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micro pile인 게시물 표시

법면 보수보강 공법

  법면보수보강공법 노후 된 구조물에 대한 보수. 보강은 손상구조물의 영향정도, 구조물의 중요도, 사회 환경조건 및 경제성 등에 의해서 방법 및 수준을 정한다. 보수. 보강을 위해서는 상태평가 결과와 안전성평가 결과 등을 정밀 검토 후 보수. 보강 필요성, 방법 및 그 수준을 제시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결함 및 손상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며, 이를 통해 적절한 공법과 보수. 보강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 보수. 보강의 필요성 보수의 필요성은 절토사면내의 구조물에 대하여 인지되는 변형 및 손상에 대해 절토사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보수의 수준에 의해 판단하며, 각종기준(도로설계편람,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요령,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낙석방지시설편 등)을 참조한다. 보강의 필요성은 절토사면의 안전성평가 결과에 의해 사면의 안전율을 각종 기준에서 정하는 수치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까지 보강하여야 하는가의 판단에 의한다. ⌬ 보수. 보강의 수준 보수. 보강의 수준은 현재의 위험도,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경우 중에서 선택한다. . 현상유지(진행억제) . 대규모 붕괴위험이 없는 수준까지 회복 . 전면적인 보수. 보강 ⌬ 보수. 보강공법의 선정 붕괴가능성이 인지되는 절토사면의 보수. 보강은 보수. 보강 재료와 공법의 내하력, 내구성, 기능 및 미관 등을 검토하여 결정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절토사면의 결함 및 손상 발생원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며, 이를 통해 적절한 공법을 선정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보수. 보강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절토사면 관련 제반자료와, 진단 시 수행한 각종 상태평가 및 안전성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함발생원인에 대한 정확한 추정 후 보수. 보강공법을 선택한다. <표 9.2-1>은 절토사면에서 사용되는 보수. 보강공법의 개요이다. ⌬ 보수. 보강공법의 종류 절토사면의 보수. 보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