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건축공사시방서] 철근 콘크리트 공사 - 수중 콘크리트 공사

05080 수중 콘크리트 공사
 
1. 일반사항
 
. 이 절은 수중 또는 안정액 속에 부어넣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또는 철근콘크리트 지중벽 의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 적용한다. , 수중 불분리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 시공자는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지반의 굴착 방법, 사용기계,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 부어넣 기 방법, 품질관리방법 등을 정하여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2. 자 재
 
. 수중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콘크리트의 품질, 수화열에 따른 온도상승 및 유동성을 고 려하여 선정한다.
. 골재 종류 및 품질은 05010.2.1.2(골재)에 따른다. 다만,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25이하로 한다.
 
3. 시 공
 
3.1 배합
. 배합은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수중 콘크리트로서 적절한 위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도록 시험비 빔으로 정한다.
. 배합강도를 정할 경우 원칙적으로 온도에 따른 보정은 하지 않는다.
. 슬럼프는 21cm 이하로 하고 공사시방에 따른다.
. 단위수량의 최대값은 200kg/로 한다.
. 단위 시멘트량의 최소값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300kg/, 지중벽은 350kg/로 한다.
. 물시멘트비의 최대값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60%, 지중벽은 55%로 한다.
 
3.2 부어넣기
. 부어넣기 전에 슬라임을 제거하고, 말뚝 또는 지중벽에 유해한 슬라임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 부어넣기 구획은 1회에 연속하여 부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한다.
. 콘크리트는 안정된 수중에서 부어넣도록 하고, 경화할 때까지 물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 트레미관의 선단은 콘크리트 부어넣기 중에 원칙적으로 2m 이상 넣어 두도록 하며, 콘크리트 를 수중에서 낙하시켜서는 안된다.
 
 
3.3 부어넣기 표면의 마무리
. 콘크리트는 설계면보다 여분의 높이로 부어넣어야 한다. 여분의 높이는 공사시방에 따르거나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 여분으로 부어넣은 콘크리트는 말뚝 및 기초 콘크리트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 적당한 시 기에 제거 한다.
 
3.4 공벽와 최외측 철근의 간격
공벽 내면 또는 케이싱 내면과 조립철근의 최외측 철근과의 간격은 공사시방에 따른다. 공사시 방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공벽 내면과 조립철근의 최외측 철근과의 간격은 10cm 이상으로 한다. 다만 케이싱 면에서의 거리는 8c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5 철근의 가공 및 조립
. 철근은 설계도에 따라 정확하게 배치하고, 철선으로 결속하여 조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조립철근은 주근, 횡근(또는 대근) 보강근 및 보강강재, 간격재 등에 의하여 조립하고 보관, 운반, 세워넣기 등에서 유해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한다.
 
3.6 조립철근 세워넣기
. 조립철근 세워넣기는 조립철근에 유해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삽입시에는 조립철근의 연직성을 유지하면서 천천히 공벽 내에 삽입한다.
. 조립철근의 접속은 연직성을 확인하며, 원칙적으로 철선 또는 연결철물로 충분히 견고하게 한다.
 
3.7 품질관리 및 검사
.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는 05010.3.7.4(품질관리 검사) 05010.3.7.9(압축강도검사)의 규 정과 아래의 1)3)에 따른다.
1) 워커빌리티 및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상태는 모든 운반차에 대하여 육안으로 검사하고 그 품 질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는 바로 필요한 시험을 실시하고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2) 슬럼프의 시험은 05010.3.7.4(품질관리 검사)의 규정에 정하여진 것과 말뚝 한 개마다 또는 벽 체의 한 구획마다 최초의 콘크리트 운반차에 대하여 실시한다.
3)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사에 있어서 공시체의 양생은 표준양생으로 하고, 합격 판정 의 기준으로 하는 압축강도는 설계기준강도로 한다. 다만, 05080.3.1(배합)에 있어서 배합강도 를 정할 때 콘크리트의 평균 양생온도에 따른 강도보정값을 더할 경우는 설계기준강도에 그 보정값을 더한 값을 합격 판정의 기준으로 한다.
. 운반차 한대 또는 여러대의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마다 콘크리트의 높이를 계측하고 트레미 관의 선단삽입깊이를 조정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토목 영어

