는 수심에서의 파를 나타내며, 통상 수심이 파장의 절반보다 큰 경우 심해파로 분류함.
십자선 (十字線, cross hair)
목표를 망원경내의 시준선상 한점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망원경관에 4개의 나사로 지지되어 있는 십자테의 거미줄 또는 가는 백금선을 이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유리판에 1~3 μm 정도의 가는 선을 그어 사용함.
십장 (什長, foreman)
공사장 인부의 통솔자로 인부 또는 특수작업조 등을 지휘, 감독하며 견적시 보통인부 20명당 1명 정도로 계상할 수 있음.
싱글스립 스위치 (片側亘線附交叉, single slip switch)
다이아몬드 크로싱내에서 좌 또는 우측의 한쪽으로 건넘선을 설치한 것으로 이 건넘선을 이용하여 다른 궤도로 진입할 수 있는 특수 분기기.
싱커 ( - , sinker)
한 사람이 작업하는 소형착암기의 별명으로 하향천공에 적합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름. 소단면 터널이나 광산에서 주로 사용함.
싸락눈 ( - , sleet)
빗방울이 떨어지다가 빙점 이하의 온도를 만나 얼어버린 것.
쌍갑문 (雙閘門, twin lock)
갑문이 병렬로 설치되고 공통 중간벽을 갖고 있는 갑문.
쌍두레일 (雙頭軌條, double headed rail)
두부와 저부가 같은 단면으로 상하, 좌우를 자유로이 전환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나 평저레일보다 비경제적이어서 실용화되지는 못하였음.
쌍줄비계 ( - 飛階, double row staging)
비계조립시 비계기둥을 전후 2줄로 조립한 비계.
썩션 ( - , suction)
흙속의 수분은 토립자표면의 흡착력, 간극중의 기액계면(氣液界面)에 발생하는 모관압, 흙속에 함유되어 있는 용질에 의한 삼투압 등에 의하여 보존되는데, 이에 저항하여 수분을 대기중으로 끌어낼 수 있는 압력을 썩션이라 함.
썩은옹이 ( - , rotten knot)
옹이가 썩은 것.
썰물 ( - , ebb tide)
만조에서 간조까지 수면이 하강하는 동안의 조석임. → 낙조(落潮).
쏠바이트 레일 ( - 軌條, sorbite rail)
열처리 레일 또는 경두레일이라고도 함. 레일의 두 정면에서 약 20 mm를 열처리하며 솔바이트 조직으로 한 것을 말함. 강인하고 내마모성이 큼.
쐐기 ( - , wedge)
① 한쪽 끝은 얇고 다른쪽 끝은 두꺼워서 좁은 틈사이에 끼우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나무조각.
② 큰 못을 목재에서 뽑고 다시 구멍을 이용하여 큰 못을 박을 때, 그 구멍을 충진하는 작은나무조각.
쐐기골재 ( - 骨材, keystone)
머캐덤포장공법에서 주골재위에 살포되어 롤러로 전압된 후, 주골재사이에 쐐기모양으로 박혀지는 골재.
쐐기석 마캐덤 ( - 石 - , key stone macadam)
메캐덤공법의 하나. 주 골재의 간극을 먼저 쐐기골재로 채우고 충분히 전압한 후 다시 채움 골재를 살포하여 전압하고 마무리함.
쐐기식정착장치 ( - 碇着裝置, wedge anchorage)
쐐기작용에 의하여 PC강재를 정착시키는 기계장치.
쐐기작용 ( - 作用, wedge action)
쐐기를 정착제에 박아서 정착을 잘되게 하는 기계적인 작용을 의미함.
쐐기형 승강장 ( - 形 乘降場, wedge platform)
형상에 의한 승강장의 분류로 분기역 등에 주로 쓰이며 방향별 배치 방식과 선로별 배치 방식임.
쐐기형저류 ( - 型貯溜, wedge storage)
자연하도 어떤 구간의 부정부등류인 홍수파의 상승시와 하강시의 저류량중에서 하상과 평행한 선의 윗부분에 있는 저류량.
쐐기형채움재 ( - 形 - 材, wedge filler)
주재료 사이에 쐐기모양으로 채워 지는 채움재료.
쐐기형 파괴 (암반사면의) ( - 形 破壞, wedge failure)
암반사면의 활동파괴형태의 일종으로 사면과 사교(斜交)하는 2개의 주불연속면을 활동면으로 하여 쐐기모양으로 파괴되는 것.
쓰나미 방파제 ( - 防波堤, tsunami barrier / breakwater)
지진해일(tsunami)에 의한 해안부의 침수나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방파제.
쓰레기처리장 ( - 處理場, solid waste treatment plant)
쓰레기 처분을 안전하고 유효하게 행하도록 하는 곳을 말하며 파쇄, 압축, 소각, 퇴비화 처리등의 공정으로 이루어 짐.
씨급 항공기 ( - 級 航空機, class C aircraft)
항공기의 날개끝 소용돌이 등급이 Large 급이고 무게가 12,500~300,000 파운드에 해당되는 항공기. 활주로 용량 및 지체시간 산정을 위한 항공기 혼합율 지수 계산식에 사용됨.
씨비알 ( - , CBR)
노상이나 노반토의 지지력특성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직경 5 cm 의 관입봉을 흙에 일정한 속도로 관입시켜 관입량 2.5 mm (또는 5 mm)일 때의 하중강도와 표준하중강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노상지지력비라함. 원어 : california bearing ratio.
씨아이큐 ( - , CIQ)
세관, 출입국 관리, 동식물 겸역을 말함. 원어 : custom-immigration-quarantine.
씨크리프트 공법 ( - 工法, thick-lift method)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과 다짐에 있어서 1회의 포설과 마무리 두께를 통상적인 경우보다 두껍게 하여 완성두께로 4인치이상으로 하는 시공법 디프리프트공법이라고 함. 통상적인 경우 1층의 마무리두께는 표층, 중간층에서 7 cm이하, 역청안정처리기층에서는 10 cm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음. 그러나 직크리프트공법에서는 1층 두께 45 cm에 달하는 시공예가 있으며 일본에서도 15 cm와 20 cm의 실시 예는 드물지 않음.
씨티씨 ( - , CTC)
열차집중 제어 장치라고도 함.
씨피엠 ( - , CPM)
공정관리에서 각 활동(activity)별로 여유시간(float time)을 갖지 않는 공정만을 나타낸 공정선을 주공정선(critical path)이라 하며 주공정선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공사기간, 최소공사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공정관리기법.
씻기시험 ( - 試驗, washing test)
골재중의 실트나 점토의 양을 측정하는 시험임. 시료에 물을 가하여 씻어 내어 세립분과 물과 함께 0.074 mm와 1.2 mm체를 겹쳐서 거름. 씻기 시험을 하기 전후의 시료의 중량차로부터 0.074 mm체를 통과하는 세립분의 중량백분율을 구함.
씻어내기 마무리 ( - , rustic finish)
테라조 표면처리의 일종으로 종석을 노출시키기 위해 모르터 응결전에 종석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씻어 냄. 이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 표면부분에 지연제를 사용하기도 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