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현대 BlueOn 전기차 주요구성부품

품목 전시물품 전시물 설명 제조 기업 완성차   ㅇ 국내 최초 순수 전기에너지로 주행 가능한 고속 전기차 개발   ㅇ 일충전 주행거리, 최고 속도, 충전 시간 등 경쟁차량 대비 성능우수 ㅇ 현대자동차 - 대표자: 양승석 - 매출: 31조8천억 - 종업원: 55,000명 - 생산품: 자동차 배터리   ㅇ 내연기관 엔진에 해당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ㅇ 高 에너지밀도 확보, 중량 절감해 우수한 전기에너지 저장능력 확보 ㅇ SK에너지 - 대표자: 구자영 - 매출: 35조8천억 - 종업원: 5,629명 - 생산품: 석유 모터   ㅇ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게 하는 고효율 모터   ㅇ 고출력, 고효율 개발로 차량 및 동력 성능 향상 ㅇ 효 성 - 대표자: 이상운 - 매출: 6조9천억 - 종업원: 6,340명 - 생산품: 변압기 인버터   ㅇ 배터리 전기를 모터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고출력 인버터   ㅇ 고속주행 영역 제어시 신뢰성 및 안전성 을 확보하는 전자부품 ㅇ LS 산전 - 대표자: 구자균 - 매출: 1조4천억 - 종업원: 3,200명 - 생산품: 인버터 감속기   ㅇ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차 속도를 조절하는 고효율 감속기   ㅇ 고강도 기어, 고수명 베어링 적용하여 고효율 및 내구 수명 확보 ㅇ 위 아 - 대표자: 임흥수 - 매출: 3조2천억 - 종업원: 2,000명 - 생산품: 차량부품 직류 변환 장치   ㅇ 전기로 작동되는 부품 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ㅇ 국내 최초로 고속 전기차용 고효율 직류변환장치 국산화 개발에 성공 ㅇ 모비스 - 대표자: 정석수 - 매출: 10조6천억 - 종업원: 6,129명 - 생산품: 차량부품

현대 BlueOn 전기차 개발참여업체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업체 전기차 현대자동차 구동 및 전력변환 시스템 인버터 완제품 LS산전 커패시터 뉴인텍 커넥터 LS전선 기구류 진영프로토 모터 완제품 효성 샤프트 세일공업 하우징 실드 이조금속 감속기 완제품 위아 DISS Ass'y 우수AMS CASE 일광주공 기어류 삼공기어 회생제동 브레이크 완제품 만도 모터 LG이노텍 솔레노이드밸브 GMS ECU 콘티넨탈 펌프/피스톤 서영정밀 에너지저장/ 충전시스템 배터리시스템 완제품 SK에너지 셀 SKME 와이어 용성전장 LDC 완제품 모비스 파워서플라이 오리엔트전자 파워서플라이 디지털전자 변압기 용인전자 배터리팩 완제품 모비스 블로워 한라공조 UPPER CASE 인지컨트롤스 LOWER CASE 신영 PRA LS산전 제어기 케피코 충전기 완제품 만도 FET, 다이오드 인피니언 컨트롤러 프리스케일 공통핵심 부품개발 냉난방 공조시스템 완제품 한라공조 고전압 PTC 소재류 우리산업 BLDC모터 원진 컨덴서 서브앗세이 후성공조 클러스터앗세이 완제품 덴소풍성전자 스크린인쇄 대아산업 몰드사출 유신산업 LCD제조 옵트렉스 PCB제조 승일전자 고전압충전포트 완제품 유라코퍼레이션 사출물 한국정밀 프레스물 진양코퍼레이션 고전압와이어링 완제품 경신공업 커넥터 한국단자 커넥터 TycoAMP

전기차 한국 BlueOn과 일본 i-MiEV 외관비교

한국 현대차 BlueOn 일본 미쓰비시社 i-MiEV

로봇 관련 뉴스

- 로봇, 모니터 달고 대중속으로   이티뉴스 │ 2010.08.16 - 독일 연구팀, 인공 벌 눈 재현 성공. 초소형 비행 로봇 현실화 된다   chosunbiz 과학.기술 │ 2010.08.11 - 촉각 전달 수술로봇 개발   헬스코리아뉴스│2010.08.05 - 외로운 이들을 위한 '아기 유령 로봇' 화제   네이버뉴스세계│2010.08.02 - 몸짓으로 길 안내하는 '게' 내비 로봇도 등장   매일경재│2010.07.22 - 해파리 잡는 로봇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2010.7.23

로봇 관련 사이트

로봇종합지원센터 : http://www.crip.or.kr 한국로봇산업협회 : http://www.korearobot.or.kr 제어로봇시스템학회 : http://www.icros.or.kr 한국로봇학회 : http://www.kros.org 로보월드 : http://www.robotworld.or.kr 포항지능로봇연구소 : http://www.piro.re.kr

물고기로봇 개발현황

구분 그림 기관 연도 특징 해외     MIT 미국 1995 <Robotuna> - 최초의 물고기 로봇(참치형상, 크기 2m) - 수중 유영 효율성 등 수중로봇 연구용으로 개발   Ryomei Engineering , 일본 2006 <Carp koi> - 수중 탐사·감시용 - 로봇 잉어, 80㎝, 12Kg - 원격 제어, 카메라 및 수중 산소 농도 제어 센서 장착     University of Essex, 영국 2007 <Essex Robotic Fish> - 초기 수족관 관상용으로 개발하였으나, 현재 강·바다 오염도 측정용으로 개발중 - 급감가속 및 회전 가능 , 크기 52㎝, 5~8시간 가동 후 재충전 - 약 2만파운드로 추정     FESTO, 독일 2009 <Aqua penguin> - 수중탐사용 - 자율유영, 펭귄 형태, 뒤로 움직임 가능 - 몸체, 꼬리 및 날개 유영, 6~7시간 운영 - 길이 0.77m, 무게9.6㎏, 최대속도 5㎞/h 국내   서울대 2006 <로피> - 학교 실험용 - 물 속에서 수평으로 유영 - 실제 물고기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하여 설계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 2009 <익투스 V3 > - 버전1~2(‘08개발)는 전시용, 버전3은 연구 및 전시용 - 자율이동( 상하좌우 등 수중 자유이동: GPS, 관성센서, 장애물감지센서) 수중정보수집(수중영상카메라, 기타 ) 및 원격제어 - 최대속도 1.5m/s, 길이 42㎝, 1.2㎏, 6DOF     한국기계연구원 2009 <복어형 물고기로봇> - 사전연구용 - 자율이동(GPS장착, 관성센서), 원격제어(블루투스) , 수평이동, 복어․붕어 형태 - 기계연/건국대 공동연구 출처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