  135°hook 백삼십오도 갈고리 180°hook 반원형갈고리 3-hinged arch 3활절 아치 90°hook 구십도 갈고리 AASHO road test 아쇼 도로시험 AASHTO 아쉬토 AASHTO classification 아쉬토 분류법 abnormal climate 이상기후 abnormal weather 이상기상 abrasion 마모 abrasion loss 마모감량 abrasion of rail 레일마모 abrasion resistance 닳음저항 abrasion resistance steel 내마모강 abrasion test 닳음시험, 마모시험 ABS detergent 에이비에스세제 absolute dry condition of aggregate 골재의 절대건조상태 absolute error 절대오차 absolute maximum bending moment 절대 최대 휨모멘트 absolute maximum shear force 절대 최대 전단력 absolute pressure 절대압력 absolute roughness 절대조도 absolute signal 절대신호기 absolute surface dried specific gravity 골재의 절건비중   of aggregate absolute temperature 절대온도 absolute viscosity 절대점도 absolute volume of aggregate 골재의 절대용적 abson method 앱슨법 absorption 흡수 absorption ratio of aggregate 골재의 흡수율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흡광광도법 absortion index 흡수율 abt system 치궤조식철도 abutment 교대 abutment joint surface 맞대기이음면 abutment test wall 반력벽 AC arc welding 교류아크용접 accelerated flow 가속류 accelerated weathering test 촉진...

EPS 블록의 기본개요

1. 개요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에 따른 산업시설의 확충 및 개발 사업에 수반되는 택지 및 산업시설용 부지개발, 기존도로 확장과 신설도로 건설 등의 ‘효율적인 국토 이용 관리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 연약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지역의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토목공사에서는 토목 구조물의 기능과 안정성을 만족하고 주변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필요에 의해 대규모 지반개량과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또는 침하방지를 위한 기초처리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초처리 방법으로 개발된 경량성토공법(Light Fill 또는 Lightweight Fill 공법)인  EPS 공법은 대형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 - Styrene) 블록 을 도로, 토지 조성 등의 토목공사에 성토재료 및 뒤채움 재료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재료의 초경량성, 내압축성 등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공법이다. EPS   블록 은, 단위중량이 흙의 1/100 정도밖에 되지 않는 초경량성의 재료특성을 가진 토목용 자재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성토를 하면 원 지반의 안정성이나 침하대책으로 효과적이다. 또한,  EPS   블록 은 내압축성, 내수성, 자립성, 시공성 등도 우수하며, 흙 무게의 1/100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적당한 강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난연성, 내화학성이 뛰어난 제품이다. 2.  EPS  공법의 역사 1972년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 부근 Flom교 설치도로 개수공사시 도로침하 대책으로 사용된 것이 최초이다. 노르웨이 국립도로연구소 NRRL(Norwegian Road Research Laboratory)은 이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여  EPS  특성을 이용하여 도로포장에 적용하는 공법을 개발하였다. 그 후  ...

가시설 수량 산출 기준

구분 산 출 근 거 비 고 토공 전체 공정 환산계수 적용없이 설계도면에 의한 정미 체적으로 산출 지역별 잔토처리 단가 적용 터파기산출시 :GL-2M,2-6M,6M 이하로 구분 산출 사면구배 토사 : 1:1.2~1:1.5  , 풍화암 : 1 : 1  ,  발파암 : 1 : 0.5   강재 전체 공정 대형형강 (100mm 이상 ) 은 7% 적용 손료 , 각재대 공히 적용 소형형강 (100mm 미만 ) 은 5% 적용 목재 토류판 전체 토류판 면적에 할증 5% 로 일괄 적용 신재 기준 철근 전체 공정 할증 : 전 규격 3% 로 일괄 적용 Φ400 기준 C.I.P [ 철근 ] : 6EA-19, D13@300 기준 → D19 : 6EA x 1mx0.00225x1.03( 할증 )=0.0139ton/m → D13 : 3.33EA x 1mx0.000995x1.03( 할증 )=0.0034ton/m CAP 부위 [ 철근 ] : 4EA-19, D13@400 기준 → D19 : 4EA x 1mx0.00225x1.03( 할증 )=0.00927ton/m → D13 : 2.5EA x 1mx0.000995x1.03( 할증 )=0.00256ton/m 레미콘 전체 공정 할증 : 무근 -2%, 철근 -1% 공히 적용   합벽타설 굴착벽면적 x 벽체이격거리 x 1.02( 할증 )   레이커받침 1.5x1.5x 레이커받침블럭 수평길이 x1.02( 할증 ) 1.5x1.5 기준 C.I.P [CON'C] : CAP 부위 Φ400 기준 → 0.4x0.6xC.I.P 부위 전체수평길이 x1.02( 할증 ) 골재 전체 공정 할증없이 정미량으로 적용 . 모든 종류의 골재에 적 용 . C.I.P [ 골재 ] : ...